KR200282030Y1 -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030Y1
KR200282030Y1 KR2020020009082U KR20020009082U KR200282030Y1 KR 200282030 Y1 KR200282030 Y1 KR 200282030Y1 KR 2020020009082 U KR2020020009082 U KR 2020020009082U KR 20020009082 U KR20020009082 U KR 20020009082U KR 200282030 Y1 KR200282030 Y1 KR 200282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plate
coupled
sli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최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규 filed Critical 최진규
Priority to KR2020020009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03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부에 냉난방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토출량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므로써 필요한 량의 공기를 실내에 적절히 유입하여 고르게 배분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에 여과부재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나 이물질을 정화하여 건강에도 이롭도록 한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사각의 틀 형상으로 된 지지틀(10) 내부에 일정 간격과 방향을 갖도록 방향판(11a)이 고정된 송풍방향조절부재(11)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0)의 뒤쪽 내부에 삽입된 그물상의 여과부재(12)와, 틀부재로부터 여과부재(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틀부재의 뒤쪽 내부에 활형으로 고정되는 선상의 텐션부재(13)와, 상기 지지틀(10)의 후방에 결합된 사각의 유격틀(20)과 유격틀(20)의 후방에 결합된 토출량조절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Register grill having a filter}
본 고안은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실내의 천정에 설치하여 냉난방기로부터 송풍관(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과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실내에 고르게 배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식당, 고시원 등과 같은 규모가 크고 방의 수가 다수인 건물에는 냉난방기를 실외에 설치하고, 이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의 공기를 실내의 곳곳에 배분하여 공급하기 위해 천정 내에 덕트, 즉 송풍관을 매설하게 된다.
이때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의 천정부에는 송풍관을 통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가 실내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며 천정부에 노출되는 송풍관의 일단을 마감하여 천정 미관을 좋게 하는 환기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 환기장치는 사각 또는 원형의 틀 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일정 간격과 방향을 갖도록 방향판이 고정된 것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기장치는 냉난방기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방향판에 의해 방향만을 바꾸어 줄 수 있는 것이고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냉난방기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고 이로 인한 유입되는 공기량이 적어져 실내의 곳곳에 공기를 고르게 배분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배분되는 각각의 특정 환기장치에 자체적으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부에 냉난방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토출량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므로써 필요한 량의 공기를 실내에 적절히 유입하여 고르게 배분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에 착탈 및 교환이 용이한 여과부재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나 이물질을 정화하여 건강에도 이롭도록 한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토출량조절수단의 개폐판을 폐쇄시킨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3의 개방시킨 상태의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지지틀 --- 11. 통풍조절부재
12. 여과부재
13. 텐션부재
20. 유격틀
30. 토출량조절수단
31. 지지틀 --- 31a, 31b. 측판
본 고안의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된 지지틀 내부에 일정 간격과 방향을 갖도록 방향판이 고정된 송풍방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뒤쪽 내부에 삽입된 그물상의 여과부재와, 틀부재로부터 여과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틀부재의 뒤쪽 내부에 활형으로 고정된 선상의 텐션부재와, 상기 지지틀의 후방에 결합된 사각의 유격틀과 유격틀의 후방에 결합된 토출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토출량조절수단은 유격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사각의 지지틀과, 지지틀의 일측 측판 내에 밀착되도록 위치하며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가로장공이 다수 형성되고, 이웃하는 가로장공의 일측 상하로는 세로장공이 반대편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판과, 판 형상으로 되어 지지틀 내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배치됨과 함께 그 길이방향 선단의 중앙부에는 중심핀을 형성하고 선단 중심핀의 일측에는 스톱핀을 돌출 형성하여, 일측 중심핀은 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중심핀은 상기 슬라이딩판의 가로장공을 통과하여 지지틀의 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톱핀은 슬라이딩판의 세로장공에 각각 결합시킨 다수의 개폐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슬라이딩판을 직선운동시키면 상기 이웃하는 개폐판들은 각각 중심핀을 축으로 하여 스톱핀의 이동거리만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판을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수단은 슬라이딩판의 길이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치합구멍을 형성하고 이 치합구멍에 치합된 회동조작기어를 두어 회동조작기어를 돌리게 되면 기어와 치합구멍이 맞물리면서 슬라이딩판이 직선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각 개폐판들이 중심핀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토출량조절수단의 개폐판을 폐쇄시킨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3의 개방시킨 상태의 도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10은 천정에 설치시 노출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된 지지틀이다. 지지틀(10)은 내부에 일정 간격과 방향을 갖도록 방향판(11a)이 고정된 송풍방향조절부재(1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릴 형태를 띄고 있다.
또 상기 지지틀(10)의 뒤쪽 내부, 즉 방향판(11a)의 후방으로는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만을 들여보낼 수 있도록 그물상의 여과부재(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여과부재(1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2a)를 형성하여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틀부재로부터 여과부재(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틀부재의 뒤쪽 내부에 활형으로 고정되는 선상의 텐션부재(13)를 구비하여 지지틀(10) 내측에서 여과부재(12)와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지지틀(10)의 통풍조절부재(11) 외면 후방으로는 사각의 유격틀(20)이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틀(10)과 유격틀(20)의 전면 외측에는 각각 절곡부를 형성시켜 결합시 상호 밀착면을 갖도록 형성하되, 천정에 설치시 밀착면 사이에 천정면을 두게하고 관통하여 스크류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30은 유격틀(20)의 후방에 일체로 결합되어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량조절수단이다.
토출량조절수단(30)은 유격틀(20)의 후방에 결합되는 사각의 지지틀(31)과, 지지틀(31)의 일측 측판(31a) 내면에 밀착 위치하며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가로장공(32a)이 다수 형성되고 이웃하는 가로장공(32a)의 일측 상하로는 세로장공(32b)이 반대편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판(32)과, 판 형상으로 되어 지지틀(31) 내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됨과 함께 그 길이방향 양 선단의 중앙부에는중심핀(33a)을 형성하며 한쪽의 중심핀(33a) 일측에는 스톱핀(33b)을 형성하되, 상기 중심핀(33a)의 일측은 지지틀(31)의 측판(3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중심핀(33a)은 상기 슬라이딩판(32)의 가로장공(32a)을 통과하여 지지틀(31)의 측판(3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톱핀(33b)은 슬라이딩판(32)의 세로장공(32b)에 각각 결합시킨 다수의 개폐판(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판(32)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개폐판(33)들이 중심핀(33a)을 축으로 하여 스톱핀(33b)에 밀려 각각 강제로 회동하게 되며,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개폐판(33)들은 상기 각각의 스톱핀(33b)들이 상하 세로장공(32b)에 지그재그로 배열 결합되어 있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판(32)을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판(32)의 길이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치합구멍(32c)과 이 치합구멍(32c)에 치합된 회동조작기어(34)로 되어, 회동조작기어(34)가 회동하면 슬라이딩판(32)의 치합구멍(32c)과 맞물려 슬라이딩판(32)이 수평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회동조작기어(34)는 하측에 기어부와 상측에 축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틀(31)의 측판(31a)에 결합된 브라켓(35)에 축부가 회동가능토록 클립 등으로 고정 결합되며 기어부는 슬라이딩판(32)에 형성한 치합구멍(32c)에 치합되어 있다. 또 축부의 상면에는 렌치 및 드라이버 자리면(34a)이 형성되어 회동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천정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지지틀(10)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렌치 및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개폐판(33)을 회동시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개폐판(33)을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관이 통하는 천정부에 지지틀(10)의 틀외면과 일치하는 공간부를 마련하고 토출량조절수단(30)이 구비된 지지틀(31) 및 유격틀(20)을 천정의 공간부 안쪽에 위치시킨 다음 여과부재(12)를 결합한 지지틀(10)을 천정의 바깥쪽에서 결합 고정한다.
다음으로, 송풍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지지틀(10)을 분리한 상태에서, 렌치 및 드라이버를 이용 회동조작기어(34)를 회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딩판(32)에 형성된 치합구멍(32c)이 맞물리면서 직선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개폐판(33)이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양의 풍량이 유입되도록 적당하게 개폐판(33)을 회동시켜 조절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10)을 분리한 상태에서 지지틀(10)로부터 여과부재(12)를 용이하게 탈거하여 교환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그 기술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는 실외에 설치된 냉난방기의 조작 없이도 공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각 방의 통풍 조절장치에서 공기량(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 내부에 여과부재(12)를 구비하게 되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건강에도 이롭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각의 틀 형상으로 된 지지틀(10) 내부에 일정 간격과 방향을 갖도록 방향판(11a)이 고정된 송풍방향조절부재(11)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0)의 뒤쪽 내부에 삽입된 그물상의 여과부재(12)와, 틀부재로부터 여과부재(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틀부재의 뒤쪽 내부에 활형으로 고정되는 선상의 텐션부재(13)와, 상기 지지틀(10)의 후방에 결합된 사각의 유격틀(20)과 유격틀(20)의 후방에 결합된 토출량조절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토출량조절수단(30)은 유격틀(20)의 후방에 결합되는 사각의 지지틀(31)과, 지지틀(31)의 일측 측판(31a) 내면에 밀착 위치하며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가로장공(32a)이 다수 형성되고 이웃하는 가로장공(32a)의 일측 상하로는 세로장공(32b)이 반대편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판(32)과, 판 형상으로 되어 지지틀(31) 내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됨과 함께 그 길이방향 양 선단의 중앙부에는 중심핀(33a)을 형성하며 한쪽의 중심핀(33a) 일측에는 스톱핀(33b)을 형성하되, 상기 중심핀(33a)의 일측은 지지틀(31)의 측판(3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중심핀(33a)은 상기 슬라이딩판(32)의 가로장공(32a)을 통과하여 지지틀(31)의 측판(3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톱핀(33b)은 슬라이딩판(32)의 세로장공(32b)에 각각 결합시킨 다수의 개폐판(33)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판(32)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이웃하는 개폐판(33)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판(32)을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슬라이딩판(32)의 길이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치합구멍(32c)과 이 치합구멍(32c)에 치합된 회동조작기어(3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KR2020020009082U 2002-03-27 2002-03-27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KR200282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082U KR200282030Y1 (ko) 2002-03-27 2002-03-27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082U KR200282030Y1 (ko) 2002-03-27 2002-03-27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030Y1 true KR200282030Y1 (ko) 2002-07-19

Family

ID=7312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082U KR200282030Y1 (ko) 2002-03-27 2002-03-27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0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17B1 (ko) * 2020-07-09 2020-11-24 이지창 도장용 분진포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17B1 (ko) * 2020-07-09 2020-11-24 이지창 도장용 분진포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2513B (en) Adjustable damper for airflow systems
US9714779B2 (en) Air conditioner with selective filtering for air purification
US7334424B2 (en) Air conditioner having independent cooling and purifying paths
KR20060050138A (ko) 공기조화기
KR102035741B1 (ko) 전열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TWI572829B (zh) 空氣清淨機
CN106642491A (zh) 一种壁挂式圆形通风净化器
KR20020019819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CN101839524A (zh) 空调机
US6059021A (en) Horizontal air direction control vane arrangement of an air conditioner
CN204923247U (zh) 空气净化器
KR200282030Y1 (ko) 여과부재를 구비한 통풍 조절장치
KR20170139388A (ko) 환기장치
CN101173806B (zh) 吸附体及具备吸附体的调湿装置以及空调机的室内机
KR101144795B1 (ko) 공기 청정 유닛
KR101981240B1 (ko)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CN208887008U (zh) 一种壁挂式新风机
KR102654976B1 (ko) 창호용 환기 장치
CN215637557U (zh) 一种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JP4814170B2 (ja)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20180087016A (ko) 자연 급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2008005761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KR20060020591A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JPH10160183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