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694Y1 -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694Y1
KR200281694Y1 KR2020020010792U KR20020010792U KR200281694Y1 KR 200281694 Y1 KR200281694 Y1 KR 200281694Y1 KR 2020020010792 U KR2020020010792 U KR 2020020010792U KR 20020010792 U KR20020010792 U KR 20020010792U KR 200281694 Y1 KR200281694 Y1 KR 200281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filing cabinet
drawers
prefabricated
f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정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태 filed Critical 정영태
Priority to KR2020020010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694Y1/ko

Link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서랍장 및 서류함을 개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다수의 서랍장 및 서류함을 조립하여 다층의 서랍장 및 서류함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마다 선택적으로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시 개별적인 보관함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 한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별적인 사용의 편리성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시 다층으로 조립하여 서랍장 및 서류함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일정한 수납공간부를 형성한 서랍(14)과 서랍의 삽입 인출이 가능하며 개별적인 사용시 상부에서 덥개판(15)을 분리하여 수납부재를 수납할수 있도록 형성된 서랍케이스(10) 및 서랍케이스 덥개판(15)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A sectional drawer}
본 고안은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서랍장 및 서류함을 개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다수의 서랍장 및 서류함을 조립하여 다층의 서랍장 및 서류함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마다 선택적으로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시 개별적인 보관함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 한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서랍장 및 서류함을 조립식으로 분리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몇가지의 제안이 있었다.
국내 공개 특허 제2001-0069439호의 장몸체끼리 끼워서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상하로 포개여 쌓아 놓도록 구성해서, 장몸체벽 좌, 우 에 서랍나들이 턱술에 상하로 파서 서랍의 사면과 바닥면을 굴곡면으로 구성시켜, 서랍 내구성을 보완 고유기능을 증진시키면서 상하 포개여 설치시 좌우 2개씩 결속구와 좌우연결중앙부에 종열 4개의 고정구를 만들어 좌, 우, 상하 결합구성해 필요량에 따라 조립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52494호의 다수개의 서랍을 다단으로 조립 적층시켜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해체시에는 단위 조립체로서 서랍이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외에도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333950등이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제안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각각의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조립적층의 편리성은 다양하나, 개별적으로 하나의 서랍장으로 변형 사용시 조립을 해체하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개별적인 사용에 있어 기능적 편리성과 보관 관리성등에 문제점이 있다.
즉 해체시에는 관련 조립부재들을 해체 후 별도 보관하여야 하며, 개별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뚜껑이 없어 완전 마감이 안되는 것, 또는 서랍장과 똑같이 정면에서 인출하여야만 하는 것, 조립식 서랍장 이지만 구입시 일단의 구성체를 모두구입해야 사용가능 한 것 등과 함께 개별적인 사용시 보관의 위치와 이용방법에 따른 다양한 활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개별적인 사용시 보관 장소 및 사용 위치에 따라 상부에서 뚜껑을 개폐하거나 또는 전면에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보관장소에 상관없이 보관 할 수 있어 개별적인 사용시 편리성이 더욱 우수하며, 더불어 조립 적층 및 분리 시 별도의 보관관리가 필요한 구조물이 없도록 개별적인 서랍장을 그대로 적층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기본형 서랍장을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식 서랍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서랍과 서랍 케이스 및 덮개로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형 실시예로서의 외형 사시도
도 2, 3, 4는 도 1의 각 조립체 상태도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의 외형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랍케이스 11 : 끼움홈
12 : 끼움돌기 13 : 손잡이
14 : 서랍 15 : 덮개
16 : 끼움돌기 17 : 공간부
18 : 끼움홈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이하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서랍장은 상, 하,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단 사방 모서리에는 끼움홈(11)을 형성하고 하단의 사방 모서리는 끼움돌기(12)가 형성된 서랍케이스(10)와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전면에 손잡이(13)가 돌출되어 형성된 서랍(14), 내부에 공간부(17)를 갖도록 굴곡 형성되고 상단 사방모서리는 끼움홈(18)을 형성하고 이에 반하여 하단에는 끼움돌기(16)가 형성된 덮개(15)로 조립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서랍(14)을 서랍케이스(10)에 슬라이딩 삽입하고 덮개(15)의 하단 끼움돌기(16)를 서랍케이스(10)의 상단 끼움 홈(11)에 끼워 덮으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서랍장 기본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형 서랍장의 서랍케이스(10) 하단 끼움돌기(12)를 덮개(15)의 상단 끼움홈(18)에 끼워 적층하면서 필요한 층수 만큼 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본형을 개별적으로 사용시 덮개(15)의 상단 공간부(17)를 이용하여 별도의 물품들을 적재 가능하며, 이때 서랍(14)은 전면에서 인출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상 필요 및 보관 방식에 따라 덮개(15)를 개폐하여 수납재를 수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립 및 분리가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사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본형을 필요한 수량 만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서랍, 서랍케이스, 덮개로 조립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단 사방 모서리에는 끼움홈(11)을 형성하고 하단의 사방 모서리는 끼움돌기(12)가 형성된 서랍케이스(10)와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전면에 손잡이(13)가 돌출되어 형성된 서랍(14), 내부에 공간부(17)를 갖도록 굴곡 형성되고 상단 사방모서리는 끼움홈(18)을 형성하고 이에 반하여 하단에는 끼움돌기(16)가 돌출되어 형성된 덮개(15)의 조립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KR2020020010792U 2002-04-10 2002-04-10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KR200281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92U KR200281694Y1 (ko) 2002-04-10 2002-04-10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92U KR200281694Y1 (ko) 2002-04-10 2002-04-10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694Y1 true KR200281694Y1 (ko) 2002-07-13

Family

ID=7312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792U KR200281694Y1 (ko) 2002-04-10 2002-04-10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6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2562A (en) Interfitting and removable modular, frame, storage units
RU2597583C2 (ru) Улучшения запирающихся ящиков
US8453862B2 (en) Foldable storage box
US5921648A (en) Drawer assembly for a storage bin
US20160101897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20070052330A1 (en) Stackable cabinet structure
KR200281694Y1 (ko) 조립식 서랍장 및 서류함
KR101196092B1 (ko) 절첩식 수납함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200334987Y1 (ko) 서랍식 보관함
KR200243394Y1 (ko) 회전식 서랍장, 회전식 책장, 및 이것을 포함하는 책상
JP3692308B2 (ja) 組み立て式容量可変箱
JP4597304B2 (ja) 物品収納ケース
JPH0339066Y2 (ko)
JPH0545252Y2 (ko)
KR102187533B1 (ko) 벌집모양 공간정리장
KR200246744Y1 (ko) 투명 책상
CN214357326U (zh) 一种可拆装组合式收纳盒
JPH026830Y2 (ko)
JP3161928U (ja) 収納ケース
JPH0527079Y2 (ko)
KR200312759Y1 (ko) 다단식 신발장커버
KR200324838Y1 (ko) 컴팩트 디스크 보관함
KR200202318Y1 (ko) 상하적층조립형이미용기구보관셋트대
JPH03132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