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554Y1 -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554Y1
KR200281554Y1 KR2020020002320U KR20020002320U KR200281554Y1 KR 200281554 Y1 KR200281554 Y1 KR 200281554Y1 KR 2020020002320 U KR2020020002320 U KR 2020020002320U KR 20020002320 U KR20020002320 U KR 20020002320U KR 200281554 Y1 KR200281554 Y1 KR 200281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chemical
storage chamber
container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운
Original Assignee
유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운 filed Critical 유병운
Priority to KR2020020002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55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의 보관시 용기를 뒤집어 놓으면 약액이 용기의 상측공간에 제공되는 2차 약액 저장실로 유입되고 사용시에는 2차 약액 저장실에 저장된 약액 만이 분무캡을 통해 분무되도록 하여 용기내의 이물질 침투 방지 및 약액의 분무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 BOTTLE WITH SECOND LIQUID STOREROOM}
본 고안은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보관시에는 1차 저장실에 저장된 약액 일부가 용기의 상측공간에 형성된 2차 저장실로 유입되고 사용시에는 2차 저장실에 저장된 약액 만이 분무되도록 하여 용기내의 이물질 침투 방지 및 약액의 분무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품 용기는, 본체내에는 약액 저장실이 마련되고, 그 상측에는 캡 및 캡의 상단에 누룸버튼이 구비되어 누룸버튼의 누룸시 캡내의 저장실과 본체를 연결한 노즐관을 통해 약액을 흡입 배출하게 된다.
즉, 본체의 상측에 제공된 캡의 버튼 누룸시 캡 내부의 약액 저장실내로 유입되어 있는 약액을 외부로 분무하고 버튼 누룸후 복귀시 본체 내로 연장된 노즐관의 진공압력을 통해 약액 저장실의 약액을 캡의 약액실내로 흡입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화장품 용기는 상측 분무캡과 본체 약액 저장실이 노즐관으로 연결됨에 따라 용기를 세워서 보관하는 경우 노즐관이 본체의 바닥까지 연장 설치되어야만 약액을 분무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약액 분무시 본체의 약액 저장실에 있는 약액이 노즐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물질 등의 침투로 약액 부패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 용기의 보관시 용기를 뒤집어 놓으면 용기 본체내의 저장실에 저장된 약액이 용기의 상측공간에 제공되는 2차 약액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2차 약액 저장실에 저장된 약액 만이 분무되도록 하여 용기내의 이물질 침투 방지 및 약액의 분무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화장품 용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20: 1차 저장실
200: 캡 220: 버튼
300: 노즐관
500: 약액 유입수단 520: 2차 약액 저장실
540: 안내관 542: 약액 유입홀
544: 걸림턱 560: 커버체
562: 약액 안내홀 564: 안착턱
600: 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측에 제공된 분무캡의 버튼부 누룸시 본체의 저장실과 연결된 노즐관을 통해 약액을 흡입 분무하도록 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실 상측에, 상기 노즐관의 흡입력 발생시 상기 저장실의 약액이 직접 상기 노즐관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소정공간의 2차 약액 저장실을 형성하되, 상기 2차 약액 저장실은 약액 유입수단에 의해 용기를 거꾸로 세울때에만 약액이 본체의 저장실에서 2차 약액 저장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약액 유입수단은, 상기 노즐관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이격되어 소정폭 하향 돌출되며,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액 유입홀을 가지고 있고, 하측 외주단에 걸림턱을 갖는 원형 안내관과; 상향으로 개방되어 2차 약액 저장실을 형성하며 개방단 내측에 상기 원형 안내관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걸림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되고상기 안착턱에는 소정구간 상향 이동시 상기 약액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약액 안내홀을 갖는 커버체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원형 안내관과 이에 결합되는 커버체가 다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체의 개방단이 상기 원형 안내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고정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체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체의 무게 증가를 위한 볼이 더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약액 유입수단은, 상기 2차 약액 저장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리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약액 이동홀과, 상기 격리체의 내측에서 상기 약액 이동홀을 통해 유입된 약액이 2차 약액 저장실로 이송되도록 복수개의 약액 안내홀을 형성하는 체크관과, 상기 체크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자중력에 의해 상기 약액 이동홀을 폐쇄하고 자중력에 의한 상향 이동시 즉, 용기가 거꾸로 세워진 경우 상기 약액 이동홀과 약액 안내홀을 연통시키게 되는 자중체로 구성함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2차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약액이 저장되는 1차 저장실(120)을 갖는 본체(100)와, 본체(100) 상측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그 상면에 버튼(220)이 구비된 분무캡(200)과, 하단이 상기 본체(100)내로 연장되어 상측의 버튼(220) 누룸후 복귀시 캡(200) 내부의 약액 안내실로 약액을 흡입하게 되는 노즐관(300)과, 상기 1차 저장실(120)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관(300)의 흡입력 발생시 1차 저장실(120)내의 약액이 흡입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2차 약액 저장실(520)과, 상기 용기 본체(100)가 거꾸로 세워지는 경우에만 상기 1차 저장실(120)의 약액이 2차 약액 저장실(520)로 이동되도록 하는 약액 유입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 유리 및 유연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약액을 저장하는 1차 저장실(120)이 형성된다.
상기 분무캡(200)은, 종래와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 금속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개방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측에는 버튼부(220)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하향으로 노즐관(300)이 그리고 외면 일측에는 상기 버튼(220) 누룸시 노즐관(300)을 통한 약액을 배출하게 되는 분무구가 형성된다.
상기 2차 약액 저장실(520)은, 상기 본체(100)내의 1차 저장실(12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분무캡(200)의 버튼(220)부 누룸에 따른 노즐관(300)의 흡입력 발생시 1차 저장실(120)내의 약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격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1차 저장실(120)내의 약액이 상기 용기 본체(100)를 거꾸로 세운 경우에만 약액이 출입되도록 하는 약액 유입수단(500)이 제공된다.
상기 약액 유입수단(500)은, 상기 캡(200)과 본체(100)를 연결하는 확장부의 내측 저부에 구비되는 원형 안내관(540)과, 상기 원형 안내관(54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2차 약액 저장실(520)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체(5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 안내관(540)은, 상기 확장부의 저부에서 상기 노즐관(300)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이격되어 소정폭 하향 돌출되며,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액 유입홀(542)을 가지고 있고, 하측 외주단에 걸림턱(544)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체(560)는, 상향으로 개방되어 2차 약액 저장실(520)을 형성하며 개방단 내측에 상기 원형 안내관(540)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걸림턱(544)에 걸림되도록 안착턱(564)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564)에는 소정구간 상향 이동시 상기 약액 유입홀(542)과 연통되도록 약액 안내홀(5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안내관(540)과 이에 결합되는 커버체(560)가 다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체(56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체(560)의 자중력을 크게 하도록 무게 증가를 위한 볼(600)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의 보관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 본체(100)를 뒤집어 보관하게 되면 본체(100)의 1차 저장실(120)에 저장된 약액 일부가 약액 유입수단(500)의 약액유입홀(542)과 약액안내홀(562)의 연통에 따라 이를 통해 용기 본체(100)의 상측공간에 형성된 2차 약액 저장실(520)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 본체(100)를 바로 세운다. 그러면 커버체(560)가 자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때 커버체(560)의 약액안내홀(562)이 함께 하향 이동되어 약액유입홀(542)과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캡(200)의 버튼(220)을 누루게 되면 2차 약액 저장실(520)에 저장된 약액 만이 분무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체(560)가 상기 안내관(540)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안내관(540)의 내주단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도 무방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약액 유입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약액 유입수단(800)이, 상기 2차 약액 저장실(52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리체(8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약액 이동홀(820)과, 상기 격리체(800)의 내측에서 상기 약액 이동홀(820)을 통해 유입된 약액이 2차 약액 저장실(520)로 이송되도록 복수개의 약액 안내홀(830)을 형성하는 체크관(840)과, 상기 체크관(8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자중력에 의해 상기 약액 이동홀(820)을 폐쇄하고 자중력에 의한 상향 이동시 즉, 용기 본체(100)가 거꾸로 세워진 경우 이동되어 상기 약액 이동홀(820)과 약액 안내홀(830)을 연통시키게 되는 자중체(850)로 구성한다.
즉, 용기 본체(100)를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크관(840)내의 자중체(850)가 자중력에 의해 하향 되어 약액 이동홀(820)을 폐쇄시키게 되어 격리체(810)내의 2차 약액 저장실(520) 약액만이 노즐관(300)을 통해 분무하게 되고, 또한 용기 본체(100)를 거꾸로 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는, 자중체(850)가 자중력에 의해 분무캡(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약액 이동홀(820)이 개방되고 동시에 체크관(840)의 내주벽면에 형성된 약액 안내홀(830)과 연통되어 약액이 약액 이동홀(820)과 약액 안내홀(830)을 통해 2차 약액 저장실(520)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2차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용 분무캡은, 화장품 용기의 보관시 용기를 뒤집어 놓으면 약액이 용기의 상측공간에 제공되는 2차 저장실로 유입되고 사용시에는 2차 저장실에 저장된 약액 만이 분무되도록 하여 용기내의 이물질 침투 방지 및 약액의 분무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측에 제공된 분무캡의 버튼부 누룸시 본체의 저장실과 연결된 노즐관을 통해 약액을 흡입 분무하도록 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실 상측에,
    상기 노즐관의 흡입력 발생시 상기 저장실의 약액이 직접 상기 노즐관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소정공간의 2차 약액 저장실을 형성하되, 상기 2차 약액 저장실은 약액 유입수단에 의해 용기본체를 거꾸로 세울때에만 약액이 본체의 저장실에서 2차 약액 저장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입수단이
    상기 노즐관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이격되어 소정폭 하향 돌출되며,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액 유입홀을 가지고 있고, 하측 외주단에 걸림턱을 갖는 원형 안내관과; 상향으로 개방되어 2차 약액 저장실을 형성하며 개방단 내측에 상기 원형 안내관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걸림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는 소정구간 상향 이동시 상기 약액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약액 안내홀을 갖는 커버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안내관과 이에 결합되는 커버체가 다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개방단이 상기 원형 안내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체의 무게 증가를 위한 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입수단이
    상기 2차 약액 저장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리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약액 이동홀과, 상기 격리체의 내측에서 상기 약액 이동홀을 통해 유입된 약액이 2차 약액 저장실로 이송되도록 복수개의 약액 안내홀을 형성하는 체크관과, 상기 체크관의내부에 구비되어 자중력에 의해 상기 약액 이동홀을 폐쇄하고 자중력에 의한 상향 이동시 즉, 용기가 거꾸로 세워진 경우 상기 약액 이동홀과 약액 안내홀을 연통시키게 되는 자중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20002320U 2002-01-24 2002-01-24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81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20U KR200281554Y1 (ko) 2002-01-24 2002-01-24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20U KR200281554Y1 (ko) 2002-01-24 2002-01-24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434A Division KR20030062040A (ko) 2002-01-16 2002-01-16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554Y1 true KR200281554Y1 (ko) 2002-07-13

Family

ID=7311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320U KR200281554Y1 (ko) 2002-01-24 2002-01-24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5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413B2 (ja) 持運び式液体分与器
US5222636A (en) Apparatus for spraying a liquid from a container
US20160318646A1 (en) Foam jetting tube container
US6293441B1 (en) Trigger type liquid spray container for operation in both upright and inverted positions
KR950009345B1 (ko) 액상저장용기의 유출로 개폐변환밸브
US6179170B1 (en) Dispenser assembly and insert tank for same
KR200281554Y1 (ko)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JP2001063781A (ja) 液体噴出器
KR20030062040A (ko)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JP3822352B2 (ja) 正倒立両用の液体噴出器
KR101910060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JPH10296141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JP3980277B2 (ja) 液吐出容器
KR102341004B1 (ko) 감도 및 에어흐름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JPH04215985A (ja) 正倒立のバルブハウジング
US20230180913A1 (en) Container housing for mist sprayer
KR102383616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CN107499695A (zh) 一种瓶子上用的喷雾头结构
JP3667422B2 (ja) ポンプ
JP3245398U (ja) 可動ノズルを備えた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170082921A (ko) 디스펜서
JP7437234B2 (ja) ポンプ式吐出器
KR101814470B1 (ko) 디스펜서
JP2520176Y2 (ja) 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