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904Y1 - 골프 퍼팅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904Y1
KR200280904Y1 KR2020020012384U KR20020012384U KR200280904Y1 KR 200280904 Y1 KR200280904 Y1 KR 200280904Y1 KR 2020020012384 U KR2020020012384 U KR 2020020012384U KR 20020012384 U KR20020012384 U KR 20020012384U KR 200280904 Y1 KR200280904 Y1 KR 200280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golf
putting
gradien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언주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언주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언주, 이현주 filed Critical 이언주
Priority to KR2020020012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904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골프장의 그린 구배(lie)와 같이 골프 퍼팅연습기의 상면부를 골프 연습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퍼팅 연습시 실제 골프장에서의 그린 구배(lie)와 같이 소정 구배로 조절된 가상그린(5)상에서 퍼팅 연습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절판(28,29)을 스프링과 같은 탄력연결수단(30)으로 연결하고, 상기 조절판(28,29)을 개별적으로 높이조절수단(6)에 의하여 높이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홀컵(7)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그린(5)의 구배를 골퍼가 원하는 구배로 조절연습할 수 있어 실전 연습효과가 극히 우수하며, 골프 퍼팅연습기(1)를 구성하는 프레임(2)의 4모서리에도 각각 받침대(21)와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3)을 설치하여 골퍼가 원하는 구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직선 퍼팅연습, 단순 경사에 따른 퍼팅연습 등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어 골퍼의 실력에 맞는 적절한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고, 골프공(8)이 홀컵(7)에 홀인되었을 시에 실제 골프장에서와 같이 경쾌한 금속성 음을 들을 수 있어 골프 퍼팅연습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퍼팅된 골프공(8)은 골퍼가 연습하는 위치로 자동 회수되어 연습능률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퍼팅연습기{Golf putting mat}
본 고안은 골프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골프장의 그린 구배(lie)와 같이 골프 퍼팅연습기의 상면부를 골프 연습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골프는 한 라운드에 18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린 홀컵 주변의 구배는 제 각각 특색을 가지고 있는데, 홀컵 주위의 구배가 같은 그린은 사실상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골프장의 홀컵 주위의 특색있는 구배에 대한 퍼팅 등의 연습을 일부 국가에서는 필드에서 저렴한 경비로 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주로 실내연습장에서 연습을 행하고 있고 그 경비도 일반인에게는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더구나 실내연습장에서 골프 퍼팅 연습에 사용하고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 및 제반 시설은 형식적인 수준인바,
즉, 지금까지의 골프 퍼팅연습기는 주로 구배가 없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상면부(실전에서의 홀컵 주변의 그린)를 가지고 있어 직선 퍼팅연습을 행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일부 골프 퍼팅연습기에서는 4모서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면부가 소정 경사도를 갖도록 한 것 등이 안출되어 골프장의 그린 구배와 유사한 구배를 구현시켜 퍼팅 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골프장의 실제 구배와는 상이하게 수평면 전체가 한쪽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정도에 거쳐 실제 그린의 구배에서의 퍼팅 적응훈련은 행해질 수 없었던 것이다.
즉, 기존의 알려진 골프 퍼팅연습기는 오락성은 제공하지만, 골프장의 그린 구배에 따른 퍼팅 연습 효과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전과 같은 그린 구배에 대한 적응훈련을 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골프 퍼팅연습기가 단순히 오락성 내지는 일부 한정된 구배에 따른 연습효과만을 제공함에 따른 실전 연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골퍼가 그린의 구배를 원하는 구배로 임의로 조절하여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우선 골프 퍼팅연습기의 상면, 즉 가상그린이 골퍼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구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코자 하며, 임의조절된 가상그린이 실제 골프장의 그린과 같이 원만한 구배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실전에서 반복된 연습을 하는 것과 동일한 퍼팅연습효율을 득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골프 퍼팅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공명통을 발췌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프레임 4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상그린을 구성하는 조절판을 개별적으로 높이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보인 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가상그린을 구성하는 조절판을 개별적으로 높이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발췌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승강부재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골프 퍼팅연습기의 다양한 퍼팅연습 중 골프공의 진행경
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골프 퍼팅연습기를 이용한 골프공의 진행경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골프 퍼팅연습기 2:프레임
3:높이조절수단 4:인조매트
5:가상그린 6:높이조절수단
7:홀컵 8:골프공
9:배출호퍼 10:골프공회수관
11:골프공회수공 12:공명실
13:배출공 14:공명통
15:조절케이싱 15a:고정볼트
16:조절스크류 16a:렌치결합부
16b:스토퍼 17:암나사
18:승강부재 19:고정볼트
20:포스트 21:받침대
21a:결합요부 22:승강고정편
22a:(반구형)단부 23:핀볼트
24,25:결합공 26:캡
27:고정볼트 28,29:조절판
30:탄력연결수단 31:연결공
32:돌출부 33:요입부
34:연결봉 35:승강고정편
36:조절케이싱 37:조절스크류
37a:렌치결합부 37b:스토퍼
38:암나사 39:승강부재
40:고정볼트 41:포스트
42,43:결합공 44:캡
45:고정볼트 46:이탈방지턱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골프 퍼팅연습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골프 퍼팅연습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골프 퍼팅연습기(1)는 다양한 실전 퍼팅연습, 즉 초보자의 직선 퍼팅연습, 중급자가 평면 구배를 임의로 조정하여 행하는 퍼팅연습, 상급자와 프로들을 위한 다양한 구배를 갖는 퍼팅연습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골프 퍼팅연습기(1)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골프 퍼팅연습기(1)를 구성하는 프레임(2)의 사방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3)-일명 '구배(lie)조정기'-과 인조매트(4)가 안치고정되는 플렉시블 타입의 가상그린(5)을 개별적으로 높이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6)-일명 '구배(lie)조정기'-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소정 길이(약 3m 정도)를 가지며, 개략 직사각형이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2)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가상그린(5)이 높이조절수단(6)에 의해 부분적인 높이조절이 되어 구배가 임의 조절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상그린(5)의 구성 등에 대하여는 후술키로 한다.
그리고 가상그린(5)의 단부에는 골프공이 홀인될 수 있는 홀컵(7)이 중앙과 이의 좌우로 각각 형성되어 총 3개의 홀컵(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컵(7)의 하부에는 홀컵(7)으로 홀인된 골프공(8)이 골퍼가 연습하는 위치로 골프공(8)을 회수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배출호퍼(9)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호퍼(9)는 골프공회수관(10)과 상호 연통시켜 골프공회수관(10)의 단부가 골퍼가 연습을 하는 위치까지 길게 연장형성되어 골프공회수공(11)이 골퍼가 위치하는 곳에 연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퍼(9)의 골프공(8)이 낙하하는 위치에는 실제 골프장에서 홀컵으로 골프공이 홀인되었을 때 발생되는 소리와 동일한 금속성의 경쾌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도록 공명실(12)과 배출공(13)이 형성된 공명통(14)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안치단(9a)을 형성한다.
프레임(2)의 4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3)은 프레임(2)의 각 모서리부를 임의로 구배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를 위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4모서리부에 고정볼트(15a)로 고정되는 조절케이싱(15) 상에 수직방향으로 조절스크류(16)를 중앙에 축설치하고, 상기 조절스크류(16)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한 암나사(17)를 가진 승강부재(18)를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고정볼트(19)로 결합시킨다.
상기 승강부재(18)의 좌우로는 승강부재(18)가 승강시 안정적으로 승강안내역할을 할 수 있도록 포스트(20)가 일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승강부재(18)와 상단부가 고정되어 승강부재(18)의 승강작동에 따라 하부에 고정된 받침대(21)와 프레임(2) 상간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게 하는 승강고정편(22)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고정편(22)은 받침대(21)와 소정 각도를 갖고 승강조절이 될 수 있도록 받침대(21)의 결합부위를 반구형의 결합요부(21a)로 구성하고, 승강고정편(22)의 하단 역시 이에 면접되는 반구형 단부(22a)로 구성하여 상호 핀볼트(23)로 연결시키도록 한다.
조절케이싱(15)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스크류(16)와 포스트(20)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공(24,25)을 가진 캡(26)이 고정볼트(27)로 고정되며, 조절스크류(16)의 상단부은 상기 캡(26)의 결합공(24) 상부로 돌출되어 단부에는 조절스크류(16)의 회전조절을 위한 육각 또는 사각 등의 렌치결합부(1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스크류(16)의 상하에는 승강부재(18)의 상하 승강조절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과다조절로 인한 장치의 오작동 내지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플렌지형의 스토퍼(1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골프 퍼팅연습기(1)에 있어서, 가상그린(5)내의 구배를 전체 및 부분적으로 골퍼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상그린(5)은 도 5와 같이 다수개의 조절판(28,29)을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접되게 하여 이들을 상호 스프링과 같은 탄력연결수단(30)으로 연결설치토록 한다.
즉, 조절판(28,29)상에 횡방향으로 연결공(31)을 형성하여 탄력조절수단(30)이 개재되도록 연결시켜 이웃하는 조절판(28,29) 상간에는 적정한 탄력조절로 인하여 하나의 조절판(28)이 승강조절되면 이웃하는 조절판(29) 역시 이의 승강조절폭에 따라 동시에 연동하면서 소정의 구배가 단차없이 원만하게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웃하는 조절판(28,29) 상간에는 이들의 임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각도조절 시에도 조절된 각도를 수용하면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암수 타입의 연결부, 즉 반구형 돌출부(32)와 반구형 요입부(33)를 상호 대응면에 형성하여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 각각의 조절판(28,29) 양단에는 높이조절수단(6)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34)이 고정되어 높이조절수단(6)의 승강고정편(35)과 연결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6)을 구성하는 조절케이싱(36)은 프레임(2)의 내측면에 고정볼트(36a)로 고정설치되는데, 이는 조절케이싱(36) 상에 수직방향으로 조절스크류(37)를 중앙에 축설치하고, 상기 조절스크류(37)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한 암나사(38)를 가진 승강부재(39)를 분할형으로 구성하여고정볼트(40)로 결합시킨다.
상기 승강부재(39)의 좌우로는 승강부재(39)가 승강시 안정적으로 승강안내역할을 할 수 있도록 포스트(41)가 일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승강부재(39)와 하단부가 고정되어 승강부재(39)의 승강작동에 따라 상부에 연결봉(34)으로 연결된 조절판(28,29)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게 하는 승강고정편(35)이 결합된다.
상기 조절케이싱(36)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스크류(37)와 포스트(41)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공(42,43)을 가진 캡(44)이 고정볼트(45)로 고정되며, 조절스크류(37)의 상단부은 상기 캡(44)의 결합공(42) 상부로 돌출되어 단부에는 조절스크류(37)의 회전조절을 위한 육각 또는 사각 등의 렌치결합부(3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스크류(37)의 상하에는 승강부재(39)의 상하 승강조절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과다한 조절로 인한 장치의 오작동 내지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플렌지형의 스토퍼(3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판(28,29)상의 높이조절수단(6)은 이웃하는 조절판(28,29)과 하나 내지는 2개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절판(28,29)의 상부에는 인조매트(4)를 복개시키고, 인조매트(4)의 유동이나 골프공(8)의 이탈을 사전에 막아주기 위한 이탈방지턱(46)을 양 단부에 형성토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턱(46)은 조절판(28,29)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분리형성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연결봉(34) 역시 조절판(28,29)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조절판(28,29)에 고정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골프 퍼팅연습기(1)를 사용한 구배(lie)조절방법 및 골프 퍼팅연습 과정 등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퍼(golfer)는 자신의 실력에 맞게 직선 퍼팅 연습 및 소정 구배를 갖는 퍼팅 연습 등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는바,
우선 단순히 직선 퍼팅 연습을 행하고자 할 시는 골프 퍼팅연습기(1)의 상면부인 인조매트(4)의 퍼팅위치(P)에 골프공(8)을 안치한 후 퍼터(putter)를 사용하여 프레임(2) 타측에 형성된 3개의 홀컵(7)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도 11과 같이 직선 퍼팅연습을 수행하면 된다.
홀컵(7)에 홀인된 골프공(8)은 배출호퍼(9) 상에 설치된 공명통(14)상에 낙하하게되어 공명통(14)내의 공기를 공명시켜 배출공(13)을 통하여 실제 골프장에서 홀컵에 골프공이 홀인되었을 경우처럼 경쾌한 금속성 음을 내게되어 골퍼에게 연습의 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배출호퍼(9)에 낙하된 골프공(8)은 이와 연통된 골프공회수관(10)을 통하여 골퍼가 연습하는 위치로 이송되어 골프공회수공(11)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골퍼가 프레임(2)의 4모서리 중 어느 한 방향을 높이조절하여 가상그린(5)을 일정 방향으로만 기울기를 조정하여 퍼팅 연습을 행하고자 할 경우는 프레임(2) 4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수단(3) 중 하나 이상을 높이조절하여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는 높이조절수단(3)의 조절스크류(16) 상단의 렌치결합부(16a)를 렌치를 사용하여 파지한 후 조절스크류(16)를 정역방향으로 선택 회전시키면 이와 나사결합된 승강부재(18)가 승강 안내용 포스트(2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18) 일측에 고정된 승강고정편(22)이 승강조절되므로 이의 하단에 핀볼트(23)로 연결된 받침대(21)와 프레임(2)과의 상하 간격이 조절되어 프레임(2)은 높이조절되므로 그에 따라 가상그린(5)은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에 의한 프레임(2)의 경사조절 시에 승강고정편(22)과 핀볼트(23)로 연결된 받침대(21)는 프레임(2)이 경사조절되었을 경우에도 설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연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승강고정편(22)의 하단부는 반구형 단부(22a)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 대응하는 받침대(21)의 대응면 역시 반구형의 결합요부(21a)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프레임(2)의 경사조절로 받침대(21)와 승강고정편(22) 상간에 각도가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인 프레임(2)의 지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가상그린(5)의 상부를 골퍼가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부분적 구배조절이 가능한 바, 이러한 경우는 가상그린(5)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조절판(28,29) 중 원하는 조절판(28,29)의 높이조절수단(6)을 개별적으로 높이조절함으로서 원하는 부분의 구배(lie)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높이조절수단(6)의 상부에 노출된 조절스크류(37) 상단의 렌치결합부(37a)를 렌치를 사용하여 파지한 후 조절스크류(37)를 정역방향으로 선택 회전시키면 이와 나사결합된 승강부재(39)가 승강 안내용 포스트(4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39) 일측에 고정된 승강고정편(35)이 상승 또는 하강조절되므로 이의 상부에 연결봉(34)에 의해 연결된 조절판(28,29)이 승강조절되어 해당 조절판(28,29)이 위치한 가상그린(5)이 구배조절되어 도 11과 같이 홀컵(7) 중 하나를 공격 목표로 하여 다양한 구배에 대한 퍼팅 연습을 실전과 같이 다양하게 연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웃하는 조절판(28,29)은 상호 암수 타입의 돌출부(32)와 요입부(33)로 이루어져 있어 조절판(28,29) 중 하나가 높이조절되어 경사를 갖게 되면 이웃하는 조절판(28,29)은 탄력조절수단(30)에 의해 연결되고 상호 연접면에 돌출부(32)와 요입부(33)로 탄력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완만한 경사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조절판(28,29)의 상면부에는 인조매트(4)가 복개되어 있으므로 가상그린(5)의 상면부는 실제 골프장의 그린과 같은 요철이 없는 소정 구배를 갖는 가상그린(5)으로 조절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골프 퍼팅연습기(1)는 골프 애호가들이 골프의 퍼팅 연습을 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퍼팅 연습시 실제 골프장에서의 그린 구배와 같이 소정 구배로 조절된 가상그린(5)상에서 퍼팅 연습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절판(28,29)을 스프링과 같은 탄력연결수단(30)으로 연결하고, 상기조절판(28,29)을 개별적으로 높이조절수단(6)에 의하여 높이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홀컵(7)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그린(5)의 구배를 골퍼가 원하는 구배로 조절연습할 수 있어 실전 연습효과가 극히 우수하며,
골프 퍼팅연습기(1)를 구성하는 프레임(2)의 4모서리에도 각각 받침대(21)와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3)을 설치하여 골퍼가 원하는 구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직선 퍼팅연습, 단순 경사에 따른 퍼팅연습 등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어 골퍼의 실력에 맞는 적절한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고,
골프공(8)이 홀컵(7)에 홀인되었을 시에 실제 골프장에서와 같이 경쾌한 금속성 음을 들을 수 있어 골프 퍼팅연습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퍼팅된 골프공(8)은 골퍼가 연습하는 위치로 자동 회수되어 연습능률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5)

  1. 프레임(2)의 상면부 일측에 하나 이상의 홀컵(7)이 형성된 가상그린(5)을 갖는 골프 퍼팅연습기(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4모서리부에는 프레임(2)의 일측 모서리부를 높이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상그린(5)은 상부에 인조매트(4)가 복개된 다수개의 조절판(28,29)을 횡방향으로 수개의 연결공(31)을 통하여 탄력조절수단(30)으로 탄력설치하고, 상기 조절판(28,29)의 양단부에는 연결봉(34)을 설치하여 높이조절수단(6)과 연결하여 조절판(28,29)이 개별적으로 높이조절되어 가상그린(5)이 소정 구배를 갖도록 부분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은 프레임(2)의 4모서리부에 고정볼트(15a)로 고정되며 상부에는 결합공(24,25)을 가진 캡(26)이 고정된 조절케이싱(15) 상에 렌치결합부(16a)를 상단에 가지며 상하로 스토퍼(16b)가 형성된 조절스크류(16)를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축설치하고,
    상기 조절스크류(16)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한 암나사(17)를 가진 승강부재(18)를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고정볼트(19)로 결합하며,
    상기 승강부재(18)의 일측에는 승강안내용 포스트(2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승강부재(18)와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가 받침대(21)와 핀볼트(23)로 연결되는 승강고정편(2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1)와 승강고정편(22)의 연결단부는 반구형 결합요부(21a)와 반구형 단부(22a)로 구성되어 핀볼트(23)를 기점으로 소정 폭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28,29)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봉(34)과 연결된 높이조절수단(6)은 프레임(2) 내측 대응면에 고정볼트(36a)로 고정되며 상부에는 결합공(42,43)을 가진 캡(44)이 고정된 조절케이싱(36) 상에 렌치결합부(37a)를 상단에 가지며 상하로 스토퍼(37b)가 형성된 조절스크류(37)를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축설치하고,
    상기 조절스크류(37)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한 암나사(38)를 가진 승강부재(39)를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고정볼트(40)로 결합하며,
    상기 승강부재(39)의 일측에는 승강안내용 포스트(4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승강부재(39)와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가 연결봉(34)과 연결되는승강고정편(3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여 설치되는 조절판(28,29)의 연접면에는 요철형의 돌출부(32)와 요입부(33)가 상호 대응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연습기.
KR2020020012384U 2002-04-23 2002-04-23 골프 퍼팅연습기 KR200280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84U KR200280904Y1 (ko) 2002-04-23 2002-04-23 골프 퍼팅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84U KR200280904Y1 (ko) 2002-04-23 2002-04-23 골프 퍼팅연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067A Division KR100469081B1 (ko) 2002-04-02 2002-04-02 골프 퍼팅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904Y1 true KR200280904Y1 (ko) 2002-07-06

Family

ID=7307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84U KR200280904Y1 (ko) 2002-04-23 2002-04-23 골프 퍼팅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81B1 (ko) * 2019-03-28 2019-06-25 김한섭 퍼팅 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81B1 (ko) * 2019-03-28 2019-06-25 김한섭 퍼팅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882B1 (ko) 2단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 스윙연습용 발판
KR100469081B1 (ko) 골프 퍼팅연습기
ES2317438T3 (es) Sistema elevador de trinquete.
KR101387848B1 (ko) 제네바기어를 이용한 실내골프 스윙매트 자동 공급장치
KR101047111B1 (ko) 무대장치 조립구조
KR200280904Y1 (ko) 골프 퍼팅연습기
KR101187335B1 (ko) 골프 퍼팅 각도 변환장치
US20210038957A1 (en) Game net
CN105833506A (zh) 可击倒的沙包
KR1010588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US1856259A (en) Golf tee
KR200302620Y1 (ko) 골프 퍼팅연습기
KR200402966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94601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20090131372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타격발판
KR100813031B1 (ko) 다수의 천정 거푸집 지지용 지지장치
KR20110029992A (ko)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KR200278071Y1 (ko) 골프연습및 놀이용 세트
KR100498142B1 (ko) 골프 트러블샷 스윙 연습기
KR920005358Y1 (ko) 자동 경사장치가 설치된 골프연습용 매트판
KR20220000625U (ko) 골프연습장용 경사 퍼팅 연습장치
KR20030062565A (ko) 골프연습용 발판의 경사조절장치
KR100537848B1 (ko) 골프 연습용 인공 지형 조절장치
KR100625613B1 (ko) 골프 연습 시스템
KR200372814Y1 (ko) 골프스윙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