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07Y1 - 무선인식 판독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인식 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07Y1
KR200280807Y1 KR2020020010173U KR20020010173U KR200280807Y1 KR 200280807 Y1 KR200280807 Y1 KR 200280807Y1 KR 2020020010173 U KR2020020010173 U KR 2020020010173U KR 20020010173 U KR20020010173 U KR 20020010173U KR 200280807 Y1 KR200280807 Y1 KR 200280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ersonal portable
reade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옥
Original Assignee
이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옥 filed Critical 이인옥
Priority to KR2020020010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0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정보처리능력과 무선에 의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과 RF-ID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을 결합하여, RF-ID만으로 정보 시스템을 구성할 때의 이동 거리의 제한과 정보처리 능력의 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무선인식 판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무선으로 상기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인식 판독부, 무선인식 판독부에서 판독한 정보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직렬 통신부, 직렬 통신부에서 전송된 판독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신호 변환부로 무선인식 판독장치를 구현하고, 상기 태그에 기록된 무선인식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정보를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해준다.

Description

무선인식 판독 장치{Apparatus for readin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본 고안은 무선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RF-ID) 판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PDA 등)와의 인터페이스가 용이하도록 한 무선인식 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인식(RF-ID) 판독장치는 비접촉식 카드인 RF-ID 카드(Tag)를 판독하는 장치로서, 생산방식의 변화, 소비자 의식의 변화, 문화 및 기술의 진보, 바코드와 마그네틱 카드의 단점 해소 요구에 의해 개선되어진 RF-ID 카드가 활성화 되고 있다.
RF-ID는 기존과 같이 사무 자동화나 공장 자동화에서 상품이나 제품을 분류하고 이를 자동으로 자료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은 도 1과 같다.
도 1은 종래 무선인식 판독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은 ID 및 데이터가 저장된 태그(Tag)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은 상기 태그(1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인식 판독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상기 무선인식 판독기(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판독된 정보를 처리하는 호스트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 태그(10)는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상품이나 제품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태그(1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무선인식 판독기(20)에서 판독하게 된다.
상기 태그(10) 및 무선인식 판독기(20)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기술마다 각자의 장점이 있으나 어떤 시스템이든지 RF-ID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의 구성에는 반드시 판독장치를 필요로 한다.
무선인식 판독기(20)가 판독한 정보는 호스트 시스템(30)으로 전송되어 목적에 따른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정보 전달의 과정을 살펴보면, 태그(10)로부터 무선인식 판독기(20)까지는 무선으로 처리되고, 무선인식 판독기(20)부터 호스트 시스템(30)까지는 유선으로 처리된다.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태그에서 판독기까지의 거리는 태그와 판독기를 구성하고 있는 기술에 따라 상이하나, 짧은 것은 수십 밀리미터(MM)에서 길어야 수 미터(M)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거리 상의 제약으로 인해 그 용도가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판독기는 단순히 태그의 정보를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달시켜 주는 역할만 하므로 판독한 정보를 근거로 한 다음의 프로세스는 호스트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호스트는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데는 한계가 따르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보급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은 도 2와 같이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휴대용 단말기(40)(PDA)와,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50)와, 상기 수신기(50)와 연결되어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시스템(60)으로 구성된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처리 시스템도 기본적으로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무선에 의한 이동형 정보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4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는 필요에 따라 수신기(50)를 거쳐 정보처리 시스템(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처리 시스템(60)은 호스트나 여러 개의 PDA를 관장하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그 자체로서 하나의 호스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무선에 의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거리가 보통 수십 미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인식 판독장치가 갖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PDA 등)와의 인터페이스가 용이토록 한 무선인식 판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정보처리능력과 무선에 의해정보를 전달할 수 잇는 능력과 RF-ID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을 결합하여, RF-ID만으로 정보 시스템을 구성할 때의 이동 거리의 제한과 정보처리 능력의 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무선인식 판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무선인식 판독장치는,
ID 및 데이터가 저장된 태그,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 기록된 무선인식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정보를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해주는 무선인식 판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인식 판독기는,
무선으로 상기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인식 판독부와;
상기 무선인식 판독부에서 판독한 정보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직렬 통신부와;
상기 직렬 통신부에서 전송된 판독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신호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무선인식 판독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선인식 판독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선인식 판독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태그
120 ..... 무선인식 판독기
121 ..... 안테나
122 ..... 무선인식 판독부
123 ..... 직렬 통신부
124 ..... 신호 변환부
130 ..... 수신기
140 ..... 정보처리 시스템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선인식 판독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10은 ID 및 데이터가 저장된 태그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20은 상기 태그(110)에 기록된 무선인식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해주는 무선인식 판독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30은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40은 상기 수신기(130)에서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 무선인식 판독기(120)와 수신기(130)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신기(13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선인식 판독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무선인식 판독기(120)는 상기 태그(110)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판독하고, 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단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한다.
그러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이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130)로 전송하게 되고, 수신기(130)와 연결된 정보처리 시스템(140)은 상기 수신기(130)에서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인식 판독기(12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상기 무선인식 판독기(120)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상기 태그(110)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21)와; 상기 안테나(121)에 의해 수신한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인식 판독부(122)와; 상기 무선인식 판독부(122)에서 판독한 정보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직렬 통신부(123)와; 상기 직렬 통신부(123)에서 전송된 판독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신호 변환부(1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선인식 판독기는, 먼저 안테나(121)에서 상기 태그(11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무신인식 판독부(122)에서 상기 안테나(121)에서 무선으로 수신한 정보를 판독한다.
이렇게 판독된 정보는 직렬 통신부(123)에서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후단의 신호 변환부(124)에 전달된다.
여기서 직렬 통신부(123)는 RS-232C 또는 RS422, RS485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으로, 국제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협회(PCMCIA)에서 제정한 규격에 대응하는 PCMCIA 카드, 콤팩트 플래시 카드, 직렬 통신 등이 있다.
직렬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판독기를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이 쉽지 않고, 설혹 일체로 만든다고 하더라도 두 개의 장치가 결합된 형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판독기와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PCMCIA 카드나 콤팩트 플래시 카드로 인터페이스하도록 하였다.
즉, 직렬 통신부(123)를 PCMCIA카드나 콤팩트 플래시 카드로 변환시켜 주면 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신호 처리부(124)에서 상기 직렬 통신부(123)의 직렬 신호를 상기 PCMCIA카드나 콤팩트 플래시 카드의 신호로 변환을 하여 연결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한다.
그러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124)는 이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게되고, 수신기(130)는 이를 수신하여 정보처리 시스템(140)에 전달한다.
그러면 정보처리 시스템(140)에서 해당 정보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정보처리능력과 무선에 의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및 RF-ID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PDA가 갖는 우수한 이동성과 정보처리능력을 RF-ID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으로 확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정보처리능력과 무선에 의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및 RF-ID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PDA가 갖는 우수한 이동성과 정보처리능력을 RF-ID를 이용한 정보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무선인식 판독장치를 PDA에 카드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ID 및 데이터가 저장된 태그,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 기록된 무선인식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정보를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해주는 무선인식 판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판독기는,
    무선으로 상기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인식 판독부와;
    상기 무선인식 판독부에서 판독한 정보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직렬 통신부와;
    상기 직렬 통신부에서 전송된 판독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신호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PCMCIA카드나 콤팩트 플래시 카드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 판독장치.
KR2020020010173U 2002-04-04 2002-04-04 무선인식 판독장치 KR200280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73U KR200280807Y1 (ko) 2002-04-04 2002-04-04 무선인식 판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73U KR200280807Y1 (ko) 2002-04-04 2002-04-04 무선인식 판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435A Division KR20030079420A (ko) 2002-04-04 2002-04-04 무선인식 판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07Y1 true KR200280807Y1 (ko) 2002-07-06

Family

ID=7312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73U KR200280807Y1 (ko) 2002-04-04 2002-04-04 무선인식 판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286B2 (en)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data recorded in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WO2006075367A1 (ja) 非接触情報記憶装置内の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215249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EP1282272B1 (en) Proximity transaction control method
JP2004348559A (ja) Idタグシステムおよびidタグならびにidタグリーダ・ライタ
CN101968854A (zh) 畜牧溯源管理用的rfid方法和设备
KR20070009228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rfid 리더통합모듈
CN210958364U (zh) 基于无线LoRa的RFID读写器及LoRa无线传输装置
CN111612116B (zh) 超高频rfid电子标签、读写装置、云端、及云管理系统
KR20070027172A (ko)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및 장치
CN210955099U (zh) 基于4g传输的rfid电子标签读写器及4g无线传输装置
CN110490016B (zh) 一种无线射频识别系统
CN104270482A (zh) 一种通用工业级移动终端便捷组装方法及使用方法
KR200280807Y1 (ko) 무선인식 판독장치
US20090160645A1 (en) Voice Over RFID
KR20030079420A (ko) 무선인식 판독 장치
KR20070056816A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CN100412881C (zh) 无线射频识别系统
KR100622641B1 (ko) Rfid 인식을 위한 이동단말과 관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160611A1 (en) Enhanced Communication Via RFID Interrogator
JP2013004054A (ja) アクティブrfid通信制御方法及びrfid無線機器
CN207752488U (zh) 一种rfid手持设备
CN201540583U (zh) Rfid智能天线
KR20100055707A (ko) Rfid 리더와 그의 베이스밴드 모뎀용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N205899554U (zh) 一种低功耗射频读卡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