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56Y1 -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56Y1
KR200280756Y1 KR2020020009282U KR20020009282U KR200280756Y1 KR 200280756 Y1 KR200280756 Y1 KR 200280756Y1 KR 2020020009282 U KR2020020009282 U KR 2020020009282U KR 20020009282 U KR20020009282 U KR 20020009282U KR 200280756 Y1 KR200280756 Y1 KR 200280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tone panel
truss
ston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주
Original Assignee
(주)대경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강건 filed Critical (주)대경강건
Priority to KR2020020009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56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지지용 트러스 및 그들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라브에, 각형 파이프 형상구조의 프레임 몸체 양측으로 1쌍의 날개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트러스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하여 수직상태로 설치하고, 그 트러스의 날개부에, 판상 몸체의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대향면에 각각 단차진 계단부가 엇갈리도록 형성된 석재판넬을 설치하되 인접된 석재판넬의 계단부가 상하로 겹치도록 서로 나란한 상태로 근접되게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써, 오픈조인트 공법에 의한 철골구조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시 시공비와 시공기간의 단축 및 방수와 차수효과를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함.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Constructing stone exterior wall and constru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조인트 공법에 의한 철골구조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시 방수 및 차수효과를 대폭 개선시킬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지지용 트러스 및 그들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이나 화강암과 같은 건축용 석재판넬은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되어 다수가 건축물의 외벽과 나란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커튼월을 형성하도록 외벽체로 마감 시공된다.
도 1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석재판넬(10)을 건축물의 외벽으로 마감하여 시공하는 경우, 통상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을 이루도록 철제틀로 제작된 트러스(20)를 건축물의 슬라브(30)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앵커(41)와 브라켓(42)과 같은 고정구(40)를 이용하여 상기 트러스(20)에 다수의석재판넬(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나란하게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소위, 건식 시공법에 의해 외벽체로 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시공구조에 의하면, 인접한 석재판넬(10)과의 사이에 틈새(11)가 형성되며, 그 틈새(11)를 통해 빗물이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기 틈새(11)를 석유화합물의 충전재로 밀폐시키는 소위, 코오킹에 의해 마감하게 되는 클로우즈드 조인트 공법(closed joint method)이 많이 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클로우즈드 조인트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상기 충전재(코오킹)가 자외선과 태양열, 산성비 등의 외부환경으로 인하여 물성이 기름성분으로 변하면서 건축물 외벽에 기름띠처럼 흘러 내려 외관상 보기가 흉할 뿐만 아니라 누수(漏水) 및 결로(結露)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여 석재판넬(21)을 지탱하는 철제 트러스(10)의 부식과 실내 마감재 등을 오염시켜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클로우즈드 조인트 공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접한 석재판넬(21)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11)에 대해 코오킹을 배제시킨 소위, 오픈 조인트 공법(open joint method)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오픈 조인트 공법에 의한 외벽 마감 시공시, 인접한 석재판넬(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11)에 코오킹이 배제됨에 따라 그 틈새(11)를 통한 빗물 누수나 결로 등으로 인한 앵커와 브라켓과 같은 고정구(40)및 철제 트러스(20)의 부식 등을 유발시켜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가 더욱 심각해지므로 실용화가 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석재판넬(10)과 트러스(20)의 사이에 예를 들어 아연도금 강판(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및 GI; Galvanized Iron)이나 스테인레스강판 등과 같이 표면에 방수처리막이 코팅된 금속판재를 방수판(50)으로 설치함에 따라 시공기간과 시공비용 등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석재판넬의 외벽 시공방법과 시공구조에 따르면, 석재판넬(10)을 지지하기 위한 철제 트러스(20)를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를 가지는 격자형 유니트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고, 그 트러스(20)를 건축물의 슬라브(30)에 설치한 다음, 비계나 곤도라를 타고 앵커와 브라켓 등의 고정구(40)를 이용하여 석재판넬(10)를 설치함에 따라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시공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의 목적은 오픈조인트 공법에 의한 철골구조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시 방수 및 차수효과를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제2의 목적은 상기한 제1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건축용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에 커튼월 형태로 지지하도록 시공함에 있어서 시공비와 시공기간의 단축 및 방수와 차수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의 목적은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의 목적과 제2의 목적 달성을 위한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지지용 트러스를 이용하여 오픈조인트 공법에 의한 철골구조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시 시공비와 시공기간의 단축 및 방수와 차수효과를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이 건축물의 외벽으로 시공 배열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으로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요부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석재판넬 110...평판형 몸체
111...계단부 200...트러스
210...몸체 211, 212...날개부
213...요홈 220...패킹부재
300...트러스 400...고정구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은, 판상 몸체의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대향면에 각각 단차진 계단부가 엇갈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석재판넬은, 판상 몸체의 상단부에는 내측이 단차지도록 계단부가 형성되고, 그와는 반대로 판상 몸체의 하단부에는 외측이 단차지도록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는,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되어 다수의 석재판넬이 외벽체를 형성하도록 커튼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러브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날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몸체는 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에는각각 상기 석재판넬과 밀착되도록 패킹부재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날개부의 사이에는 상기 석재판넬과의 사이에 수직상의 틈새 통로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는,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트러스에 다수의 석재판넬이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커튼월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는 상기 슬러브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몸체 및 그 몸체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1쌍의 지지날개를 가지며, 상기 석재판넬은 판상 몸체의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대향면에 각각 단차진 계단부가 엇갈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부가 상하로 겹치도록 서로 근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의 양측 날개부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몸체는 각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트러스의 날개부에는 각각 상기 석재판넬과 밀착되도록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의 날개부 사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넬과의 사이에 수직상의 틈새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지지용 트러스 및 그들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10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몸체(110)의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대향면에 각각 단차진 계단부(111)가 엇갈리도록 형성된 점에 그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특히 판상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내측이 단차지도록 계단부(111)가 형성되고, 그와는 반대로 판상 몸체(110)의 하단부에는 외측이 단차지도록 계단부(111)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100)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구조로 커튼월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외벽체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상하 인접되게 배열된 석재판넬(100)의 계단부(111)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여 상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틈새(101)를 통해 내외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통상적인 건축물 외벽 시공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100)을 사용하게 될 경우, 상하 인접되게 배열되는 석재판넬(10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101)가 계단부(111)에 의해 상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내외가 직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수 및 차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미설명 참조부호 400은 상기 석재판넬(100)을 후술하는 트러스(200; 도 5 내지 도 9 참조)에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를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석재판넬(100)을 건축물의 외벽체로 형성하기 위하여 커튼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는트러스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200)는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러브(미도시)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바아형상 또는 각형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양측으로 각각 대칭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1쌍의 지지날개(211)(212)를 가지는 점에 그 구성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날개(211)(212)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100)을 커튼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날개부(211)(212)에는 각각 지수재로서 고무재나 합성수재 등으로 이루어진 방수시트(220)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그 방수시트(220)는 상기 석재판넬(100)과 밀착하여 방수 및 차수수단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211)(212)의 사이에는 상기 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213)이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넬(100)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수직상의 틈새 통로를 형성하여 풍압 흡수 등을 통해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200)는 예를 들어 아연도금 강판(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및 GI; Galvanized Iron)이나 스테인레스강판 등과 같이 표면에 방수처리막이 코팅된 금속재 또는 알루미늄 합금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01)과 볼트(402) 및 앵커(403) 등의 고정구(400)를 통해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라브(300)에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트러스(200)는 건축물의 규모나 구조 등에 따라 일정한 규격의 단위 유니트로 제작되며, 그 단위 유니트 다수가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하층부에 이르기까지 연속하여 수직상태로 설치되는데, 창구 등의 개구부에 이르는 구간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불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슬라브(300)에 단위 유니트 다수가 수직상태로 설치된 트러스(20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건축물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슬라브(300)에 트러스(200)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200)의 날개부(211)(212)에 앵커볼트(403) 등의 고정구(400)를 이용하여 석재판넬(100)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시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존의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에 있어서 석재판넬(10)을 트러스(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구(40)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200)는 그 몸체(210)의 전면부가 좌우 인접되게 배열되는 석재판넬(100)의 틈새(101)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므로, 기존의 시공구조에서와 같이 직통되는 틈새 형성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100)과 그 지지용 트러스(200)를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을 시공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접된 석재판넬(100)의 상하는물론 좌우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101)를 통풍이 가능한 상태에서 직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방수판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완벽에 가까운 방수 및 차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석재판넬과 그 지지용 트러스 및 그들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오픈조인트 공법에 의한 철골구조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시 방수와 차수효과를 대폭 향상시켜 빗물침투에 따른 누수 및 결로 등으로 인한 고정구, 트러스 등의 부식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와 시공기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석재판넬과 석재판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브라켓이나 앵글과 같은 고정구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외관미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판상 몸체의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대향면에 각각 단차진 계단부가 엇갈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2.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되어 다수의 석재판넬이 외벽체를 형성하도록 커튼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러브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1쌍의 날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몸체는 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석재판넬 지지용 트러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각각 상기 석재판넬과 밀착되는 방수시트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사이에는 상기 석재판넬과의 사이에 수직상의 틈새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6. 철골구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트러스에 다수의 석재판넬이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커튼월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는 상기 슬러브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 몸체 및 그 프레임 몸체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1쌍의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석재판넬은 판상 몸체의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부 대향면에 각각 단차진 계단부가 엇갈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부가 상하로 겹치도록 서로 근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러스의 양측 날개부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날개부에는 각각 상기 석재판넬과 밀착되는 방수시트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날개부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넬과의 사이에 수직상의 틈새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KR2020020009282U 2002-03-28 2002-03-28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KR200280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282U KR200280756Y1 (ko) 2002-03-28 2002-03-28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282U KR200280756Y1 (ko) 2002-03-28 2002-03-28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965A Division KR20020041360A (ko) 2002-03-28 2002-03-28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방법과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56Y1 true KR200280756Y1 (ko) 2002-07-13

Family

ID=7308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282U KR200280756Y1 (ko) 2002-03-28 2002-03-28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19B1 (ko) 2005-11-10 2007-07-20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판넬의 시공구조
KR100816259B1 (ko)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CN116971578A (zh) * 2023-09-23 2023-10-31 佛山市广亚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铝型材及铝型材间断式开孔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19B1 (ko) 2005-11-10 2007-07-20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판넬의 시공구조
KR100816259B1 (ko)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CN116971578A (zh) * 2023-09-23 2023-10-31 佛山市广亚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铝型材及铝型材间断式开孔工艺
CN116971578B (zh) * 2023-09-23 2024-01-16 佛山市广亚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铝型材及铝型材间断式开孔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en et al. Architectural detailing: function, constructibility, aesthetics
US8291652B2 (en) Device for holding photovoltaic panels on a roof, including holding means allowing an air flow between a base plane and the photovoltaic panel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0889615B1 (ko) 건축물에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용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조립 시스템
CN105926982B (zh) 装配式轻钢吊脚楼
CN113073803A (zh) 一种装配式外挂墙板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280756Y1 (ko)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구조
CN214884602U (zh) 外挂墙板
RU6713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фасадных плит
KR200482922Y1 (ko) 빗물 유입을 차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커튼 월 복층패널 장착용 프레임
KR20020041360A (ko) 건축용 석재판넬 및 그 석재판넬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시공방법과 시공구조
US4056907A (en) Building blocks and support structure
RU69533U1 (ru) Навесная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и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варианты)
JP4343159B2 (ja) バルコニー防水構造およびバルコニー防水構造の構築方法
CN110725424A (zh) 被动式钢结构房屋
KR20010068152A (ko) 오픈 조인트 공법에 의한 철골구조 건축물의 석재외벽건식 시공방법
CN213837077U (zh) 一种岩棉夹芯板的防水结构
JP5269308B2 (ja) 建物の外部床の床面構造、及び該床面構造の形成方法。
JP2019031864A (ja) 建物の止水構造
CN115897849B (zh) 一种通风型太阳能光伏自保温外墙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463025B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RU189434U1 (ru) Панель фасадная утеплительная
Watts Sheet metal
JPH0518405Y2 (ko)
JP3381135B2 (ja) 外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