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32Y1 -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32Y1
KR200280732Y1 KR2020020008776U KR20020008776U KR200280732Y1 KR 200280732 Y1 KR200280732 Y1 KR 200280732Y1 KR 2020020008776 U KR2020020008776 U KR 2020020008776U KR 20020008776 U KR20020008776 U KR 20020008776U KR 200280732 Y1 KR200280732 Y1 KR 200280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ble
layer
field structure
hot water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태조
Original Assignee
곽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태조 filed Critical 곽태조
Priority to KR2020020008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32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들장 구조체에 있어서, 표면을 형성하는 대리석층과, 상기 대리석의 하부에 적층되며 황토를 주재료로 갖는 보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유해파를 방지하며, 열보존 능력 및 내구성등을 높일 수 있고, 습한 날씨에 빠른 대처로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구들장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SYSTEM HAVING FLAT STONE}
본 고안은, 구들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을 형성하는 대리석층과, 상기 대리석의 하부에 적층되는 보료층을 포함하는 구들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온돌을 주로 사용하였다. 온돌에 의한 난방법은 우리민족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거의 대부분의 민가(民家)에서 사용되고 있다. 온돌의 난방원리는 열의 전도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돌(구들장)에 화기를 도입시켜,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하는 것으로, 전도에 의한 난방 이외에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하고 있다.
이러한 온돌구조의 난방방식은 열효율이 좋고 연료나 시설이 경제적이며, 고장이 별로 없을 뿐 아니라 난방구조에 빈번한 손질이 필요하지 않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근래에 온돌구조가 선호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아궁이를 통해 온돌에 직접 열을 전달하였으나 시대가 변함으로서 온수파이프를 통하여 온돌에 열을 가하게되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온수를 만들기 위하여 화석연료를 주로 사용하는데, 갑작스러운 연료부족으로 인하여 필요한 온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수파이프는 물에 열을 가하여서 난방을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이나 연료가 많이 들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장마철이나 습한 날씨에 빨리 대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온돌구조들이 제시되고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 형태의 바닥면(130)위에는 온수가 지나는 스틸 또는 동으로 만들어진 파이프(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파이프(121)주위에는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이 충진된 중간층(123)이 배치된다. 중간층(123)의 상부에는 인조석판(110)등이 놓여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콘크리트에서 나오는 유해파가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조석판(110)등은 파이프(121)의 열에 취약하며, 열보존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온수파이프의 갑작스러운 파손에 대해 즉각적인 대처를 하며, 콘크리트 구조의 유해파를 방지하며, 일반석판의 열보존 능력 및 내구성등을 높일 수 있는 구들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들장 구조체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들장 구조체에 대한 단면도,
도3은 도 2의 보료층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와 설명
10 : 표면층 20 : 보료층
21 : 온수파이프 25 : 전열선
23 : 황토
27 : 맥반석가루, 참숯, 취옥석, 유봉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들장 구조체에 있어서, 표면을 형성하는 대리석층과, 상기 대리석층의 하부에 적층되며 황토를 주재료로 갖는 보료층을 포함하는 구들장 구조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료층은 참숯과 맥반석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료층은 난방수 파이프 및 전열선이 매설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보료층의 사시도이다.
표면층(10)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인체와 직접 접촉한다. 표면층(10)은 대리석, 특히 천연대리석으로 구성함이 바람직 하며, 이로써 에너지 보존성을 높여 경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내구성면에 있어서도 다른 바닥재 재료,특히 시멘트 콘크리트 보다 우위에 있으므로 또한 경비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보료층(20)은 천연재료인 황토(23)를 주재료로 포함하며, 참숯이나, 맥반석가루(27)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러한, 황토는, 열 또는 자연광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며, 악취와 노페물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분해력, 자정력, 흡수력 등이 뛰어나고,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숯은, 미세세공을 지닌 물질로, 1g당 무려 300m`^{ 3 } 라는 넓은 표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습, 흡취 등 흡착성이 높다. 특히 숯은 습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흡습 또는 방출하는 탈착작용을 하여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양방향 능력을 갖고 있어 건물의 습도 조절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숯에 의해 건물의 습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흰개미, 진드기, 바뀌벌레 등이 해충구제에 큰 도움이 된다. 더욱이 숯은 활성탄과 같이 음이온 전자가 많기 때문에 물질의 부패를 막아주고 산성화된 몸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맥반석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데, 특히 맥반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피부속 4~5cm까지 깊숙이 침투해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인체의 신진대사를 돕는다.
또한, 보료층(20)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열선(25) 및 온수파이프(21)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선(25)이 사용불가 할때 온수파이프(21)를 사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고, 반대로 온수파이프(21)가 사용 불가할 때는 전열선(25)을 사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다. 특히 전열선(25)은 단시간에 외부에 열을 전달 할 수있으므로, 장마시 습한 방안의 환경을 단시간에 건조하게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온수파이프의 갑작스러운 파손에 대해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의 유해파를 방지하며, 일반석판의 열보존 능력 및 내구성등을 높일 수 있고, 습한 날씨에 빠른 대처로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구들장 구조체가 제공된다.

Claims (3)

  1. 구들장 구조체에 있어서,
    표면을 형성하는 대리석층과;
    상기 대리석의 하부에 적층되며 황토를 주재료로 갖는 보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료층은 참숯, 맥반석가루, 취옥석, 유봉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료층에는 온수파이프 및 전열선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구조체.
KR2020020008776U 2002-03-25 2002-03-25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KR200280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76U KR200280732Y1 (ko) 2002-03-25 2002-03-25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76U KR200280732Y1 (ko) 2002-03-25 2002-03-25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32Y1 true KR200280732Y1 (ko) 2002-07-13

Family

ID=731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776U KR200280732Y1 (ko) 2002-03-25 2002-03-25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90859A (ja) 一種の赤外線電熱架空発熱床板及び組合せ床板
KR101610307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CA2248431A1 (en) Method of improving durability of a building, building, far-infrared radiation thermal storage floor heating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soil of building lot
KR101439014B1 (ko) 온수매트 및 이를 구비한 침대
CN201367662Y (zh) 复合轻型地暖
KR200280732Y1 (ko) 대리석을 이용한 구들장 구조체
KR101858332B1 (ko) 조립식 온수판넬장치
KR19990042934A (ko) 황토를 이용한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0858719B1 (ko) 조립식 구들장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101415959B1 (ko)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KR101341400B1 (ko) 에너지 절감구조를 이룬 한지황토구들장 및 한지황토구들장을 이용한 보온방법
JP4000092B2 (ja) 組立式サウナ室
JP3589452B2 (ja) 建物及びソーラーハウス
KR100751721B1 (ko) 황토 방바닥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94288B1 (ko) 통 원목마루 및 그 시공 방법
KR200410775Y1 (ko) 바닥 또는 벽체에 시공되는 카본 페이퍼를 이용한 마감재
KR100916083B1 (ko) 3중 구들 난방구조
KR101192515B1 (ko) 원통형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N213015153U (zh) 模块化保温卫生间底盘
KR100191266B1 (ko) 활성탄과 진흙 및 종이로 이루어진 패널부재
KR20040076340A (ko) 건강바닥층의 시공방법
KR20180106102A (ko) 축열재를 포함하는 친환경바닥재
KR100652484B1 (ko) 바이오세라믹토(土)를 이용한 무장판 방바닥 구조 및시공방법
JP2004089493A (ja) サウナ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