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406Y1 - Electronic Notepad - Google Patents

Electronic Note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406Y1
KR200280406Y1 KR2020020008390U KR20020008390U KR200280406Y1 KR 200280406 Y1 KR200280406 Y1 KR 200280406Y1 KR 2020020008390 U KR2020020008390 U KR 2020020008390U KR 20020008390 U KR20020008390 U KR 20020008390U KR 200280406 Y1 KR200280406 Y1 KR 200280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mory
signal
external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3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경진
Original Assignee
인피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피닉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406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래픽 LCD 모듈에 부착된 터치스크린 위에 터치펜으로 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여 이를 2차원 좌표 데이터로 전환한 다음 이를 근거로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발생기에 있어서 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영상표시기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동기화 뿐만 아니라 필기신호와 외부영상의 혼합기능에 의해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하되 이 두종류의 영상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저장, 편집시 필기 영상과 외부 영상을 별도로 취급하는 목적에 맞도록 영상포맷을 구성하고 혼합된 영상을 LCD에 표시함과 동시에 PC나 TV 영상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대방과 필기화면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영상 회의 및 통신도 가능하도록 하며, 영상신호의 입출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다양한 개인 정보를 필기 형태로 저장하여 읽고 쓸 수 있는 전자공책이나 전자메모책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LCD 및 터치스크린 모듈외에 입력 필기신호의 메모리 입력을 동기화 시키는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 하나의 메모리에 외부와 내부 필기신호를 모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제어부, 혼합영상과 내부 필기영상, 외부영상을 임의로 선택해서 표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와 영상선택부, 메모리 제어부의 동작을 관리하고 터치스크린의 동작을 읽어 전체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영상의 저장과 편집을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position value from the touch pen on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graphic LCD module, converts it into two-dimensional coordinate data, and then generates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image signal generator that can transmit to various display devices. In order to display the handwriting signal on the screen of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in real time, not only the video synchronization but also the storage function is stored in one memory by the mixing function of the handwriting signal and the external image, and the two kinds of images can be discrimina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figuring an image format for the purpose of separately handling a handwritten image and an external image during editing, displaying a mixed image on an LCD, and simultaneously exporting the image to a PC or TV image output. It also enables video conferencing and communication to send and receive handwriting screens with other parties. When not using video signal input / output,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handwritten form, such as electronic notebooks or electronic memo books that can be read and written. Is to make use of i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ory input synchronization unit for synchronizing the memory input of the input writing signal in addition to the LCD and touch screen module, a memory control unit for storing both external and internal writing signals in one memory, mixed image and internal handwriting image, Manages the operation of mode selector, image selector, and memory controller to select and display and output external images arbitrarily, and reads the operation of touch screen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and non-volatile for image storage and editing It includes a memory unit.

Description

전자메모장{Electronic Notepad}Electronic Notepad

전자칠판과 같은 필기장치는 사람이 직접 표시판에 입력해야하므로 입력 행위상의 불편함과 작은 글씨는 원거리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점, 제품이 고가인 점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디지타이저나 태블릿을 사용한 입력장치는 필기체가 둔탁하여 원하는 내용을 상세히 기록할 수 없다는 것 외에도 필기한 내용이 입력판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서 화면을 통해 필기할 위치를 파악하면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Writ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blackboards have disadvantages such as inconvenience in typing, small letters not visible from a distance, and expensive products.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using a digitizer or a tablet is not easy to record the desired content in detail because the writing is blunt, and the handwriting is not displayed directly on the input panel. there was.

한편, 고해상도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필기신호의 표시는 PDA와 같은 단말기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필기체 인식을 통하여 자료를 입력하는 데 응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외부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하여 간단한 메모 형태로도 활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of the handwritten signal through a high-resolution touch screen is mainly used in a terminal such as a PDA and is applied to input data through handwriting recognition. The data can also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computer or stored separately in nonvolatile memory for simple memos.

그러나 필기 데이터를 영상신호화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직접 접속하도록 실용화된 것은 없으며, 기술적으로 가능한 방법은 알려져 있다고 하더라도 필기영상을 새로운 별도의 영상으로 취급하여 외부영상과 분리 처리함으로써 마치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상신호를 오버랩시키거나 영상 스위치로 다수개의 영상원을 선택하는 기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외부영상신호와 필기데이터를 영상신호화한 것을 별도로 저장, 편집, 처리함으로써 주신호와 부신호라는 2개의 영상신호원을 처리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사용하고 있다.However, it is not practical to use handwriting data as an image signal and directly connect it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d even though a technically possible method is known, it is possible to treat a handwritten image as a new separate image and separate it from an external image, so that two or more It has been common to process the above video signals by a technique of overlapping or selecting a plurality of video sources with a video switch. That is, the same principle as the processing of two video signal sources, a main signal and a sub-signal, by storing, editing, and processing an image signal of an external image signal and handwriting data separately is used.

본 고안은 LCD 모듈에 부착된 터치스크린으로 부터 터치펜의 터치지점의 위치변화에 따라 원하는 필기 내용을 입력하면 위치정보를 터치스크린에 연결된 터치스크린 제어기가 읽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메모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외부영상과 혼합하거나 또는 필기 데이터만 외부 영상표시기로 출력하거나 LCD와 같은 자체 표시기에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의 저장을 외부영상용 또는 혼합영상용과 내부영상 즉, 필기영상용으로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메모리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메모리로써 자신의 필기영상과 외부영상을 동시에 저장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이 때에도 자체 내장된 화면에 표시 기능 및 PC 영상과 TV 영상신호로써의 출력은 그대로 유지되며, 단말기간의 상호접속 기능으로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특정 단말기의 화면만을 전달하거나 모든 화면을 중첩시켜 최종 출력시키는 기능도 지원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puts the desired handwrit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sition of touch point of touch pen from touch screen attached to LCD modul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s read by touch screen controller connected to touch screen,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stored in memory. In a device that mixes with an external image or outputs only handwriting data to an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 or displays on its own display such as an LCD, by storing the memory separately for an external image or a mixed image and an internal image, that is, a handwritten im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memory usage and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hardware, it uses a technique of simultaneously storing its own handwritten and external images as a single memory.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display function and output as PC video and TV video signal on the built-in screen are maintained as they are, and the interconnection function between terminals transfers only the screen of a specific terminal or all screens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in series. Overlapping and final output are also supported.

또한, 영상 저장용 메모리도 사용하기가 편리한 선입선출(FIFO ; First-in First-out) 방식의 메모리를 채택함으로써 하드웨어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칼러 필기에 적합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칼러로도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필기영상 또는 혼합된 영상을 다시 TV 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대방과 같은 화면상에 서로의 의사를 입력,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In addition, the memory for image storage also adopts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which is easy to use, so that hardware can be easily configured. In addition, by using a data structure suitable for color writing, writing in color is also possible. Then, the handwritten or mixed video is encoded and transmitted back to the TV video signal to implement a function of inputting and displaying each other's intentions on the same screen as the counterpart.

이러한 필기 영상은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언제든지 재생하여 볼 수 있으므로 외부의 영상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단독으로 전자공책이나 전자메모책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Since the handwritten image is stored in the built-in nonvolatile memory and can be reproduced at any time,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video device, the handwritten image can be used alone as an electronic notebook or an electronic memo book.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자메모장의 필기영상을 발생하고 표시하기 위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handwritten image of an electronic memo pa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emory input synchronization unit of FIG. 1;

도 3는 도 1의 FIFO 메모리에 저장되는 메모리 맵의 구성예3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emory map stored in the FIFO memory of FIG.

도 4는 도 1의 메모리 제어부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mory controller of FIG. 1;

도 5은 본 고안품을 사용한 영상회의 시스템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conferencing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품을 이용한 영상통신 시스템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좌표스케일러 111: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110: coordinate scaler 111: memory input synchronization unit

112: 메모리 제어부 113: FIFO 메모리112: memory controller 113: FIFO memory

114: 출력모드 선택부 115: 영상 선택부114: output mode selection unit 115: image selection unit

120: TV부호화기 121: A/D 변환기120: TV encoder 121: A / D converter

122: 해상도 스케일러122: resolution scaler

130: 마이컴 131: 비휘발성 메모리130: microcomputer 131: non-volatile memor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필기데이터를 자체 표시기에 맞게 데이터의 범위를 스케일링하여 메모리에 외부 영상신호와 동기화시켜 입력하는 수단, 이를 가지고 외부 영상신호와 혼합하되 새로운 영상 포맷에 맞게변화시켜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수단, 내부영상 또는 외부 영상 또는 혼합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모드 선택 및 영상 선택 수단, 영상 출력의 형태를 TV 신호에 맞게 변화시켜 전달하는 TV 부호화 수단, 외부 영상신호 입력을 디지털화 및 스케일링하여 메모리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cales the range of handwriting data to its own indicator and synchronizes it with an external video signal to the memory. Memory control means for storing in the memory, output mode selection and image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internal image or external image or mixed image, TV encoding means for changing the form of the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TV signal, external image signal Means for digitizing and scaling the input and forwarding it to a memory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필기 데이터를 영상신호화하여 실시간으로 LCD 프로젝터나 TV, 모니터, 영상전화기 등의 영상표시기 또는 영상통신기기에 전달함으로써 강의나 상담, 회의, 필기영상 통신 등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lectures, consultations, meetings, handwriting video communication, such as handwriting data by video signal to the real-time display or video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LCD projectors, TVs, monitors, video phones, etc. Have the same configur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필기데이터를 자체 표시장치에 맞게 해상도를 스케일링하는 좌표 스케일러부(110)와 이 데이터를 외부 영상신호에 동기시켜 전달하는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111), 입력된 외부신호와 내부의 필기신호를 구분하여 제안된 포맷에 맞게 고쳐주고 메모리의 쓰기 및 읽기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12), 외부 및 내부의 영상을 한꺼번에 저장하는 FIFO 메모리(113), 출력되는 영상의 형태를 혼합과 내부, 외부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모드 선택부(114), 외부영상의 신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 영상만 추가해주는 영상 선택부(115), 영상 출력의 형태를 TV 신호에 맞게 변화시켜 출력하는 TV 부호화기(120), 외부PC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A/D변환기(121), 외부의 다양한 해상도의 PC신호를 자체 표시화면의 해상도에 맞게 조절하는 해상도스케일러(122), 그 외에 전자메모장과 같은 다양한 메모 저장 기능을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에 영상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위한 마이컴(130)과 비휘발성 메모리(131)로 구성 된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rdinate scaler 110 that scales resolution of handwritten data to a display device thereof, and a memory input synchronizer configured to transfer the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image signal. 111), a memory controller 112 which distinguishes input external signals and internal writing signals, corrects them according to a proposed format, controls writing and reading of the memory, and a FIFO memory 113 which stores external and internal images at once. The output mode selection unit 114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shape of the output image by mixing, internal, and external, the image selection unit 115 which adds only the internal image while maintaining the signal of the external image, and the image output. TV encoder 120 for changing the form to match the TV signal and outputting, A / D converter 121 for converting the external PC signal into a digital form, and PC signals of various external resolutions With a resolution scaler 122 that adjusts to the resolution of the image, and a microcomputer 130 and a nonvolatile memory 131 for transferring image data to a nonvolatile memory for various memo storage functions such as an electronic memo pad. It is compose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좌표스케일러(110)에 의해 스케일링된 필기데이터는 메모리에 입력되기 위해서는 필기를 하는 임의의 시간에 가능한 것이 아니라 외부영상이 입력되고 있을 때는 외부영상신호와 수직 및 수평 동기가 맞아야 하므로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111)에 전달된다.The handwritten data scaled by the coordinate scaler 110 is not possible at any time of writing in order to be input into the memory, but when the external image is being inpu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image signal must be matched. 111).

동기화의 기준신호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PC 신호와 같은 영상신호와 함께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가 되며, 외부 PC영상 입력이 없을 땐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111)에서 영상을 위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111)은 도 2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메모리 제어부(112)는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111)에서 외부 영상신호와 동기된 필기 데이터를 FIFO 메모리(113)에 저장하거나 수정을 위한 것이며 도 4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출력 모드 선택부(114)는 자신의 필기 영상 또는 외부 영상 또는 혼합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선택된 모드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하여 영상 선택부(115)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외부 영상을 선택하였을 때는 영상 선택부(115)의 스위치를 외부로 고정시키면 되고, 내부 영상을 선택하였을 때는 영상선택부(115)의 스위치를 FIFO 메모리(113)의 내부데이터일 경우만 출력하면 된다. FIFO 메모리(113)에 저장된데이터에서 내부 데이터인지 외부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방식은 도 3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인덱스 비트로 구분한다.The reference signal of synchronization is a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outputted with an image signal such as a PC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re is no external PC image input, the memory input synchronization unit 111 receives a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an image. You can make it yourself. The memory input synchronizer 111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memory controller 112 stores or modifies handwritten data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video signal in the memory input synchronizer 111 in the FIFO memory 113 and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he output mode selector 114 selects and outputs a handwritten image, an external image, or a mixed image of the user. The output mode selector 114 controls the image selector 115 to output desired data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That is, when the external image is selected, the switch of the image selecting unit 115 may be fixed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image is selected, the switch of the image selecting unit 115 is output only when the internal data is in the FIFO memory 113. Just do it.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stored in the FIFO memory 113 is internal data or external data is divided into index bits as shown in FIG. 3.

예를 들어, 인덱스 비트가 1이면 내부 영상 데이터인 필기데이터이고 인덱스 비트가 0이면 외부 영상 데이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모드일 때는 FIFO 메모리(113)의 출력이 내부 데이터일 때만 영상선택을 내부로 하고 외부 데이터일 때는 영상 선택을 외부 입력 영상으로 하면 된다.For example, if the index bit is 1, the handwritten data is internal image data, and if the index bit is 0, it is external image data. In addition, in the mixed mode, the image selection may be internal only when the output of the FIFO memory 113 is internal data, and the image selection may be the external input image when external data is used.

FIFO 메모리(113)에 저장되는 외부의 PC 영상은 A/D변환기(121)를 거쳐 디지털화 된 후 다시 해상도 스케일러(122)에 의해 LCD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된 다음 메모리 제어부(112)에서 내부 데이터와 합쳐진 후 FIFO 메모리(113)로 보내진다.The external PC image stored in the FIFO memory 113 is digitized through the A / D converter 121 and again scaled to match the display resolution of the LCD by the resolution scaler 122 and then internal data in the memory controller 112. And then sent to the FIFO memory 113.

또한, TV 영상 형식으로 출력을 하기위하여 TV 부호화기(120)가 있어야 하는데 TV 부호화기(120)에서는 영상을 선택하기 보다는 FIFO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내부 데이터 또는 외부 데이터 또는 모든 데이터를 부호화 함으로써 TV 영상 신호가 내부영상 또는 외부영상 또는 혼합영상으로 출력되게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output in the TV image format, the TV encoder 120 should be provided. The TV encoder 120 encodes the internal data or the external data or all data with data output from the FIFO memory, rather than selecting an image. The signal is output as an internal image, an external image, or a mixed image.

한편, 화면의 저장을 원할 때는 마이컴(120)이 비휘발성 메모리(121)에 자체 표시기에 표시된 형태의 혼합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며, 여기에 저장된 화면은 원하는 때에 프레임 단위로 판독되어 LCD 등의 자체 표시기에 표시되며 동시에 PC영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TV 부호화기(120)를 거쳐 영상을 TV형식에 맞게 고쳐져서 츨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creen is to be saved, the microcomputer 120 stores the mixed image data in a form displayed on its own display in the nonvolatile memory 121, and the screen stored therein is read out in units of frames when desired, such as the LCD itself.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s simultaneously output as a PC image or through the TV encoder 120, the image is corrected for TV format and output.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입력 동기화부의 구성의 일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든 것으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emory input synchronization unit of FIG. 1 and is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어드레스 선택부(210,211)은 어드레스 카운터(213)의 출력과 스케일된 필기좌표1을 택일하는 역할을 하되 서로 엇갈리게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면 4라인 2중포트 메모리(220,221)는 T 플립플롭(214)에 의해 필기좌표 비교부(212)의 출력이 발생할 때마다 서로 번갈아 가며 쓰기만 하거나 읽기 및 쓰기를 동시에 하는 모드로 되면서 읽기 모드일 땐 어드레스 카운터(213)의 출력을 선택하고 쓰기 모드일 땐 필기좌표1을 선택하도록 한다. 필기좌표2 비교부(212)는 현재의 필기점의 필기좌표2 위치와 그 다음 점의 필기좌표2 위치를 비교하여 서로 다르면 다른 메모리에 필기좌표를 기록하기 위함이다. 어드레스 카운터의 출력과 필기좌표의 수직, 수평 값에 대한 구분은 어드레스1,2 및 필기좌표1,2로 하는데 이들의 정의는 도2의 아래에 나타난 형식과 같다. 이는 4라인 메모리를 쓸 경우에 한하며, 8라인 메모리를 쓸 경우에는 수직 어드레스 비트의 하위 3bit를 제외한 나머지가 어드레스2 또는 필기좌표2가 된다. 여기서 4라인 메모리를 쓴 이유는 보통 필기 데이터는 1초에 200~300개의 점을 발생하는데 이들 점이 각기 다른 라인에 걸쳐 있다하더라도 외부 영상의 프레임주파수가 최소 60Hz이므로 한프레임당 4라인만 저장하여 최소한 4점만 저장하면 1초에 240개의 점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필기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늘리려면 라인 메모리의 수를 늘이면 된다.First, the address selectors 210 and 211 may alternately select the output of the address counter 213 and the scaled handwritten coordinate 1. Then, the four-line dual-port memory (220, 221) is in the read mode while being alternately writing or read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alternately each time the output of the writing coordinate comparison unit 212 by the T flip-flop (214) When the output of the address counter 213 is selected when the writing mode, the writing coordinates 1 are selected. The writing coordinate 2 comparison unit 212 compares the writing coordinate 2 position of the current writing point and the writing coordinate 2 position of the next point and records the writing coordinates in different memories if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utput of the address counter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alues of the handwritten coordinates are divided into addresses 1 and 2 and the handwritten coordinates 1 and 2, and their definitions are as shown in FIG. This is limited to four-line memory. When eight-line memory is used, address 2 or handwritten coordinates are the rest except for the lower 3 bits of the vertical address bit. The reason why 4 line memory is used is that handwriting data generates 200 ~ 300 points per second. Even though these points are spread over different lines, the frame frequency of external video is at least 60Hz. If you store only 4 points, you can store 240 points per second. Therefore, to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of handwritten data, the number of line memories can be increased.

어드레스 비교부(222)는 어드레스 카운터의 출력인 어드레스2와 필기좌표2를 비교하여 같은 값인 동안에는 펄스를 발생하여 AND게이트(223)를 통하여 필기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The address comparison unit 222 compares the address 2 and the writing coordinate 2, which are outputs of the address counter, generates a pulse and outputs writing data through the AND gate 223 during the same value.

이와 같이 구성된 도 2를 참조하면 내부의 필기신호는 단 4라인의 2중포트 메모리를 가지고 외부에서 입력되는영상신호에 동기를 맞추므로 종래의 한 프레임을 저장할 때와는 훨씬 경제적이며, 복잡도 면에서도 유리하다.Referring to FIG.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handwriting signal has a dual-port memory of only 4 lines so that it synchronizes with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which is more economical than when storing a conventional frame, and in terms of complexity. It is advantageous.

도 2의 상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operation of FIG. 2 is as follows.

외부 PC영상과 동시에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어드레스 카운터(213)에 의해 카운트하여 어드레스2를 어드레스 비교부(222)에 전달하면, 어드레스 비교부(222)에서는 필기 데이터의 수직 좌표값과 영상데이터의 수직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한 프레임을 4라인 주기로 분할 하였을 때 같은 범위에 속하는 즉, 시간적으로 화면상의 수직 위치가 일치하는 순간을 판단한다. 즉, 수직 어드레스의 하위 2자리 bit를 제외한 상위 어드레스 bit를 비교하여 같은 순간을 알린다. 그러면 2개의 4라인 2중포트 메모리주에 읽기 모드가 동작하고 있는 메모리의 출력을 AND게이트(223)을 통하여 보내면 이것이 동기화된 필기데이터가 된다.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input simultaneously with the external PC image are counted by the address counter 213 and the address 2 is transmitted to the address comparison unit 222, the address comparison unit 222 receives the vertical coordinate values and the image of the handwritten data. By comparing the vertical addresses of the data, when one frame is divided into four line perio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rtical positions on the screen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same range. That is, the same instant is notified by comparing the upper address bits except the lower two digit bits of the vertical address. Then, when the output of the memory in which the read mode is operated is transmitted to the two four-line dual port memory lines, this becomes synchronized handwriting data.

2개의 2중 포트 메모리(220,221)는 쓰기만 하거나 읽기/쓰기를 동시에 하면서 메모리를 지우거나 필기데이터를 기록하면서 읽거나 하는데, 쓰기 모드는 2개의 메모리에서 항상 동작하게 되어 있다. 단지 쓰는 주소가 어드레스 선택부(210,211)에 의해 필기좌표1로 되느냐 어드레스1로 되느냐가 다를 뿐이다. 쓰기주소가 필기좌표1로 될 때는 읽는 동작과 동시에 하는 모드로 되며 필기좌표1에 따라 입력 데이터, 즉, '1' 값이 자동으로 쓰여지므로 필기 위치가 메모리에 기록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 값을 어드레스1에 따라 순차적으로 읽음으로써 필기 내용이 영상신호와 합쳐지기 위한 형태로 바뀐다. 읽는 주소는 항상 어드레스1이 되어 있으므로 외부영상산호와 동기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필기좌표1은쓰기 주소로 사용되고, 쓰는 데이터 즉 입력데이터는 1로 고정시킨다. 왜냐하면 필기 여부는 1 또는 0으로 표시하면 되는데, 필기 위치 즉 필기좌표에는 1로만 입력되기 때문이다.The two dual port memories 220 and 221 read or write while erasing the memory or writing handwriting data while only writing or reading / writing at the same time. The write mode always operates in the two memories. The only difference is whether the address to be written becomes the writing coordinate 1 or the address 1 by the address selecting sections 210 and 211. When the writing address becomes the writing coordinate 1, the writing opera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reading operation. Since the input data, that is, the value of '1' is automatically written according to the writing coordinate 1, the writing position is recorded in the memory. By reading this value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address 1, the handwriting is changed into a form for merging with the video signal. The read address is always address 1, so it is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video code. In conclusion, the writing coordinate 1 is used as the writing address, and the writing data, that is, the input data, is fixed to one. It is necessary to indicate whether the writing is 1 or 0, since only 1 is input at the writing position, that is, the writing coordinate.

도 3은 FIFO 메모리(113)에 저장되는 화소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8 bit 데이터에 2개의 화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R, G, B의 색이 각각 0과 1의 값을 가지므로 8가지 색을 표현할 수 있고 4번째 비트는 인덱스 비트로써 내부 영상(필기데이터)과 외부 영상을 구분하는 용도로 쓰인다. 여기서는 내부 영상일 때 인덱스 비트가 1이고 외부 영상일 때 인덱스 비트가 0이라고 가정한다. 도 3의 아래 그림은 FIFO 메모리(113)의 주소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내타낸 것으로써 U0~U639는 640x480 해상도의 LCD 화면의 상부 240 라인에 해당하는 화소의 수평번호를 의미하며, L0~L639는 하부 240 라인에 해당하는 화소의 수평번호를 의미한다. 이런식으로 저장하는 이유는 LCD 모듈 드라이버의 화소 표시 순서에 따른 것이며, FIFO 메모리(113)를 순서적으로 읽으면서 LCD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화면이 표시된다. 만약 다른 순서로 표시되는 LCD 모듈이 있다면 그에 따르면 될 것이다.3 shows the format of a pixel stored in the FIFO memory 113, so that two pixels can be stored in 8-bit data. Then, since R, G, and B have values of 0 and 1, respectively, 8 colors can be represented, and the 4th bit is an index bit, which is used to distinguish an internal image (written data) from an external image.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index bit is 1 when the internal image and the index bit is 0 when the external image. 3 shows the storage location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address of the FIFO memory 113. U0 to U639 mean horizontal numbers of pixels corresponding to the upper 240 lines of the LCD screen having 640x480 resolution. L639 means a horizontal number of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lower 240 line. The reason for storing in this manner is according to the pixel display order of the LCD module driver, and the screen is displayed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LCD while reading the FIFO memory 113 in sequence. If there are LCD modules displayed in a different order, they will be followed.

도 4는 도 1에서 메모리 제어부(112)의 내부 구성을 표시한 것으로써 FIFO 메모리(113)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구성은 데이터선택기1(410,411)은 외부데이터와 필기데이터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며, 4 bit 단위로 처리하기 때문에 2개의 화소를 묶어서 8 bit로 만든후 FIFO 메모리(113)에 보내개 된다. 화소형태 선택기(412)는 색상/필기모드 선택부(416)에서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에 의한 메뉴선택에 따라 색상과 선굵기, 쓰기/지우기 등의 메뉴가 결정되면 그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받아들여 화소의 색상, 굵기, 데이터 쓰기/지우기 등을 결정한다. 여기서 출력된 데이터는 데이터 선택기1(410,411)에 보내지는데 D 플립플롭(415)에 의해 화소의 순서가 조정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는 하위 4 bit가 먼저 들어온 화소이며, 상위 4 bit가 나중에 들어온 화소이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D 플립플롭(420)과 데이터선택기2 (421,422)는 외부영상을 선택할 것인지 FIFO 메모리(113) 출력을 선택하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메모리의 출력이 필기 데이터이면 메모리 출력을 선택하고, 외부 영상 데이터이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버리고 현재 입력되는 외부영상을 선택하게 된다. 이것은 외부 영상의 변화를 알 수 없으므로 새로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바꿔주기 위함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emory controller 112 in FIG. 1, and serves to supply data to the FIFO memory 113. In the configuration of FIG. 4, the data selectors 1 (410 and 411) serve to select external data and handwriting data, and are processed in 4 bit units so that two pixels are bundled into 8 bits and sent to the FIFO memory 113. . The pixel type selector 412 receiv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de when the menu such as color, line thickness, write / erase, etc.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by a touch screen or a button in the color / writing mode selection unit 416. The color, thickness, and data writing / erasing of pixels are determined. The output data is sent to the data selectors 1 (410, 411), and the order of the pixels is adjusted by the D flip-flop 415.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lower 4 bits are the pixels which are entered first, and the upper 4 bits are the pixels which are entered later. Similarly, the D flip-flop 420 and the data selector 2 (421, 422) decide whether to select an external image or an output of the FIFO memory 113. If the output of the memory is handwritten data, the memory output is selected. In the case of external image data,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discarded and the external image currently input is selected. This is to change the new data in real time because the change of the external image is unknown.

D 플립플롭(413,414)는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FIFO 메모리(113)에 입력시켜주기 위하여 타이밍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며, 화소 클럭 즉, 필기 데이터 클럭의 2분주된 클럭인 2분주기(431) 출력을 사용하여 2화소씩 입력시킨다. 또, 2분주기(432)는 도 3의 아래 그림의 형식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입력인에이블(IE)을 한 화소씩 건너뛰어 활성화 시킴으로써 먼저 짝수번지에 U0~U639를 저장하고, 홀수번지에 L0~L639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한 수직동기 동안에 FIFO 메모리(113)를 두번 리셋하여야하므로 2체배기(430)에 의해 외부수직동기의 주파수를 2배로 늘림으로써 이를 FIFO 메모리(113)의 리셋신호로 사용한다.The D flip-flops 413 and 414 adjust the timing to input the selected image data to the FIFO memory 113. The D flip-flops 413 and 414 output the pixel clock, that is, the dividing period 431, which is a two-division clock of the writing data clock. Input by 2 pixels. In addition, the second divider 432 first stores U0 to U639 at an even number by activating the input enable (IE) of the memory by one pixel in order to store the memory in the format shown in FIG. 3 below. This is to save L0 ~ L639 at address. To this end, since the FIFO memory 113 must be reset twice during one vertical synchronization, the frequency of the external vertical synchronization is doubled by the multiplier 430 to use this as a reset signal of the FIFO memory 113.

이와 같이 하여 외부 영상데이터와 필기데이터는 계속 새로운 형태로 기록되며, 인덱스 비트에 의해 필기데이터를 외부 영상 데이터에 우선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필기 데이터의 쓰기와 지우기가 자유롭게 이루어 진다.In this way,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writing data are continuously recorded in a new form, and writing and erasing of the writing data is freely performed by preferentially processing the writing data to the external image data by index bits.

본 고안은 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영상표시기의 스크린 상에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외부 및 내부 신호를 위한 메모리를 단일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 영상신호에 대한 필기 데이터의 동기화를 별도에 프레임메모리가 필요 없이 4 라인 정도의 라인 메모리만 가지고 동기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훨씬 경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안된 데이터형식에 따라 8가지 색의 다양한 칼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의 출력모드를 내부영상 또는 외부영상 또는 혼합영상으로 분류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을 직렬로 연결하여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성하면 누구나 필기한 내용을 전원에게 전달하거나 특정인의 화면만 최종적으로 보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을 직렬로 연결하여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누구나 필기한 내용을 전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도 5는 본 고안품을 이용한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영상전화기의 TV 입출력단자와 연결하거나 PC 카메라 대신으로 PC에 연결하면 양자간의 통신 회의나 영상과외, 통신 상담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양자간의 영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보여 준 것이다. 도 5와 도 6의 미지정된 각 블록은 본 필기영상 발생 및 표시기를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unify the memory for external and internal signals used in displaying the writing signals on the screen of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in real time, but also separately synchronizes the writing data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video signals. By implementing synchronization with only four lines of memory without the need, a much more economical hardware configur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various color writing of 8 color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posed data format, and the output mode of the video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 video, external video, or mixed video, and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can be connected in series. If you configur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anyone can pas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to all or finally see only the screen of a specific person. That is, by connec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series to configure a video conferencing system anyone has the advantage that can deliver the written content to the power source, Figure 5 is configured a video conferencing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connected to the TV input and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phone or connected to the PC instead of a PC camera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meetings, video tutoring, communication consultation between the two. 6 show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two. Each of the unspecified blocks of FIGS. 5 and 6 represents the present handwritten image generating and indicator.

필기영상이나 외부입력 영상 및 혼합영상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시 필요에 따라 읽어 볼 수 있으므로 회의의 내용을 기록, 수정, 편집을 통해 개인적인 용도의 메모나 필기가 가능한 전자메모장이다.Handwritten or external input and mixed video can be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to be read as needed at any time.

Claims (2)

영상 표시기상에 필기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writing screen on a video display device, 단일 프레임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필기된 모양을 실시간으로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Means for converting the written shape into a video signal in real time using a single frame of memory; 상기 필기된 모양을 영상신호로의 변환 및 이를 출력하는 수단에 있어서 선입선출(FIFO) 메모리를 사용하여 필기 영상 데이터와 외부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저장하되 매 화소마다 메모리의 출력을 읽어 필기 데이터 입력과 비교함으로써 필기 데이터와 외부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In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handwritten shape into an im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a first-in-first-out (FIFO) memory is used to mix and store handwritten image data and external image data.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selecting and writing handwritten data and external image data to a memory by comparison; 상기 필기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PC와 같은 영상신호를 자신의 필기 신호와 동기시킴에 있어 2개의 4라인 정도 또는 그 이상의 2중 포트 메모리를 사용하여 내부의 필기 영상신호를 외부신호에 동기시키는 수단;In the handwriting display device, in order to synchronize an image signal such as a PC input from the outside with its own writing signal, the internal handwriting image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external signal using two four-line or more dual port memories. Means for synchronizing; 상기 필기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 출력을 내부 신호, 외부 신호, 혼합 신호로 모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수단;Means for controlling a mode to output an image output as an internal signal, an external signal, or a mixed signal in the handwriting display device; 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발생 및 표시 기능을 가진 전자메모장Electronic memo pad with video signal generation and display function includ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기된 모양을 영상신호로의 변환 및 이를 출력하는 수단에 있어서 칼러 필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영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의 포맷을 4비트로 구성하되 3비트의 화소 정보와 내부 영상과 외부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 비트 정보로 구성함으로써, 필기 영상 화면의 수정, 편집시 내부, 외부 영상을 구분하여 수정, 편집이 가능 또는 불가능하도록 하는In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handwritten shape into an im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he format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memory for color handwriting input is composed of 4 bits, and the 3-bit pixel information i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By configuring the index bit information to modify, edit and edit the handwritten video scree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ideo to enable or disable editing. 영상신호 발생 및 표시 기능을 가진 전자메모장Electronic memo pad with image signal generation and display
KR2020020008390U 2001-10-05 2002-03-21 Electronic Notepad KR200280406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13 2001-10-05
KR20010030313 2001-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406Y1 true KR200280406Y1 (en) 2002-07-04

Family

ID=7307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390U KR200280406Y1 (en) 2001-10-05 2002-03-21 Electronic Note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40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44B1 (en) * 2003-06-16 2008-01-30 카부시키가이샤 토호비지네스간리센타 Terminal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44B1 (en) * 2003-06-16 2008-01-30 카부시키가이샤 토호비지네스간리센타 Terminal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84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er,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ing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or
WO1992003816A1 (en) A display control device incorporating an auxiliary display
JPH02999A (en) Still picture editing device
KR20000074855A (en) Video display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pivoting an on-screen display
JPS62280799A (en) Video interface unit
US6340959B1 (en) Display control circuit
GB2219467A (en) Teleconference system
KR200280406Y1 (en) Electronic Notepad
KR100408363B1 (en) Electronic Notebook
US5576735A (en) Coordinates detecting apparatus with display unit of a type having separate control unit
US6753927B2 (en) Television interface for handheld calculator for enhanced television display
JP2000224477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US6661465B2 (en) Television interface for handheld calculator for use with multiple calculator display formats
JPH11167479A (en) Multi-input monitor device
KR200254067Y1 (en) Electronic Notebook
KR20010079212A (en) Handwriting Image Generator and Display Apparatus
JPH05292476A (en) General purpose scanning period converter
KR20000050759A (en) Overhead projector
JP2001042847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378797B2 (en) Document presentation device
JP2006337732A (en) Image display system for conference
JPH11187178A (en) Electronic blackboard conferenc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3542828A (en) Touch television control system, touch television and touch television control method
JP2749847B2 (en) Display device
JP2002311939A (en) Display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han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