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113Y1 - 키보드 트레이 - Google Patents

키보드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113Y1
KR200280113Y1 KR2019990010240U KR19990010240U KR200280113Y1 KR 200280113 Y1 KR200280113 Y1 KR 200280113Y1 KR 2019990010240 U KR2019990010240 U KR 2019990010240U KR 19990010240 U KR19990010240 U KR 19990010240U KR 200280113 Y1 KR200280113 Y1 KR 200280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inclination
control plate
wrist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391U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조석현
(주)아트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현, (주)아트박스 filed Critical 조석현
Priority to KR2019990010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113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113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테이블의 하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레일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의 일측에 키보드가 얹혀지는 경사조절판의 일측이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동부재의 타측에는 경사조절판의 타측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고정홈을 통해 상기 경사조절판의 경사 각도를 복수 단계로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부재가 설치되며, 경사조절판의 일측 전방 상면에는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패드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키보드의 설치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손목 피로를 방지할 수 있어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키보드 트레이{KEY-BOARD TRAY}
본 고안은 테이블의 하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서 키보드를 테이블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키보드의 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손목 피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키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입력장치의 하나인 키보드는 통상 컴퓨터 본체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테이블 위에 모니터와 함께 얹혀진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테이블 상에서 모니터와 키보드 및 작업서류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많아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이블의 하면에 키보드 트레이를 출몰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키보드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키보드 트레이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키보드 트레이(1)는, 테이블(T)의 하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고정설치된 2개의 레일(2)(2)과, 양측이 상기 2개의 레일(2)(2)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 키보드(4)가 안착되는 이동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키보드 트레이(1)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한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 키보드가 단순히 키보드 이동부재(3)의 상면에 얹혀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키보드의 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없으므로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 키보드가 키보드 이동부재(3)에 얹혀진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목을 받혀주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보드의 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작업자의 손목 피로를 덜어줄 수 있도록 한 키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이블의 하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레일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그 일측이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면에 키보드가 얹혀지며, 그 타측 하면에 복수개의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경사조절판과;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조절판의 타측 하면에 형성된 위치고정홈을 통해 상기 경사조절판의 경사 각도를 복수 단계로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부재와; 상기 경사조절판의 일측 전방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패드를 포함하는 키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키보드의 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손목 피로를 방지할 수 있어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키보드 트레이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의 요부발췌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테이블 K : 키보드
11 : 레일 12 : 이동부재
13 : 가이드부재 14 : 경사조절판
14a : 힌지축 14b : 위치고정홈
15 : 경사조절레버부재 16 : 회전지지체
17 : 레버 18 : 보스
18a : 걸림턱 19,20 : 결합공
19a,20a : 대경부 19b,20b : 소경부
22 : 손목지지패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각도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요부발췌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도시된 테이블(T)의 하면에 2개의 레일(11)(11)이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 2개의 레일(11)(11)에는 이동부재(12)의 양쪽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3)가 결합되어 2개의 레일(11)(11)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부재(12)의 상면에는 키보드(K)가 얹혀지는 경사조절판(14)이 설치되는데, 이 경사조절판(14)은 그 일측이 이동부재(12)의 일측(앞쪽) 양측면에 힌지축(14a)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동부재(12)의 타측(뒤쪽)에는 상기 경사조절판(14)의 타측 하면과 접촉되어 경사조절판(14)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부재(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경사조절레버부재(15)는, 경사조절판(14)의 하면과 접촉되는 원형 절곡부(16a)가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회전지지체(16)와, 이 회전지지체(16)의 양측단에 각각 그 일측이 고정설치되는 2개의 레버(17)(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레버(17)의 타측에는 선단에 걸림턱(18a)을 가지는 보스(18)가 형성되고, 이동부재(12)와 이동부재 내측의 가이드부재(13)에는 상호 연통된 대경부(19a)(20a)와 소경부(19b)(20b)를 가지는 결합공(19)(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스(18)의 걸림턱(18a)이 결합공(19)(20)의 대경부(19a)(20a)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3)의 이동에 의해서 결합공(19)(20)의 소경부(19b)(20b)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21)에 의해 이동부재(12)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레버(17)의 보스(18)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보스(18)의 직경이 상기 결합공(19)(20)의 소경부(19b)(20b)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보스(18)가 뻑뻑한 상태로 결합공(19)(20)의 소경부(19b)(20b)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버(17)의 외측면에는 이동부재(12)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레버(17)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17a)가 각각 형성되고, 경사조절판(14)의 하면 양측에는, 경사조절레버부재(15)의 회전지지체(16)가 삽입되어 경사조절판(14)의 조절 위치를 고정시키는 2개의 위치고정홈(14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고정홈(14b)을 2개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그 수를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경사조절판(14)의 일측 전방 상면에는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패드(2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경사조절판(14) 상면에 돌출설치된 2개의 돌기(14c)와 손목지지패드(22)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14c)에 끼워지는 2개의 홈(22a)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돌기(14c)는 경사조절판(14)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트레이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이동부재(12)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키보드(K)를 테이블(T)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인출한 상태에서, 이동부재(12)의 양측면에 설치된 경사조절레버부재(15)의 레버(17)를 당겨 회전지지체(16)를 회전시키면, 회전지지체(16)가 회전되면서 경사조절판(14)의 뒤쪽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됨에따라 경사조절판(14)이 앞쪽의 힌지축(14a)을 중심으로 뒤쪽이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경사조절판(14)의 경사 각도가 변하게 되어 경사조절판(14) 위에 올려진 키보드(K)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경사조절판(14)의 하면에 2개의 위치고정홈(14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조절레버부재(15)의 회전지지체(16)가 이 2개의 위치고정홈(14b)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경사조절판(14)의 각도조절 위치가 고정되게 됨에따라 키보드(K)의 설치 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2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사조절판(14)의 전방(앞쪽) 상면에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패드(2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키보드(K)를 통한 데이터 입력작업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손목 피로를 줄일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키보드 트레이에 의하면, 키보드의 설치각도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손목 피로를 방지할 수 있어,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4)

  1. 테이블(T)의 하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레일(11)(11)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2)와;
    상기 이동부재(12)에 그 일측이 힌지축(1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면에 키보드(K)가 얹혀지며, 그 타측 하면에 복수개의 위치고정홈(14b)이 형성된 경사조절판(14)과;
    상기 이동부재(12)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조절판(14)의 타측 하면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4b)을 통해 상기 경사조절판(14)의 경사 각도를 복수 단계로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부재(15)와;
    상기 경사조절판(14)의 일측 전방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패드(22)를; 포함하는 키보드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지지패드(22)는, 그 몸체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22a)과, 상기 경사조절판(14)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멍(22a)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돌기(14c)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레버부재(15)는, 상기 경사조절판(14)의 하면과 접촉되는 원형 절곡부(16a)가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회전지지체(16)와,
    상기 회전지지체(16)의 양단에 그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그 타측이 이에 형성된 보스(18)와 상기 이동부재(12) 및 가이드부재(13)에 형성된 결합공(19)(20)을 통해 나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레버(17)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17)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2)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레버(17)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17a)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트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18)의 단부에 걸림턱(18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9)(20)은 상기 보스(18)의 걸림턱(18a)이 삽입되는 대경부(19a)(20a)와 이와 연통되며 상기 보스(18)가 삽입되는 소경부(19b)(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트레이.
KR2019990010240U 1999-06-10 1999-06-10 키보드 트레이 KR200280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40U KR200280113Y1 (ko) 1999-06-10 1999-06-10 키보드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40U KR200280113Y1 (ko) 1999-06-10 1999-06-10 키보드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91U KR20010000391U (ko) 2001-01-05
KR200280113Y1 true KR200280113Y1 (ko) 2002-06-29

Family

ID=5476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240U KR200280113Y1 (ko) 1999-06-10 1999-06-10 키보드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1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91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939A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video appliance
US5800085A (en) Separable keyboard and computers having this separable keyboard
US5941373A (en) Integrated keyboard key assembly
US6984081B1 (en) Adjustable keyboard with adjusting and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its use
US20190033924A1 (en) Adjustable ergonomic keyboard
EP0594718A1 (en) Rotating plane keyboard
US5743666A (en) Adjustable keyboard
US5826840A (en) Computer keyboard support
US5388921A (en) Structure of computer keyboard (I)
US5402150A (en) Pointing device with improved pivot
US5739776A (en) Key switch arrangement for computer keyboards
US5361082A (en) Structure of computer keyboard (II)
KR200280113Y1 (ko) 키보드 트레이
GB2331651A (en) Adjustable interface device for a copier
US5669722A (en) Computer keyboard support mechanism
EP0130051A2 (en) Tiltable support
US5885017A (en) Adjustable keyboard assembly
US20050212772A1 (en) Foldable keyboard
KR200200644Y1 (ko) 키보드용 손목받침대
JP5028908B2 (ja) フットペダル装置
JP2781760B2 (ja) 角度調整機構
KR0126662Y1 (ko) 노트북 컴퓨터용 키보드의 틸트 업 장치
JPH02248987A (ja) 電子機器の回転傾斜機構
CN210534728U (zh) 一种立式摆动鼠标
KR200196464Y1 (ko) 이동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갖는 수강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