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087Y1 -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 Google Patents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087Y1
KR200279087Y1 KR2020020008618U KR20020008618U KR200279087Y1 KR 200279087 Y1 KR200279087 Y1 KR 200279087Y1 KR 2020020008618 U KR2020020008618 U KR 2020020008618U KR 20020008618 U KR20020008618 U KR 20020008618U KR 200279087 Y1 KR200279087 Y1 KR 200279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d
operating
fixed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석
Original Assignee
김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석 filed Critical 김희석
Priority to KR2020020008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087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때는 순간적으로 하강하면서 완충역할을 하고, 사용자가 완전히 침대에 앉거나 누우면 침대의 하강한 면이 다시 상승하여 침대의 상부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은, 돌출부가 하부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대 내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누름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구와; 상기 본체와 작동구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튜브와; 상기 작동구의 상부에 고정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작동구의 사이에 형성되어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고정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작동시키는 레버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작동구의 하부로 돌출되는 누름구와 힌지로 연결되는 공기압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대의 수평유지수단{A horizontal balance keeper for a bed}
본 고안은 침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때는 순간적으로 하강하면서 완충역할을 하고, 사용자가 완전히 침대에 앉거나 누우면 침대의 하강한 면이 다시 상승하여 침대의 상부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침대는 매트리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사용자가 침대의 매트리스에 앉거나 누우면 매트리스의 스프링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 하강한 상태에서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매트리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사용자를 지지하는 침대는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이 수평으로 형성되지 않고 굴곡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트리스의 스프링이 사용자 몸의 굴곡을 따라 지지되므로 어느 부분은 스프링이 많이 압축되고, 다른 어떤 부분은 스프링을 압축시키지 않기 때문에 몸이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며, 상기와 같이 매트리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프링은 장시간 사용하면 탄성력과 복원력이 떨어지면서 자주 사용하는 부분과 덜 사용한 부분의 탄성력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침대의 상판에 돌을 깔아 사용자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돌 침대는 쿠션(cushion)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 압력에 탄성을 가지면서 탄성력에 변화가 없는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돌 침대와 같이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은,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둘레에 안내홈이 다수개 형성되면서 상부로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돌출부가 하부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대 내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본체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다수개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삽입구가 상부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부에는 회전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누름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내측 하부와 본체의 둘레 상측을 연결하면서 본체와 작동구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튜브와;
상기 작동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작동구의 사이에 형성되어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작동구의 삽입구를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작동시키는 레버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작동구의 하부로 돌출되는 누름구와 힌지로 연결되는 공기압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의 작동구가 외압에 의해서 하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의 작동구에 가해졌던 외압이 제거되면서 공기압에 의해 작동구가 상승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유지수단(200)이 침대(100)의 내부에 고정되면서 침대(100)를 구성한다.
상기 침대(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수평유지수단(2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침대(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와 튜브(300)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구(220) 및 본체(2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공기압 조절수단(240)으로 형성된다.
침대(100)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본체(210)의 개구된 중앙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면서 중앙에는 삽입부(212)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개의 안내홈(211a)이 형성되는 돌출부(211)를 개구된 본체(21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안내홈(211a)이 둘레에 다수개 형성되는 돌출부(211)가 개구된 중앙 하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210)의 상부에는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본체(210)를 감싸는 작동구(220)를 형성한다.
본체(210)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되는 작동구(220)의 개구된 중앙에는 본체(210)의 중앙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11)의 삽입부(212)에 삽입되는 삽입구(221)를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작동구(220)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본체(210)의 돌출부(211)에 형성되는 삽입부(212)에 삽입되는 삽입구(221)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210)의 돌출부(211)의 둘레에 형성되는 안내돌기(221a)에 삽입되는 안내돌기(221a)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작동구(220)의 삽입구(221)의 안내돌기(221a)가 본체(210)의 돌출부(211) 둘레에 형성된 안내홈(211a)에 삽입되면서 작동구(220)의 삽입구(221)가 본체(210)의 삽입부(212)로 삽입될 때 삽입부(212)에는 제2 탄성부재(500)를 고정하여 작동구(220)의 삽입구(221)가 본체(210)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중앙 하부에는 단부에 안내돌기(221a)가 형성되는 삽입구(221)가 형성되는 작동구(220)의 상부에는 회전구(222)를 형성한다.
삽입구(221)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구(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구(222)는 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동구(220)의 회전구(222)에는 상기 회전구(222)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231)가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230)을 고정한다.
작동구(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구(222)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231)가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230)과 작동구(2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제1 탄성부재(400)를 고정하여 받침판(230)이 회전구(222)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이 눌려질 때 제1 탄성부재(400)에 의해서 다시 복원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구(231)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구(222)가 상부에 형성된 작동구(220)의 하부에는 누름구(223)를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하부에는 누름구(223)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받침판(230)의 고정구(231)가 고정되는 회전구(222)가 형성되는 작동구(220)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0)의 일측단부와 고정되고, 상기 작동구(220)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튜브(300)의 반대쪽은 본체(210)에 고정한다.
본체(210)와 작동구(220)에 고정되는 튜브(300)는 작동구(220)와 본체(21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튜브(300)에 의해서 작동구(220)와 함께 내부가 밀폐되는 본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241)와 본체(210)의 내부에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42)가 형성된 공기압 조절수단(240)을 형성한다.
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흡입구(241)와 배출구(242)가 형성되는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와 배출구(242)를 작동시키는 레버(243)를 형성한다.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와 배출구(24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레버(243)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구(22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구(223)와 힌지(250)로 고정되어 작동구(220)에 상.하 작용에 의해서 레버(243)가 회전하며, 회전되는 레버(243)에 의해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와 배출구(242)가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수평유지수단(200)을 작동시킬 때는 침대(100)에 설치된 콤프레셔와 같은 공기압 발생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침대(100)에 설치된 공기압 발생기구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기압 발생기구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침대(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수평유지수단(200)의 본체(210) 하부에 고정되는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통해 공기압 발생기구에서 발생된 공기가 본체(210)로 유입되면, 상기 본체(210)와 작동구(220)를 연결하면서 밀폐시키는 튜브(300)가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팽창되며, 튜브(300)가 팽창되면 상기 튜브(300)에 의해서 본체(210)와 연결된 작동구(220)가 상부로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통해 공기가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튜브(300)가 팽창해 작동구(220)가 상승할 때 상기 작동구(220)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구(223)가 작동구(220)와 함께 상승하면서 공기압 조절수단(240)을 통해 작동구(220)의 높이가 일정하게 상승되면 상기 작동구(220)와 함께 상승하는 누름구(223)와 힌지(250)로 연결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레버(243)가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막으면서 침대(100)에 설치된 공기압 발생기구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체(210)와 작동구(220)를 연결하는 튜브(300)가 공기에 의해서 팽창하면서 작동구(220)의 높이가 일정하게 상승되면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막아 수평유지수단(200)의 작동구(220)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며, 작동구(220)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작동구(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구(222)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받침판(230)도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210)와 작동구(220)를 밀폐시키면서 연결하는 튜브(300)가 팽창하면서 공기압에 의해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는 수평유지수단(200)의 작동구(220)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판(230)에 사용자가 앉거나 눕게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 받침판(230)이 아래쪽으로 눌리며, 받침판(230)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 눌리면 상기 받침판(23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구(220)가 하강한다.
받침판(230)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 눌릴 때 받침판(230)은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231)로 작동구(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구(2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로 회전되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231)를 중심으로 작동구(220)의 회전구(222)에서 좌.우로 회전될 때 받침판(230)과 작동구(2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제1 탄성부재(400)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회전되는 받침판(230)이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가 눌러도 수평으로 회복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230)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 눌려지면서 상기 받침판(23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작동구(220)가 하강할 때 상기 작동구(22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구(221)의 안내돌기(221a)가 본체(21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211)의 안내홈(211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구(220)는 본체(210)의 돌출부(211)에 형성된 안내홈(211a)을 따라 하강하며, 돌출부(211)의 안내홈(211a)을 따라 작동구(220)의 삽입구(221)가 돌출부(211)에 형성된 삽입부(212)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211)의 삽입부(212)에는 제2 탄성부재(500)가 형성되어 있어 작동구(220)의 삽입구(221)가 본체(210)와 충돌되지 않도록 완충시킨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구(220)가 하강하게 되면 본체(210)와 작동구(220)의 사이에서 밀폐시키면서 고정된 튜브(300)가 찌그러지며, 상기 작동구(220)가 하강하게되면 작동구(220)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구(223)가 하강한다.
작동구(2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누름구(223)가 작동구(220)와 함께 하강될 때 누름구(223)는 힌지(250)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레버(243)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강되는 누름구(223)에 의해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레버(243)가 작동되면서 상기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흡입구(241)를 통해 공기압 발생장치를 통해 공기가 수평유지수단(200)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계속 공기가 수평유지수단(200)의 내부로 유입되면 다시 튜브(300)가 팽창하면서 작동구(220)가 상승하여 사용자가 침대(100)에 앉거나 누워있어도 침대(100)가 수평유지수단(200)의 작동구(220)에 의해서 수평으로 유지된다.
작동구(220)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침대(100)에서 내려오면 작동구(220)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본체(210)와 작동구(220)에는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압에 의해서 작동구(220)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다.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는 침대(100)에서 사용자가 내려와 공기압에 의해서 작동구(220)가 상승하면 상기 작동구(220)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구(223)가 같이 상승하며, 누름구(223)가 상승하면 상기 누름구(223)와 힌지(250)로 연결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레버(243)가 상승한다.
작동구(220)가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구(220)에 형성된 누름구(223)와 힌지(250)로 연결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레버(243)가 상승하면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배출구(242)가 열리면서 튜브(300)로 밀폐된 본체(210)와 작동구(220)의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배출구(242)를 통해서 배출된다.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배출구(24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공기압에 의해서 다시 작동구(220)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며 작동구(220)가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배출구(242)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하강되면서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레버(243)가 다시 수평으로 유지되면 공기압 조절수단(240)의 배출구(242)가 막히면서 튜브(300)로 밀폐되는 본체(210)와 작동구(220)에는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면서 작동구(220)가 수평으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침대(100)를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 모두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수평유지수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침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유지수단의 본체와 작동구의 간격을 공기압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반영구적인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력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력 변화에 의한 불편함이 제거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평유지수단에 의해서 탄성을 가지며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돌 침대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둘레에 안내홈이 다수개 형성되면서 상부로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돌출부가 하부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대 내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본체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다수개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삽입구가 상부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부에는 회전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누름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내측 하부와 본체의 둘레 상측을 연결하면서 본체와 작동구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튜브와;
    상기 작동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작동구의 사이에 형성되어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작동구의 삽입구를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작동시키는 레버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작동구의 하부로 돌출되는 누름구와 힌지로연결되는 공기압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KR2020020008618U 2002-03-22 2002-03-22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KR200279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18U KR200279087Y1 (ko) 2002-03-22 2002-03-22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18U KR200279087Y1 (ko) 2002-03-22 2002-03-22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087Y1 true KR200279087Y1 (ko) 2002-06-22

Family

ID=7311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18U KR200279087Y1 (ko) 2002-03-22 2002-03-22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0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27B1 (ko) * 2013-07-01 2015-01-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구조를 갖는 선박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27B1 (ko) * 2013-07-01 2015-01-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구조를 갖는 선박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621B1 (en) Valve for inflatable objects
CA2583171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in inflatable devices
GB2393116A (en) self inflated air cushioned bed
JP2005511124A (ja) 圧力調整式発泡体の支持装置
JP2005511124A6 (ja) 圧力調整式発泡体の支持装置
CN109124160B (zh) 软硬度可调的音乐按摩床垫
US6220663B1 (en) Pump assembly for a chair
KR200279087Y1 (ko) 침대의 수평유지수단
CN110680113A (zh) 一种多气室充气床
CN210446358U (zh) 助眠按摩床垫
CN209003334U (zh) 头部升起式电动床架
CN108591546B (zh) 充气装置
CN108679274A (zh) 充气装置
CN218651231U (zh) 高度可调乳胶枕
KR100435239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TWM554512U (zh) 雙向打氣筒
CN219895197U (zh) 一种软硬可调的充气软包
TWI645112B (zh) Two-way pump
CN2413644Y (zh) 体部定位架的水平调节装置
KR200347901Y1 (ko) 안마장치
JP2546460Y2 (ja) 操作桿式蛇口装置
KR101283583B1 (ko) 베개
JP4100703B1 (ja) 手動ポンプ
KR20010067969A (ko) 쿠션 시트
JP2002078589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