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10Y1 -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10Y1
KR200278910Y1 KR2020020007221U KR20020007221U KR200278910Y1 KR 200278910 Y1 KR200278910 Y1 KR 200278910Y1 KR 2020020007221 U KR2020020007221 U KR 2020020007221U KR 20020007221 U KR20020007221 U KR 20020007221U KR 200278910 Y1 KR200278910 Y1 KR 200278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ember
water
intake
air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갑
Original Assignee
손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갑 filed Critical 손병갑
Priority to KR2020020007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10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와 상,하수및 공업용수등의 취수 및 정수장치에 사용되는 여과부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세척할수 있게 한 것으로 취수장치의 펌프(60)와 연결되는 취수관(20)의 단부에 망체로 되어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하는 취수장치의 여과부재(30)에 있어서 펌프(60)와 연결된 취수관(20)을 수원의 내측에 투입하되 취수관(20)의 일정부에는 취수관(20) 보다 지름이 큰 완충통(80)을 구비하고 취수관(20)의 단부에는 나사부(22a)를 형성하여 여과부재(30)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여과부재고정캡(32)을 나사결합하며 취수관(20)의 내부에는 공기노즐(40)을 형성하되 공기노즐(40)의 공기공급부는 취수관(20)의 외측에 형성한 공기발생수단과 연결한 구조로 되어 취수작업시에 취수구에 장치된 여과부재(30)에 의해 취수장치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할수 있고 여과부재(30)에 부착된 이물질은 여과부재(30)를 분해하여 청소할 필요가 없이 공기노즐(40)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함으로서 여과부재(40)를 청소할 수 있는것이다.

Description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Do washing device of water management filter of that use air}
본 고안은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와 상,하수및 공업용수등의 취수 및 정수장치에 사용되는 여과부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세척할수 있게 함으로서 용수의 취수시에 여과부재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것을 방지함으로서 취수장치의 효률이 우수하게 하고 여과부재의 세척이 편리하게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라 함은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정을 거쳐서 목적하는 용도로 하는 물을 얻는것을 말하며 수처리는 취수되는 원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처리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오,폐수및 각종 용수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취수된 원수에 미생물을 투입하거나 응집제를 혼합하여 미생물분해를 하여 각종 이물질을 고형화 하여 이를 침전하여 슬러지와 정화된 물을 분리하고 이를 다양한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하여 사용목적에 맞는 여과수를 얻는것이 일반적인 수처리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여과부재가 사용되어 진다.
즉 원수의 취수시에 모래와 오니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수구의 입 구에 미세필터를 설치하거나 수처리의 각 공정별 이송시에 전처리의 공정에서 분리한 이물질이 후공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물의 이동통로에 설치되는 여과부재 및 여과 장치에 사용되는 여과부재등 수처리공정에는 다양한 종류의 여과부체가 사용되며 여과부재는 이물질을 걸러주는것이 그 주요기능이므로 여과부재에는 다양한 이물질이 묻게되고 이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여과부재는 수시로 여과장치에서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환하여 주어야 함으로 용수처리시설을 연속적으로 가동하지 못하여 용수처리시설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관리비용이 많이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여과부재의 내측에 공기노즐을 장치하여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여과부재에 공급하여흡착되는 이물질을 불어서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수처리시설의 취수구에 장치되는 여과부재를 일예로 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취수관의 확대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수원 20 : 취수관
22 : 확관부 22a : 나사부
30 : 여과부재 32 :여과부재고정캡
40 : 공기노즐 42 : 공기공급부
50 : 공기발생수단 60 : 펌프
취수장치의 펌프(60)와 연결되는 취수관(20)의 단부에 망체로 되어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하는 취수장치의 여과부재(30)에 있어서 펌프(60)와 연결된 취수관(20)을 수원의 내측에 투입하되 취수관(20)의 일정부에는 취수관(20) 보다 지름이 큰 완충통(80)을 구비하고 취수관(20)의 단부에는 나사부(22a)를 형성하여 여과부재(30)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여과부재고정캡(32)을 나사결합하며 취수관(20)의 내부에는 공기노즐(40)을 형성하되 공기노즐(40)의 공기공급부는 취수관(20)의 외측에 형성한 공기발생수단과 연결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취수시에 취수관(20)의 흡입력에 의해 물이 흡입될때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함께 흡입되게 되는데 이는 취수관(20)의 단부에 장치된 여과부재(3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걸러진 이물질은 흡입력에 의해 여과부재(30)에 부착되게 되며 여과부재(3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면 이물질이 여과부재에서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펌프와 연결되는 취수관(20의 단부 후측에 완충통(80)을 구비하고 단부에 망체로된 여과부재(30)를 가진 취수구(20)를 수원에 투입하여 설치하되 취수관(20)의 단부에는 나사부(22a)를 형성하여 여과부재(30)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여과부재고정캡(32)을 나사결합하고 취수관(20)의 내부에는 공기노즐(40)을 형성하되 공기노즐(40)의 공기공급부는 취수관(20)의 외측에 형성한 공기발생수단과 연결하게 된다.
그리하여 취수장치의 펌프(60)를 가동하여 취수를 하게 되면 취수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물과 함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함께 흡입되게 되는데 흡입되는 물은 여과부재(30)를 통과하여 흡입되고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여과부재(30)에 걸려서 흡입되지 못하고 여과부재에 흡착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의 취수시에는 여과부재(30) 즉 취수관(20)의 단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됨으로 취수작업을 연속적으로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방지하기 위하여 취수관(20)의 내부에 여과부재청소수단인 공기노즐(40)을 설치하게 되는데 공기노즐(20)의 공기공급부는 취수관의 외측에 형성하여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공기발생수단과 연결함으로서 압축공기를 취수관(20)의 내측 즉 여과부재(30)의 내측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할수 있게 되는데 여과부재(30)에 공기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면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여과부재(30)에 부착되어진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여과부재(30)의 막힘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취수작업이 이루어 질수 있는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기재에서 취수관(20)에 결합되는 여과부재(30)에 한정하는것은 아니며 이물질의 크기 즉 유입이 허용되는 크기의 입자를 제외한 것은모두 걸러질수 있도록 하며 여과부재(30)의 종류 및 여과입자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되며 그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수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은 취수작업시에 취수구에 장치된 여과부재(30)에 의해 취수장치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할수 있고 여과부재(30)에 부착된 이물질은 여과부재(30)를 분해하여 청소할 필요가 없이 공기노즐(40)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함으로서 여과부재(40)를 청소할 수 있음으로 취수장치의 취수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취수된 물 또한 침전조와 같은 별도의 공정을 줄일수 있음으로 시설비용 및 운전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잇점을 얻는것이다

Claims (1)

  1. 취수관(20)의 일정부에 취수관(20) 보다 지름이 큰 완충통(80)을 구비하고 취수관(20)의 단부에는 나사부(22a)를 형성하여 교환이 가능한 여과부재고정캡(32)을 나사결합하며 취수관(20)의 내부에는 공기노즐(40)을 형성하되 공기노즐(40)의 공기공급부는 취수관(20)의 외측에 형성한 공기발생수단(50)과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여과부재(30)에 고압분사하여 여과부재(30)를 청소할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KR2020020007221U 2002-03-12 2002-03-12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KR200278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21U KR200278910Y1 (ko) 2002-03-12 2002-03-12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21U KR200278910Y1 (ko) 2002-03-12 2002-03-12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10Y1 true KR200278910Y1 (ko) 2002-06-21

Family

ID=7305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21U KR200278910Y1 (ko) 2002-03-12 2002-03-12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9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505A (ko) * 2002-03-12 2003-09-19 손병갑 활성오니 정화시설의 무침전 방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505A (ko) * 2002-03-12 2003-09-19 손병갑 활성오니 정화시설의 무침전 방류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73766Y (zh) 汽车洗涤废水循环回用处理装置
CN203379689U (zh) 两相流冲洗装置
US20050184011A1 (en) Car wash water reclamation system
KR200278910Y1 (ko)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부재의 세척장치
CN103566764B (zh) 一种道路清洗扫路车的回收污水循环再生利用装置及方法
KR101121062B1 (ko) 원통형 압축성형활성탄 여과부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203112611U (zh) 一种絮体膜与中空纤维膜结合的污水处理装置
CN204550298U (zh) 静音冲洗型水质过滤器
CN107720847B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0321407Y1 (ko) 간이 정수장치
KR10061841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CN207680154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7596620U (zh) 一种一体化全自动污水净化装置
CN104860430A (zh) 高效污水过滤装置
CN205549775U (zh) 一种超声波过滤机
KR100279350B1 (ko)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CN214399922U (zh) 一种高效提标改造处理装置
CN213159754U (zh) 一种污水泵站砂水分离装置
CN219423900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污水简易净化器
CN107879389A (zh) 一种内反压污水处理装置
CN220824510U (zh) 方便清洁滤网的污水处理装置
CN218130475U (zh) 江河取净水一体化系统
CN214088127U (zh) 一种卧式自动反冲过滤设备
CN220034174U (zh) 一种新型的与沉淀池结合的w无机膜处理设备
CN2587503Y (zh) 空气清洗连续流微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