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778Y1 -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778Y1
KR200278778Y1 KR2020020009371U KR20020009371U KR200278778Y1 KR 200278778 Y1 KR200278778 Y1 KR 200278778Y1 KR 2020020009371 U KR2020020009371 U KR 2020020009371U KR 20020009371 U KR20020009371 U KR 20020009371U KR 200278778 Y1 KR200278778 Y1 KR 200278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external power
remaining amount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국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파워
Priority to KR2020020009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778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의 전압,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잔량을 보정하고, 잔량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의 사용 도중에 정확한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이 되면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여 사용자가 하고 있던 일을 마무리하여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동작시 입력단을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방전동작시 출력단을 통해 시스템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온도,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서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감지되는 경우에 외부전원이 배터리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배터리로부터 DC/DC 컨버터로 방전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산출하고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상기 산출된 잔량을 보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보정된 배터리의 잔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UNINTERRUPTED POWER SUPPLY FOR LAPTOP COMPUTER}
본 고안은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량을 늘리고 크기를 최소화하여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한 랩탑 컴퓨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한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용 전원은 2600mAh로 3시간 정도를 사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데, 노트북 컴퓨터가 오래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거의 다 되면 사용시간이 줄어들어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새로 구입한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도 배터리 사용시간이 마음에 들지 않은 사용자들이 많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용시간의 문제점은 전원공급용 어댑터를 갖고 다니면 쉽게 해결되지만 사용자가 별도로 전원공급용 어댑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의 무게가 증가하고 가는 곳마다 일일이 전원 코드를 찾아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다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 배터리(Battery)를 하나 더 들고 다니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하고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동작중인 시스템을 종료시켜야 하는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외장형 전원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리튬 폴리머를 이용한 시트형 배터리, 즉 노트북 컴퓨터 하단에 놓고 쓰는 방식의 배터리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리튬 폴리머가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구입하는데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저가의 외장형 충전기를 이용하여 노트북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랩탑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장형 전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입출력단(1)이 구비되며, 상기 입출력단(1)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가 접속되고, 또한 정류된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 3)가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2)는 다수의 단전지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터리(2)의 전압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 알려주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부(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호회로부(4)에는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기 위해 충전소자와 방전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이 배터리(2)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배터리(2)로부터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위칭부(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외장형 전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배터리(2)의 충전을 위해 입출력단(1)을 외부전원과 접속시키면 전원이 공급되고, 이 공급된 전원은 배터리(2)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단(1)과 배터리(2)가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배터리(2)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배터리(2) 내부의 각각의 단전지에 대한 충전상태는 보호회로부(4)에서 판별되며, 이 충전상태는 데이터화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 입력된다. 한편, 충전이 모두 이루어져 배터리(2) 내부의 단전지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보호회로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5)가 동작하여 폐루프를 단락시킴으로써 충전동작이 종료되도록 한다.
이때, 방전소자가 동작하여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방전이 계속되어 미리 설정된 재충전 설정값에 도달하면 다시 충전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하여 재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2)의 충전 또는 방전시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보호회로부(4)를 통해 충전소자와 방전소자를 동작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충전량을 조절한다.
한편, 사용자가 입출력단(1)과 외부전원의 접속을 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OFF) 되어 배터리(2) 내부의 각각의 단전지에 관한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배터리(2)를 사용할 경우 단전지에 관한 데이터가 없으므로 배터리(2)의 용량이 부정확하게 되기 때문에 단전지의 잔량만 살피면서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 중에 노트북 컴퓨터가 갑작스럽게 다운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단(1)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2)의 충전을 수행하는 동작과, 배터리(2)에서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 배터리에 비하여 용량을 약 2배 내지 3배정도 늘리고 크기를 최소한으로 하여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입력단과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단을 분리하여 배터리의 충전동작과 구동전원 공급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전압,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잔량을 보정하고, 배터리 외부에 잔량 표시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의 사용 도중에 정확한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전압을 계속적으로 감시하여 저전압이 되면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여 사용자가 하고 있던 일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동작시 입력단을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방전동작시 출력단을 통해 시스템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온도,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서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감지되는 경우에 외부전원이 배터리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배터리로부터 DC/DC 컨버터로 방전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산출하고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상기 산출된 잔량을 보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보정된 배터리의 잔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다수의 단전지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배터리의 잔량을 다수의 단계로 표시할 수 있는 잔량 표시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던 일을 마무리하여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배터리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가 되면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는 경보부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랩탑 컴퓨터에 적용되는 외장형 전원장치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하여 랩탑 컴퓨터에 적용되는 외장형 전원장치의 기술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외장형 전원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C 어댑터 15 : 충전부
20 : 배터리 25 : 더미스터
30 : 마이크로 프로세서 35 : 디스플레이부
40 : 보호회로부 41 : 온도 검출부
42 : 전압 검출부 43 : 전류 검출부
50 : 스위칭부 60 : DC/DC 컨버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하여 랩탑 컴퓨터에 적용되는 외장형 전원장치의 기술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외장형 전원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AC 어댑터를 나타내고, 20은 상기 AC 어댑터(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또는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AC 어댑터(10)와 배터리(20)의 사이에는 정전압 및 정전류를 출력하는 충전부(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20)는 다수의 단전지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입력단과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충전동작과 구동전원 공급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20)에는 온도에 반비례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더미스터(thermistor)(25)가 구비된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상기 AC 어댑터(10) 또는 배터리(20)의 출력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를 나타내고, 40은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결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보호회로부를 나타내고, 50은 외부전원이 배터리(20)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배터리(20)로부터 시스템의 각 구성으로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나타내고, 60은 상기 배터리(20)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복수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고 각각의 부하에 그것들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제공하는 DC/DC 컨버터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배터리(20)에 관한 정보 신호들을 입력받아 대응되는 잔량정보 표시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보호회로부(40)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배터리(20)의 잔량을 산출하고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상기 산출된 잔량을 보정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는 LED로 구성되어 상기 잔량정보 표시신호에 대응하는 잔량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가 구비된다. 이때, 배터리(20)의 잔량을 다수의 단계로 표시할 수 있는 잔량 표시기(미도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5)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는 배터리(20)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가 되면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는 경보부(미도시)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던 일을 마무리하여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부(40)에는 온도 검출부(41), 전압 검출부(42) 및 전류 검출부(43)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 검출부(41)는 상기 더미스터(25)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도를 검출하고 비교기(미도시)를 통해 기준이 되는 온도와 검출 온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온도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압 검출부(42)는 배터리(20)의 양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부(43)는 배터리(20)로부터 방전되는 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방전전류 또는 부하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20)는 충전부(15)로부터의 정전압 및 정전류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더미스터(25)에서는 온도에 반비례하는 저항값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전압 검출부(42)는 배터리(20)의 양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온도 검출부(41)에서는 더미스터(25)의 출력 저항값에 따라 배터리(20)의 온도를 검출하고, 기준이 되는 온도와 검출 온도를 비교하여 검출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제공한다.
상기 충전 동작시 급속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만충전 후에 급격한 온도 상승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20)의 온도를 감지하고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보호회로부(40)에서 스위칭부(50)를 제어하여 충전을 중지시킴으로써 회로의 보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 후 상기 DC/DC 컨버터(60)는 배터리(20)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복수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게 되는데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 검출부(43)는 배터리(20)로부터 방전되는 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방전 전류 또는 부하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방전 전류의 크기를 0.5C로 했을 때보다 큰 부하전류 예컨대 1C를 사용하면 배터리(20)의 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5)에는 실제의 잔량보다 표시되는 잔량이 낮게 표시되게 된다. 반대로 방전 전류의 크기가 0.5C보다 작아지면 예컨데 0.2C를 사용하면 배터리(20)의 전압이 높아지고,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5)에는 실제의 잔량보다 표시되는 잔량이 높게 표시되게 된다.
상기에서 배터리(20)의 충전 또는 방전시 전류는 일반적으로 정격용량의 배수로 표기한다. 예컨데 방전 전류의 양이 0.5C라 함은 정격용량(C)의 0.5배의 전류량으로 방전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배터리(20)에 관한 정보 신호들을 입력받아 대응되는 잔량정보 표시신호를 디스플레이부(35)로 출력하는데,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잔량을 산출하고, 온도 신호 및 전류 신호를 입력받아 산출된 배터리(20)의 잔량 값을 보정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온도 검출부(41)로부터의 온도 신호가 클 때, 즉 검출된 배터리(20)의 온도가 기준 온도(25??)보다 높을 때는, 배터리(20)의 단자 전압이 증가됨으로, 표시되는 잔량은 실제의 잔량보다 증가된 양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상기 기준온도와 검출된 온도와의 편차에 대응하는 값 만큼 잔량 값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검출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는, 두 온도의 편차에 대응하는 값만큼 잔량 값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전류 검출부(43)로부터의 부하전류 신호가 클 때, 즉 검출된 부하 전류양이 일반적인 부하 인가시의 전류(0.5C)보다 클경우(1C), 배터리(20)의 단자 전압이 감소됨으로, 표시되는 잔량은 실제의 잔량보다 감소된 양으로 표시된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상기 일반적인 부하 인가시의 전류(O.5C)와 검출된 부하 전류값(1C)의 편차에 대응하는 값만큼 잔량 값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검출된 부하전류가 일반적인 부하 인가시의 전류보다 작을 때는, 두 부하전류의 편차에 대응하는 값만큼 잔량 값을 감소시킨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배터리(20)의 만충전으로부터 그것의 방전 개시 이전까지의 방치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부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타이머로부터의 방치시간 정보 신호에 대응하는 값만큼 잔량 값을 보정한다. 즉, 배터리(20)의 만충전으로부터 그것의 방전 개시 이전까지의 방치된 시간이 길게 측정될수록, 배터리(20)의 전압이 감소하여 표시되는 잔량은 실제의 배터리 잔량보다 감소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방치 시간에 대응하는 값만큼 잔량 값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방치시간이 짧을 수록 잔량 값을 감소시킨다.
결국,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전압 검출부(42)의 전압 신호에 의하여 배터리(20)의 잔량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검출부(41)와 전류 검출부(43), 및 타이머로부터 배터리(20)의 온도, 부하전류의 크기, 만충전 후 방치된 시간 등의 잔량 보정요인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각각 소정의 기준값(예컨대, 온도는 25??, 부하전류의 크기는 0.5C 등)과 비교하여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하고, 기준값과 차이가 있을 경우, 즉 실제 잔량보다 표시되는 잔량이 낮을 경우, 또는 실제 잔량보다 표시되는 잔량이 높을 경우, 표시되는 잔량을 각각의 차이에 대응되는 값만큼 높게 보정하거나, 낮게 보정하고 보정된 값에 대응되는 배터리(20)의 잔량정보 표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5)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보호회로부(40)를 통해 감지되는 배터리(20)의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가 되면 경보부(미도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던 일을 마무리하여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를 적용하면, 배터리의 전압,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잔량을 보정하고, 배터리 외부에 잔량 표시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의 사용 도중에 정확한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전압을 계속적으로 감시하여 저전압이 되면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여 사용자가 하고 있던 일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충전동작시 입력단을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방전동작시 출력단을 통해 시스템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온도,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서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감지되는 경우에 외부전원이 배터리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배터리로부터 DC/DC 컨버터로 방전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선로를 차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산출하고 온도 및 부하전류에 따라 상기 산출된 잔량을 보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보정된 배터리의 잔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다수의 단전지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배터리의 잔량을 다수의 단계로 표시할 수 있는 잔량표시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하던 일을 마무리하여 자료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배터리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가 되면 소정시간 전에 경보하는 경보부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KR2020020009371U 2002-03-29 2002-03-29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KR200278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71U KR200278778Y1 (ko) 2002-03-29 2002-03-29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71U KR200278778Y1 (ko) 2002-03-29 2002-03-29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229A Division KR20030078288A (ko) 2002-03-29 2002-03-29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778Y1 true KR200278778Y1 (ko) 2002-06-20

Family

ID=7307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371U KR200278778Y1 (ko) 2002-03-29 2002-03-29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7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08B1 (ko) * 2002-08-06 2005-03-10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밧데리 보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08B1 (ko) * 2002-08-06 2005-03-10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밧데리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3314B2 (en) Surface temperature dependent battery cell charging system
JP3749538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電池ユニットを使用する装置
US8030898B2 (en) Alarm-including protection apparatus for lithium-ion battery and method thereof
US9287728B2 (en) Battery pack
US7619389B2 (en) Charge control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US79861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loat charging a battery
US9627920B2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3859608B2 (ja) 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池残量予測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JP2001157369A (ja) 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KR100722527B1 (ko) 휴대용 배터리팩의 제어회로
JP2998877B2 (ja) バッテリパック及び電気・電子機器
KR20140025652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278778Y1 (ko)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WO1993010590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245274B1 (ko) 프리 차지가 가능한 휴대기기용 배터리, 배터리 충전 장치및 방법
JPH11187585A (ja)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充電器および充電方法
KR19980079177A (ko)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압잔량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 및 잔량표시방법
JPH1118314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その充電装置
KR20030078288A (ko) 랩탑 컴퓨터의 외장형 전원장치
KR100694062B1 (ko) 다중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JP3943743B2 (ja) 電池寿命検出装置
EP2597478B1 (en) Battery discharge system
JP2002017049A (ja) 充放電システム
KR20000074392A (ko) 배터리 잔존 용량 표시 장치 및 방법
JPH08106922A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