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360Y1 - 냄비 받침대 - Google Patents

냄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360Y1
KR200278360Y1 KR2020020004817U KR20020004817U KR200278360Y1 KR 200278360 Y1 KR200278360 Y1 KR 200278360Y1 KR 2020020004817 U KR2020020004817 U KR 2020020004817U KR 20020004817 U KR20020004817 U KR 20020004817U KR 200278360 Y1 KR200278360 Y1 KR 200278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frame
frames
intersect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수정
Original Assignee
왕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수정 filed Critical 왕수정
Priority to KR2020020004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36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제 2프레임을 소정의 기울기를 두고 교차되도록 핀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축설함으로서 상하 좌우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냄비의 크기에 관계없이 냄비를 받침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냄비 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냄비 받침대{supporter for cookpot}
본 고안은,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의 크기에 관계없이 냄비를 받침할 수 있도록 한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 받침대는 뜨거운 냄비의 하부면을 받침하여 올려놓을 수 있어서 식탁 등과 같이 냄비의 바닥면이 직접 닿는 곳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그 형상은 다양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냄비 받침대는 소정 크기의 지름으로 형성된 원판 또는 일정한 형상의 직물지로 형성되어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냄비 받침대는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크기가 각기 다른 냄비는 효과적으로 받침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냄비 받침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냄비의 크기에 관계없이 냄비를 받침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냄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 받침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냄비받침대 11, 11a, 11b, 11c : 제 1프레임
13,13a : 제 2프레임 15 : 핀
17 : 받침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냄비 받침대에 있어서,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제 2프레임을 소정의 기울기를 두고 교차되도록 핀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축설함으로서 상하 좌우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받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호 교차되는 제 2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제 2프레임 중앙부에 상기 제 2프레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형성시킨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 받침대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본 고안에 따른 냄비 받침대(10)는,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1프레임(11)(11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서는 네 개의 제 1프레임(11)(11a)(11b)(11c)과, 상기 제 1프레임(11)(11a)(11b)(11c)과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제 2프레임(13)(13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프레임(11)(11a)(11b)(11c)과 제 2프레임(13)(13a)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냄비 바닥면의 고열에 변형됨을 방지한다.
제 1프레임(11)(11a)(11b)(11c)과 제 2프레임(13)(13a)은 소정의 기울기를 두고 교차되도록 다수의 핀(15)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다. 한편, 제 2프레임(13)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받침부(17)를 형성함으로서 적어도 냄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케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냄비받침대(10)는, 제 1프레임(11)(11a)(11b)(11c)과 제 2프레임(13)(13a)이 핀(15)으로서 축설되어 기울기를 갖기 때문에 냄비받침대(10)의 어느 일측에서 잡아당기면 그 크기가 가변된다. 따라서, 크기가 다른 각각의 냄비를 받침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손으로 제 1프레임 (11)(11a)(11b)(11c)또는 제 2프레임(13)(13a)을 잡고 조절하면 상하 좌우 폭이 가변되어 냄비의 크기에 관계없이 냄비를 효과적으로 받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냄비받침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제 2프레임을 소정의 기울기를 두고 교차되도록 핀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축설함으로서 상하 좌우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냄비의 크기에 관계없이 냄비를 받침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냄비 받침대가 제공된다.

Claims (2)

  1. 냄비 받침대에 있어서,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제 2프레임을 소정의 기울기를 두고 교차되도록 핀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축설함으로서 상하 좌우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호 교차되는 제 2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제 2프레임 중앙부에 상기 제 2프레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형성시킨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받침대.
KR2020020004817U 2002-02-18 2002-02-18 냄비 받침대 KR200278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17U KR200278360Y1 (ko) 2002-02-18 2002-02-18 냄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17U KR200278360Y1 (ko) 2002-02-18 2002-02-18 냄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360Y1 true KR200278360Y1 (ko) 2002-06-21

Family

ID=7311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17U KR200278360Y1 (ko) 2002-02-18 2002-02-18 냄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3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842A (ko) 2022-10-12 2024-04-19 윤태동 다중 고리형 냄비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842A (ko) 2022-10-12 2024-04-19 윤태동 다중 고리형 냄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9100A (en) Apparatus for tying bows
US5947306A (en) Modular rack for flower pot, vase, and the like
US2151192A (en) Flower and candle holder
US5456046A (en) Bouquet display apparatus
US6872338B2 (en) Produce display device
KR200278360Y1 (ko) 냄비 받침대
FI77967C (fi) Adb-bord.
US2786345A (en) Candle holder for birthday cakes
JPH1177464A (ja) 切削用支持台
KR200190601Y1 (ko) 책의 쓰러짐 방지 경사 받침대를 갖는 책장
KR100619428B1 (ko) 책장
CN218400017U (zh) 一种具有固定作用的树脂工艺品
CN220459062U (zh) 可叠加展示的面料展示盘
CN220327911U (zh) 一种游戏手柄挂架
US1565301A (en) Inclinable stand
KR200248422Y1 (ko) 화분받침대
EP1613198B1 (en) Flower holder structure
CN208640191U (zh) 角度可调货架
KR200341755Y1 (ko) 탁상용 액자
JPS631886Y2 (ko)
JP2004073690A (ja) 食品サンプル展示具
KR200247410Y1 (ko) 과일 받침대
KR200181209Y1 (ko) 차 도구 받침대
KR200245610Y1 (ko) 화병받침대
JP2023176845A (ja) 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