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147Y1 -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147Y1
KR200278147Y1 KR2020020006337U KR20020006337U KR200278147Y1 KR 200278147 Y1 KR200278147 Y1 KR 200278147Y1 KR 2020020006337 U KR2020020006337 U KR 2020020006337U KR 20020006337 U KR20020006337 U KR 20020006337U KR 200278147 Y1 KR200278147 Y1 KR 200278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at
absorbing portion
sweat absorbing
hard hat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장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호 filed Critical 장진호
Priority to KR2020020006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147Y1/ko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안전모는 작업시 머리부분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는 기능이 없어 흘러내리는 땀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3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안전모의 내피(4)인 지지끈(3)에 연질의 수지재로 성형된 고정커버(20)를 이용하여 땀흡수부 (10)를 적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전체적으로 땀흡수부(10)가 고정커버(20)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서 땀흡수부(10)가 머리부분에 직접 닿아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으며, 고정커버(20)의 뒷판(22)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홀(32)을 통해 흐르는 땀이 땀흡수부(10)에 흡수할 수 있어 얼굴로 흐르는 땀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모{Safety hat}
본 고안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전모의 내피에 땀흡수부와 연질의 수지로 성형한 고정커버를 설치하여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는 안면으로 흘러내리는 땀을 흡수하고, 겨울철에는 접촉하는 부분을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도록 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비로서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피는 강화유리섬유재로 성형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피는 부드러운 섬유재로 직조된 편직물로 이루어져 외피에 외부충격이 가해 졌을 때, 착용자의 머리부분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재가 내장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모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의 강화유리섬유재로 성형된 외피(1)와, 그 내부에 외피(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치형의 지지대(2)와 원형형상의 지지끈(3)으로 이루어진 내피(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피(1)가 착용자의 머리부위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1)의 양측단에는 턱끈(도면상 미도시)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외피(1)에는 통풍을 목적으로 통기공(5)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외피의 선단에는 차양작용을 하는 차양부(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모는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안전수칙상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한 안전장비로서,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게 되면, 머리부분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많은 땀이 발생하게 되며, 이 땀은 지지대(2)와 원형상의 지지끈(3)을 거쳐 이마를 타고 얼굴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작업자의 이마부위에 밀착되는 상기 지지끈(3)은 단순히 작업자의 머리부위에 걸쳐져서 안전모가 착용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할 뿐, 머리부분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는 기능이 없어 땀이 얼굴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는 작업시에 흘러내리는 땀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수건을 목에 두르고 있거나, 안전모을 착용하기 전에 머리부분에 수건을 얹어 놓고 안전모를 착용하여 땀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머리부분에 수건을 얹어 놓고 안전모를 착용하게 되면 지지끈(3)이 착용자의 머리부분과 전체적으로 밀착되지 않아 안정된 상태를 이룰 수가 없어 착용이 불편하며, 작업시 작은 움직임에도 안전모가 머리부분에서 탈거되는 등, 안전사고시 안전모의 기능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건을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중 얼굴로 흘러내리는 땀을 닦기 위해 손을 번거롭게 사용해야 하는 등 작업시 주위가 산만해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안전모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안전모의 내피에 땀흡수부와 연질의 수지로 성형한 고정커버를 설치하여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는 안면으로 흘러내리는 땀을 흡수하고, 겨울철에는 접촉하는 부분을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도록 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끈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땀흡수부와 상기 땀흡수부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연질의 수지로 성형한 고정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땀흡수부는 상부양측으로 관통홀을 형성하고, 지지끈의 높이보다 그 높이를 크게 하며, 상기 고정커버는 뒷판과 앞판 및 밑판으로 이루어져 종단면상 컵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뒷판의 내면과 앞판의 상부에 한쌍의 끼움돌기와 끼움홀을 형성하여 땀흡수부를 감싸지도록 하며, 특히 뒷판에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통기홀을 형성하여 땀흡수부에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안전모의 내피인 지지끈에 연질의 수지재로 성형된 고정커버를 이용하여 땀흡수부를 적정한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고, 특히 전체적으로 땀흡수부가 고정커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서 땀흡수부가 머리부분에 직접 닿아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커버의 뒷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홀을 통해 흐르는 땀이 땀흡수부에 흡수할 수 있어 얼굴로 흐르는 땀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안전모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의 요부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땀흡수부, 12 - 관통홀,
20 - 고정커버, 22 - 뒷판,
24 - 앞판, 26 - 밑판,
28 - 끼움돌기, 30 - 끼움홀,
32 - 통기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의 분해사시도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의 요부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단에 차양부(6)를 갖춘 외피(1)와, 아치형의 지지대(2)와 원형상의 지지끈(3)을 갖춘 내피(4)로 이루어진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지지끈(3)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땀흡수부(10)와, 상기 땀흡수부(10)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연질의 수지로 성형한 고정커버(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땀흡수부(10)는 상부 양측으로 관통홀(12)을 형성하고, 지지끈(3)의 높이보다 그 높이를 크게 하며, 상기 고정커버(20)는 뒷판(22)과 앞판(24) 및 밑판(26)으로 이루어져 종단면상 컵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뒷판(22)의 내면과 앞판(24)의 상부에 한쌍의 끼움돌기(28)와 끼움홀(30)을 형성하여 땀흡수부(10)를감싸지도록 하며, 특히 뒷판(22)에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통기홀(32)을 형성하여 땀흡수부(10)에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피(1)는 강화유리섬유재로 성형되어 있어 외부충격에 강성을 갖고 있어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 할 수 있으며, 상기 외피(1)의 내부에는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충격흡수재를 매개로 내피(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피(4)는 아치형의 지지대(2)와 원형의 지지끈(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끈(3)에 고정커버(20)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끈(3)의 내면에 상부 양측으로 관통홀(12)이 형성된 땀흡수부(10)가 접하도록 끼우고, 고정커버(20)의 끼움돌기(28)를 땀흡수부(10)의 관통홀(12)을 통해 앞판(22)의 끼움홀(30)에 끼워 일체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고정커버(20)에 의해 땀흡수부(10)는 지지끈(3)의 내면과 접한 상태로 지지끈(3)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커버(20)를 착용자의 이마부분을 중심으로 설치를 하게 되면 작업중 머리부분에서 발생되는 땀은 땀흡수부(10)에서 흡수하게 되고, 접촉하고 있는 이마부분에서 발생되는 땀은 뒷판(22)의 통기홀(32)을 통해 땀흡수부(10)에 흡수되어 얼굴로 흘러내리던 땀은 차단된다.
즉, 고정커버(20)에 의해 지지끈(3)의 내면에 설치된 땀흡수부(10)는 그 크기가 고정커버(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땀흡수부(10)의 상단과 양측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직접적으로 머리부분(이마부분)과 접촉됨으로서 흘러내려오는 땀을 흡수하여 차단하게 되고, 이마부분에서 발생되는 땀은 고정커버(20)의 뒷판(22)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홀(32)을 통해 땀흡수부(10)에 흡수된다.
이렇게 외부에 노출된 땀흡수부(10)와 통기홀(32)을 통해 이마부분과 접촉하고 있는 땀흡수부(10)에 의해 머리부분에서 발생되는 땀은 얼굴로 흘러내리지 않고 땀흡수부(10)에 흡수가 된다.
상기 땀흡수부(10)는 흡수성이 좋은 스펀지가 바람직하나 해면조직으로 이루어진 섬유재나 화학섬유재라도 무방하며, 땀의 흡수상태가 포화상태인 땀흡수부 (10)는 고정커버(20)로부터 분리해 내어 흡수된 땀을 제거 한 후 재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뒷판(22)의 끼움돌기(28)가 앞판의 끼움홀(30)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고 있는 고정커버(20)의 뒷판(22)을 앞판(24)으로부터 분리하면 땀흡수부(10)는 고정커버(20)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이탈된 땀흡수부(10)는 해면조직으로 이루어진 물질이므로 외부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흡수되어 있던 땀은 외부로 배출되어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고정커버(20)의 뒷판(22)과 지지끈(3)의 내면 사이에 끼워 넣고 끼움돌기(28)를 관통홀(12)에 끼워 앞판(24)의 끼움홀(30)에 끼우게 되면 땀흡수부(10)는 고정커버(20)에 의해 지지끈(3)에 부착되어 흘러내리는 땀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고정커버(20)는 착용자의 이마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부드러운 연진의 수지재로 성형되어 있다.
특히, 고정커버(20)의 뒷판(22)에 형성된 끼움돌기(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땀흡수부(10)가 땀을 흡수하는 작용 외에 안전모를 머리부분에 착용을 했을 때 가해지는 압박감을 쿠션작용을 하게 되어 보다 안전모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예시도 2내지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안전모의 내피(4)인 지지끈(3)에 연질의 수지재로 성형된 고정커버(20)를 이용하여 땀흡수부 (10)를 적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전체적으로 땀흡수부(10)가 고정커버(20)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서 땀흡수부(10)가 머리부분에 직접 닿아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으며, 고정커버(20)의 뒷판(22)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홀(32)을 통해 흐르는 땀이 땀흡수부(10)에 흡수할 수 있어 얼굴로 흐르는 땀을 차단할 수 있어 작업시 부주위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에 차양부(6)를 갖춘 외피(1)와, 아치형의 지지대(2)와 원형상의 지지끈(3)을 갖춘 내피(4)로 이루어진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지지끈(3)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땀흡수부(10)와, 상기 땀흡수부(10)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연질의 수지로 성형한 고정커버(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땀흡수부(10)는 상부 양측으로 관통홀(12)을 형성하고, 지지끈(3)의 높이보다 그 높이를 크게 하며, 상기 고정커버 (20)는 뒷판(22)과 앞판(24) 및 밑판(26)으로 이루어져 종단면상 컵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뒷판(22)의 내면과 앞판(24)의 상부에 한쌍의 끼움돌기(28)와 끼움홀(30)을 형성하여 땀흡수부(10)를 감싸지도록 하며, 특히 뒷판(22)에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통기홀(32)을 형성하여 땀흡수부(10)에 흐르는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KR2020020006337U 2002-03-05 2002-03-05 안전모 KR200278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37U KR200278147Y1 (ko) 2002-03-05 2002-03-05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37U KR200278147Y1 (ko) 2002-03-05 2002-03-05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147Y1 true KR200278147Y1 (ko) 2002-06-20

Family

ID=7308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337U KR200278147Y1 (ko) 2002-03-05 2002-03-05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1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031B1 (ko) 2010-02-16 2012-06-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모
KR101670067B1 (ko) * 2016-01-29 2016-10-27 탄탄안전 주식회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031B1 (ko) 2010-02-16 2012-06-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모
KR101670067B1 (ko) * 2016-01-29 2016-10-27 탄탄안전 주식회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79285B1 (es) Forro protector acoplable a la superficie interior de un casco, casco que lo comprende y su uso para reducir la aceleración rotacional transmitida a un usuario
US20170224042A1 (en) Head protective insert technology for significantly reducing subconcussive level impacts to protective headgear used in contact and collision sports
JPH026606A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KR20090004653U (ko) 다기능성 밴드
KR100969916B1 (ko) 헬멧의 기능성 내피
US3146462A (en) Cold weather attachment for hard head gear
KR200278147Y1 (ko) 안전모
KR20060089967A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0406219B1 (ko) 헬멧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US20060021104A1 (en) Grotto impact mask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102111674B1 (ko) 안전모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326155Y1 (ko) 머리 보호용 모자
KR101230446B1 (ko) 헬멧의 접착식 내피
KR200441032Y1 (ko) 충격을 방지해주는 챙
JP2002201525A (ja) 汗取りバンド
KR200442390Y1 (ko) 안전모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200356870Y1 (ko) 안전모용 땀 흡수대
KR200282667Y1 (ko) 안전모의 내피 완충패드
JP6807090B1 (ja) 帽子用衝撃吸収材および衝撃吸収帽子
CN216358327U (zh) 提高穿戴舒适度的矿用安全帽
KR200257458Y1 (ko) 땀흡수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