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022Y1 - 형광등기구 - Google Patents

형광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022Y1
KR200278022Y1 KR2020020006723U KR20020006723U KR200278022Y1 KR 200278022 Y1 KR200278022 Y1 KR 200278022Y1 KR 2020020006723 U KR2020020006723 U KR 2020020006723U KR 20020006723 U KR20020006723 U KR 20020006723U KR 200278022 Y1 KR200278022 Y1 KR 200278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se member
cover member
open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미혜
Original Assignee
한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혜 filed Critical 한미혜
Priority to KR2020020006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022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부재의 중앙부에 개폐용 뚜껑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 점등/소등장치의 부품의 교환 및 교정을 용이하도록 하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 외측에 볼트/너트로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하여 형광등기구를 천정 등의 고정부에 손쉽게 탈착하고, 램프서포터의 취부위치에 안착돌부를 형성하여 램프의 열에 의하여 상기 램프와 근접된 커버부재의 일부면이 타거나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좌/우양측으로 대향하여 안정기와 스타트소켓 및 스타트전구와 램프소켓이 설치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커버하며 중앙부의 좌/우양측으로 램프출입구가 형성되고 좌/우양단부에 램프서포터가 각각 취부된 커버부재로 구성된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중앙부의 상부에 개폐용 뚜껑을 구비하며 좌/우양단부에 램프서포터를 취부하는 안착돌부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램프소켓의 취부에 안착돌부를 형성한 평면의 철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 외측에 볼트/너트로 결합되고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형광등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형광등기구{A FLUORESCENT APPLIANCE}
본 고안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형광램프의 점등/소등장치가 설치된 베이스부재의 커버부재의 중앙부에 개폐용 뚜겅을 구비하여 상기 형광램프의 점등/소등장치를 구성하는 일부부품의 교환을 용이하도록 하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 외측에 볼트/너트로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하여 형광등기구를 천정 등의 고정부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광등기구는 형광램프가 착탈가능하게 양단에 램프소켓이 구비되어 있는바, 그 반사갓의 양단에 구비된 램프소켓에 형광램프가 장착되는 경우 반사갓으로부터 반사되는 열에 의해 형광램프가 가열되는 악형향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그 구조상 제품의 조립이 간단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형광램프의 착탈이 용이하기 않을 뿐더러 외형적 심미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이 양단에 램프소켓이 구비된 일반적인 형광등기구의 단점들을 감안하여 기출원된 "형광등기구 (출원번호 10-1999-0017709)"가 있었으나, 그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광램프 점등/소등장치가 설치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커버부재(20)를 결합한 후는 물론이고 천정 등의 고정부에 상기 형광등기구를 고정한 후에 점등/소등장치의 일부부품을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를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베이스부재(10)의 구조와 점등/소등장치의 조립상태가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램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램프서포터(21a,21b)는 그 재질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이며 또한 커버부재(20)의 좌/우측부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나사로 취부되어 램프와 상기 커버부재(20)의 좌/우측부의 상면 및 배리어 형상부(53) 사이의 이격간극이 매우 좁아서 램프를 장시간 사용하였을 경우, 상기 램프의 열로 인하여 상기 커버부재(20)의 좌/우측부의 상면 및 배리어 형상부(53)의 표면이 타거나 그을려서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반사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커버부재의 중앙부에 개폐용 뚜껑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 점등/소등장치의 부품의 교환 및 교정을 용이하도록 하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 외측에 볼트/너트로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하여 형광등기구를 천정 등의 고정부에 손쉽게 탈착하고, 램프서포터의 취부위치에 안착돌부를 형성하여 램프의 열에 의하여 상기 램프와 근접된 커버부재의 일부면이 타거나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좌/우양측으로 대향하여 안정기와 스타트소켓 및 스타트전구와 램프소켓이 설치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커버하며 중앙부의 좌/우양측으로 램프출입구가 형성되고 좌/우양단부에 램프서포터가 각각 나사로 취부된 커버부재로 구성된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중앙부의 상부에 개폐용 뚜껑을 구비하며 좌/우양단부에 램프서포터를 나사로 취부하는 안착돌부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램프소켓의 취부에 안착돌부 형성한 평면의 철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중앙부 외측에 볼트/너트로 결합되고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형광등기구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형광등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00 : 베이스(BASE)부재 110 : 커버(COVER)부재
112 : 개폐공 113 : 안착리부
114 : 삽지공 115 : 요홈
120 : 뚜껑 121 : 탄성걸쇠부
122 : 요홈 130 : 고정용 브라켓
131 : 볼트 132 : 너트
본 고안의 구성 및 그 실시예는 첨부된 도2,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2 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좌/우양측으로 대향하여 안정기(101,101')와 스타트소켓(102,102') 및 스타트전구(103,103')와 램프소켓(104,104')이 설치된 베이스부재(100)와, 중앙부의 좌/우양측으로 램프출입구(111,111')가 형성되고 좌/우양단부에 각각 램프서포터(116a,116a')를 나사로 취부한 커버부재(110)로 구성된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10)의 중앙부의 상면에 개폐공(112)과 좌/우양단부에 램프서포터(116a,116a')를 취부하는 안착돌부(116b,116b')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공(112)에 탈착되는 개폐용 뚜껑(12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중앙부와 그 외의 부위에 다수의 통공(105,106,107)과 램프소켓(104,104')를 취부하는 안착돌부(109,109')를 형성한 평면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중앙부 통공(107)을 통하여 외측에 볼트(131)/너트(132)로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체결공(133) 및 그 외의 부위에 다수의 고정공(132)이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130)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10)는 개폐공(112)의 안쪽으로 일정길이 돌출하여 안착리부(113)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120)이 개폐공(112)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뚜껑(120)이 개폐공(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110)와 탄성력으로 체결되도록 개폐공(112)에 형성한 전/후측 안착리부(113)의 좌/우 양측부에 삽지공(114)을 형성하고, 상기 삽지공(114)에 대향하여 뚜껑(120)의 전/후측면에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탄성걸쇠부(1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뚜껑(120)이 개폐공(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탈거가 용이하도록 개폐공(112)의 좌/우측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에 반원형의 요홈(115)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5)에 대향하여 뚜껑(120)의 좌/우측 중앙부에 반원형의 요홈(1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고정용 브라켓(130)을 결합시 볼트(131)와 체결되는 너트(132)는 일정길이를 갖는 장통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05는 전선입출용 통공이고, 106은 조립용 통공이고, 107은 고정용 브라켓(130)의 결합용 통공이고, 108은 결합용 볼트이고, 116은 형광램프의 서포터이고, 117은 방열용 통기공이고, 118은 너트공이 형성된 체결돌기이고, 119와 119'는 형광램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첨부된 도 2,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부재(100)의 상면 중앙부에서 좌우로 대향하여 안정기(101,101'), 스타트전구소켓(102,102') 과 스타트전구(103,103'), 램프소켓(104,104')순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하되 상기 램프소켓(104,104')는 안착돌부(109,109')에 각각 나사로 취부하고, 이후 다수 통공(106)을 각 체결돌기(118)의 하측에 일직선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용 볼트(108)를 사용하여 베이스부재(100)와 안착돌부(116b,116b')의 상면에 각각 램프서포터(116a,116a')가 나사로 취부된 커버부재(11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체결돌기(118)는 커버부재(110)의 상측 내면에서 하방향으로 수직돌출하며 그 길이는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측단보다 짧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커버부재(110)의 하측단 안쪽으로 삽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0)와 뚜껑(120)의 탈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뚜껑(120)은 각각의 탄성걸쇠부(121)를 각각의 삽지공(114)으로 삽입되도록 개폐공(112)에 밀어넣으면 안착리부(113)에 걸려서 상기 개폐공(112)을 커버한 상태로 커버부재(110)에 안착되며, 동시에 상기 뚜껑(120)은 탄성걸쇠부(121)의 하단이 개폐공(112)의 하단측부에 걸리게되어 개폐공(1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0)의 좌/우측 램프출입구(111,111')를 통하여 램프소켓(104,104')에 형광램프(119,119')를 체결하며 그 타단은 램프서포터(116a,116a')에 의하여 고정되게된다.
이때, 상기 형광램프(119,119')는 커버부재(110)의 양단부의 상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상태를 갖도록 상기 안착돌부(116b,116b',109,109')의 높이는 적절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110)의 결합체를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고정용 브라켓(130)의 중앙 통공(113)으로 볼트(131)의 나사부를 삽통한 후, 피스 및 못(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용 브라켓(130)을 천정이나 벽 등의 소정위치에 고정한다.
이후, 상기 볼트(131)의 나사부가 돌출되도록 베이스부재(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07)으로 삽통시킨다.
이와같이 볼트(131)를 상기 통공(107)으로 삽통하기 전에 먼저커버부재(110)에서 뚜껑(120)을 분리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뚜껑(120)의 탈거는 커버부재(110)에 형성한 요홈(115)과 뚜껑(120)에 형성한 요홈(122)으로 형성된 홈부에 작업자의 손가락(미도시)을 넣은 후, 상기 손가락에 일정한 힘을 주고 상방향으로 뚜껑(120)을 들어주므로서 개폐공(112)에서 손쉽게 상기 뚜껑(120)을 탈거한다.
즉, 상기 뚜껑(120)에 가해지는 탈거용 외력은 상기 개폐공(112)의 하단측부에 탄성결합된 탄성걸쇠부(121)의 탄성력을 해지하므로서, 개폐공(112)에서 뚜껑(120)이 손쉽게 탈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개폐공(112)에서 뚜껑(120)이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107)으로 관통된 볼트(131)의 나사부에 장통형의 너트(132)를 체결하므로서, 천정이나 벽 등에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110)의 결합체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볼트(131)와 너트(132)의 결합을 해지하므로서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110)의 결합체를 천정이나 벽 등에서 손쉽게 탈거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정용 브라켓과 체결용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하고 커버부재의 중앙부에 개폐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공에 탈착용 뚜껑을 구비하므로서, 천정 및 벽 등에 탈착이 용이하며 커버부재의 안쪽에 내재된 램프점등/소등장치의 일부 부품의 고장으로인한 부품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램프서포터는 커버부재의 좌/우양측면 상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된 안착돌부에 취부하므로서, 장시간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좌/우양측면이 타거나 검게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좌/우양측으로 대향하여 안정기(101,101')와 스타트소켓(102,102') 및 스타트전구(103,103')와 램프소켓(104,104')이 설치된 베이스부재(100)와, 중앙부의 좌/우양측으로 램프출입구(111,111')가 형성되고 좌/우양단부에 각각 램프서포터(116a,116a')를 나사로 취부한 커버부재(110)로 구성된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10)의 중앙부 상면에 개폐공(112)을 형성하되 그 안쪽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안착리부(113)와 상기 안착리부(113)의 일정위치에 다수의 삽지공(114)을 형성하며, 좌/우양단부에 램프서포터(116a,116a')를 취부하는 안착돌부(116b,116b')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공(112)에 탈착되는 개폐용 뚜껑(120)을 구비하되 그 전/후측면에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삽지공(114)으로 삽통되는 탄성걸쇠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중앙부와 그 외의 부위에 다수의 통공(105,106,107)과 램프소켓(104,104')를 취부하는 안착돌부(109,109')를 형성한 평면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중앙부 통공(107)을 통하여 외측에 볼트(131)/너트(132)로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체결공(133) 및 그 외의 부위에 다수의 고정공(132)이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1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이 개폐공(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탈거가 용이하도록 개폐공(112)의 좌/우측 중앙부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에 반원형의 요홈(115)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5)에 대향하여 뚜껑(120)의 좌/우측 중앙부에 반원형의 요홈(1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32)는 일정길이를 갖는 장통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KR2020020006723U 2002-03-07 2002-03-07 형광등기구 KR200278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23U KR200278022Y1 (ko) 2002-03-07 2002-03-07 형광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23U KR200278022Y1 (ko) 2002-03-07 2002-03-07 형광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022Y1 true KR200278022Y1 (ko) 2002-06-14

Family

ID=7307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723U KR200278022Y1 (ko) 2002-03-07 2002-03-07 형광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0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504B2 (en) Light fixture retrofitting apparatus and method
CA2307903C (en) Lighting fixture with downlight reflector and wallwash reflector
US20050237746A1 (en) Surface and recess mountable lighting fixture
KR101481965B1 (ko) 원터치 탈착형 엘이디 조명장치
CA2307904C (en) Horizontal socket housing assembly
US20100073939A1 (en) Roadway luminaire system
KR200278022Y1 (ko) 형광등기구
US20120262920A1 (en) Lighting Assembly for New and Retrofitting Applications
KR200143728Y1 (ko) 조명기구 설치용 고정금속구
KR20120002883U (ko) 조명 기구
KR200446837Y1 (ko) 등기구
JPH07272509A (ja) システム天井用照明器具
KR0136245Y1 (ko) 천정 매입형 조명등
KR100419399B1 (ko) 형광등기구
KR20080004082U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KR200203500Y1 (ko) 형광등용 소켓 지지구조
KR200310765Y1 (ko) 끼움조립이 가능한 형광등기구
KR200305010Y1 (ko) 형광등기구
KR900008572Y1 (ko) 전자레인지의 조명등 설치구조
KR200260005Y1 (ko) 천정면 및 벽면 매립형 조명등기구
KR200373584Y1 (ko) 매입형 조명기구
KR200161886Y1 (ko) 형광등기구 홀더
KR200346442Y1 (ko) 형광등기구의 안정기 고정구조
KR0121632Y1 (ko) 연속취부형 조명기구
KR200208057Y1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