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724Y1 - 음낭보호용 보호구 - Google Patents
음낭보호용 보호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7724Y1 KR200277724Y1 KR2020020008074U KR20020008074U KR200277724Y1 KR 200277724 Y1 KR200277724 Y1 KR 200277724Y1 KR 2020020008074 U KR2020020008074 U KR 2020020008074U KR 20020008074 U KR20020008074 U KR 20020008074U KR 200277724 Y1 KR200277724 Y1 KR 2002777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otum
- support
- protective device
- present
- chai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및 방석 등에 탈부착 또는 일체화된 사용을 가능하게 한 음낭보호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상측으로 만곡(彎曲)시킨 만곡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111)의 상면으로 통풍구(112) 및 통풍홈(113)을 다수 형성한 음낭받침수단(110)과, 상기 음낭받침수단(11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부(121)를 형성하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21)의 상면에 구멍(122)을 형성한 탈부착수단(12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음낭을 받쳐주고 올려주어 음낭이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지 않음은 물론 계속적인 통풍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음낭을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낭습, 습진, 전립선통증 등의 질병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함을 발휘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자 및 방석 등에 탈부착 또는 일체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낭보호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낭을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음낭부위에 통풍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낭의 온도조절기능 저하방지 및 음낭의 건조상태 유지를 통해 질병발생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음낭보호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직업운전자나 앉은 자세로 오래 일하는 직업을 가진 남성의 경우를 살펴보면, 의자 등에 오래 앉아서 일해야하는 특수성으로 인해 낭습, 습진 및 전립선통증 등의 질병발생률이 아주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생식기의 일부인 음낭(陰囊 ; scrotum)이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거나 의자와의 사이에 눌려 압박을 받는 시간이 길어지고 음낭부위에 통풍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음낭은 자율적인 온도조절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땀분비를 촉진하게 되므로 음낭부위에 습한상태를 만들어가게 되고 음낭의 끼임 및 압박상태와 더불어 음낭의 통풍성 및 온도조절기능의 저하를 유발하여 낭습 및 습진 등의 질병으로 발전하게 된다.
한편, 의자의 딱딱함 및 신체조건상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푹신하고 안락한 방석 등을 의자 위에 깔고 앉는 경우도 많으나 이것 또한 음낭의 끼임 및 압박상태를 극복하지 못함은 물론 음낭의 통풍성을 더욱 저해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므로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름의 경우에는 더욱 심한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질병발생률도 높아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안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음낭을 받쳐주고 올려주어 음낭이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며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음낭받침수단과 상기 음낭받침수단의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의자 및 방석 등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탈부착수단으로 구성하여 음낭을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온도조절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낭습, 습진, 전립선통증 등의 질병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낭보호용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를 방석에 일체화시킨 적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음낭보호용 보호구 110: 음낭받침수단
111: 만곡부 112: 통풍구
113: 통풍홈 120: 탈부착수단
121: 지지부 122: 구멍
123: 끼움고리 124: 슬라이드부
A : 의자 B : 방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으로 만곡(彎曲)시킨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의 상면으로 통풍구 및 통풍홈을 다수 형성한 음낭받침수단과, 상기 음낭받침수단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부를 형성하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멍을 형성한 탈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를 방석에 일체화시킨 적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는 남성의 음낭보호를 위하여 의자 및 방석 등에 탈부착 또는 일체형성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서 의자 및 방석은 차량용·사무용 등등 유사한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의미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100)는 음낭을 받쳐주고 올려주어 음낭이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며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음낭받침수단(110)과, 상기 음낭받침수단(110)의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의자(10) 및 방석(20) 등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탈부착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를 도시한 것으로, 음낭받침수단(110)은 상측으로 만곡(彎曲)시킨 만곡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11)의 상면으로 다수의 통풍구(112) 및 통풍홈(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만곡부(111)는 대략 반원형상이되 약간의 타원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조금씩 폭이 넓어지거나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부착수단(120)은 상기 음낭받침수단(110)을 지지하도록 양측면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진 지지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1)의 상면에 탈부착을 수행하기 위한 구멍(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21)는 부착하고자 하는 의자 및 방석의 표면형태에 따라 대응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100)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수단(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수단(10)을 구멍(122)에 삽입한 후 의자(A)에 묶어 부착되게 하며, 체결수단(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멍(122)에 체결수단(20)을 삽입하여 의자(A)에 체결되게 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20)을 사용하는 경우는 의자(A)에 체결을 위한 체결구(30)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121)는 의자(A)에 음낭보호용 보호구(100)를 부착시 음낭받침수단(110)을 안정되게 지지하며, 구멍(122)은 생활상의 간편한 도구를 이용하여 의자(A)에 용이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음낭보호용 보호구(100)의 부착이 완료되어 의자(A)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음낭받침수단(110)의 만곡부(111)는 음낭을 받쳐 올려주게 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조금씩 넓어지는 폭 구조에 의해 넓적다리를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지탱하게 되며 조금씩 높아지는 높이 구조에 의해 넓적다리를 약간 들어주게 되어 음낭의 눌림에 의한 압박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음낭이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접촉상태를 최소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만곡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구(112) 및 통풍홈(113)은 음낭부위에 상하좌우에서 계속적인 통풍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므로 음낭의 땀분비촉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음낭보호용 보호구(100)는 음낭을 다른 신체기관과 접촉하지 않도록 도와주게 됨은 물론 음낭부위에 계속적인 통풍을 제공하므로 음낭을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주고 온도조절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어 낭습, 습진, 전립선통증 등의 질병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2실시예 및 그 적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음낭받침수단(110)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이루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탈부착수단(120)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1)의 구성에 끼움고리(1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움고리(122)는 의자(A) 및 방석(도시되지 않음)에 결합시 부착위치의 조절 및 두께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방석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클립 등의 형태로 아주 얇게 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고리(123)는 의자(A)에 끼움결합하고 분리하는 형태이므로 음낭보호용 보호구(100)를 누구나 쉽게 의자(A)에 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3실시예 및 그 적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도 음낭받침수단(110)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이루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탈부착수단(120)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1)의 구성에 그 하면으로 슬라이드부(124)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의자(A)에는 슬라이드부(124)에 대응되는 홈(40)의 형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부(124)는 의자(A)에 형성된 홈(4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구조로 음낭보호용 보호구(100)의 용이한 결합/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수단(120)은 음낭보호용 보호구(100)를 부착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부착 및 부착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의 제1실시예를 방석에 일체화시킨 적용상태도로서, 방석(B)의 외부로 음낭받침수단(110)을 위치되게 하고 방석(B)의 내부로 탈부착수단(120)을 위치되게 한 후 마감처리하여 일체화시키도록 한다.
한편, 여기서는 본 고안의 음낭보호용 보호구(100)를 방석(B)에 일체화시킨 적용예만을 들었으나 의자(A)에도 일체화된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는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상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낭보호용 보호구에 의하면, 음낭을 받쳐주고 올려주어 음낭이 넓적다리 상부에 끼이지 않도록 하며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음낭받침수단과 상기 음낭받침수단의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의자 및 방석 등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탈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이루므로 음낭을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도와주어 낭습, 습진, 전립선통증 등의 질병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3)
- 상측으로 만곡(彎曲)시킨 만곡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111)의 상면으로 통풍구(112) 및 통풍홈(113)을 다수 형성한 음낭받침수단(110)과,상기 음낭받침수단(11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부(121)를 형성하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21)의 상면에 구멍(122)을 형성한 탈부착수단(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낭보호용 보호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탈부착수단(120)은 상기 지지부(121)에 끼움고리(123)를 형성하여 끼움결합 및 분리를 통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낭보호용 보호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탈부착수단(120)은 상기 지지부(121)에 그 하면으로 슬라이드부(124)를 돌출 형성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낭보호용 보호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074U KR200277724Y1 (ko) | 2002-03-19 | 2002-03-19 | 음낭보호용 보호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074U KR200277724Y1 (ko) | 2002-03-19 | 2002-03-19 | 음낭보호용 보호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7724Y1 true KR200277724Y1 (ko) | 2002-06-07 |
Family
ID=7305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8074U KR200277724Y1 (ko) | 2002-03-19 | 2002-03-19 | 음낭보호용 보호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7724Y1 (ko) |
-
2002
- 2002-03-19 KR KR2020020008074U patent/KR20027772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41395B1 (en) | Ventilating bed cushion | |
US6386198B1 (en) | Multi-purpose oxygen face mask | |
US20040195898A1 (en) | Tail bone cushion | |
US5539931A (en) | Bare shoulder protector | |
US20060185093A1 (en) | Cushion pad | |
US7958574B1 (en) | Upper trunk protector and related methods | |
US20160287829A1 (en) | Cushioned Sleep Apnea Mask | |
KR200277724Y1 (ko) | 음낭보호용 보호구 | |
KR101561197B1 (ko) | 유동식 통풍형 지압 베개 | |
KR200323370Y1 (ko) | 기능성 사무용의자 | |
US6994090B1 (en) | Underarm support | |
USD522719S1 (en) | Apron combined with hooks | |
KR200456923Y1 (ko) |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 |
KR200485529Y1 (ko) | 쿨링기능을 갖는 휠체어의 등받이 | |
CN209285342U (zh) | 一种蹲式助力垫 | |
KR200381388Y1 (ko) | 통풍 의자 | |
CN209933285U (zh) | 一种新型防压疮垫 | |
KR200403371Y1 (ko) | 낭습 방지용 언더셔츠 | |
KR200383823Y1 (ko) | 좌골 안착식 의자용 매트 및 좌골 안착식 의자 | |
US20040194218A1 (en) | Mattress cavity cushion system | |
KR200321008Y1 (ko) | 방석 | |
CN210158411U (zh) | 颈枕和连接机构 | |
KR200291601Y1 (ko) | 베개 | |
KR200401269Y1 (ko) | 의자 등받이 | |
US20030214162A1 (en) | Arm support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2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