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02Y1 - 튀지 않는 손톱깍이 - Google Patents

튀지 않는 손톱깍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02Y1
KR200277202Y1 KR2020010039023U KR20010039023U KR200277202Y1 KR 200277202 Y1 KR200277202 Y1 KR 200277202Y1 KR 2020010039023 U KR2020010039023 U KR 2020010039023U KR 20010039023 U KR20010039023 U KR 20010039023U KR 200277202 Y1 KR200277202 Y1 KR 200277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band
nail clipper
lower bla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박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우 filed Critical 박철우
Priority to KR2020010039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02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깍이에 관한 것으로서, 손톱이나 발톱이 튀어나가지 않는 구조로 된 튀지 않는 손톱깍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는, 기존의 손톱깍이(도 1)에서 손톱이 퉁겨나가는 주요인이 되고있는 철주(5)를 종전과 같이 아래 날 판(2)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아치형의 밴드(1)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상기의 아래 날 판을 걸어서 상기의 철주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 아래 날 판의 전단부 양 가장자리에 밴드 홈(2)을 형성하여 상기 밴드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밴드의 아치 중앙에 철주 홈(7)을 형성하여 상기의 철주가 여기에 물리도록 하였다. 이렇게 상기 철주의 위치를 상기의 아치형 밴드를 이용하여 위로 끌어 올려서 양날(4a, 4b) 후방의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손톱깍이와 같이 양날에 잘려나간 손톱이나 발톱이 바로 그 후방 중앙을 가로막고있는 철주에 부딪혀 퉁겨 나가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튀지 않는 손톱깍이{Storing Nail Clippers}
본 고안은 손톱깍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톱이나 발톱이 튀어나가지 않는 구조로 된 튀지 않는 손톱깍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톱깍이(그림 1)들은 대개 몸체의 아래 날 판(2)과 지렛대(9)를 철주(13)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는 구조인데, 양 날(4a, 4b)에 잘린 손톱이나 발톱이 바로 그 후방 중앙에서 가로막고있는 상기의 원통형 철주에 부딪혀 사방으로 퉁겨나가게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또 흩어진 손톱이나 발톱을 주워 모아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금까지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된 별도의 마개를 고안하여 양 날(4a, 4b)의 후방에 부착함으로써 그 완충효과로 튀지 않게 하거나, 손톱깍이 몸체의 양옆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별도의 상자를 고안하여 그 안에 모아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문제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서 보조수단에 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어느 경우도 손톱깍이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해야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이질감을 주며 외관상 답답하고 둔탁하게 느껴져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갖게 한다. 그리고, 생산 시에 완제품까지의 조립 공정이 늘어나는 것도 부담이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기존의 손톱깍이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손톱이나 발톱이 튀어 나가지 않게 하려고 한다. 기존의 손톱깍이(그림1)들은 대개 철주(5)를 이용하여 아래 날 판(2)과 지렛대(8)를 연결하고 있다. 원통형으로 되어있는 상기의 철주가 양 날(4a, 4b)의 바로 후방에서 아래 날 판(2)과 위 날 판(3)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의 지렛대와 연결된 구조인데, 상기 지렛대의 상하 운동으로 상기의 양날에 잘린 손톱이나 발톱이 그 바로 후방 중앙을 가로막고 있는 상기의 철주에 부딪혀 사방으로 퉁겨나가게 되어있다. 이렇게 문제의 원인이 되고있는 상기 철주의 위치를 위로 끌어올려서 양날 후방의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손톱이나 발톱이 퉁겨나가지 않게 하려고 한다. 따라서, 기존의 손톱깍이와 같이 상기의 철주를 상기의 아래 날 판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그 중간에 다른 구조물을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상기의 아래 날 판을 걸 수 있게 하려고 한다. 이 구조물은 물론, 기존의 철주와 같이 상기 양날의 후방 중앙을 가로막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상기 아래 날 판의 양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손톱깍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아치형 밴드(1)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몸체와 아치형 밴드 및 철주, 그리고 지렛대(7)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사용 시 지렛대를 세운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아치형 밴드 2-아래 날 판
3-위 날 판 4a-아래 날
4b-위 날 5-철주
6-밴드 홈 7-철주 홈
8-지렛대 9-결합 동공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기는 아치형 밴드(1)를 이용하여 아래 날 판(2)과 철주(5)를 연결하고있다. 종래의 손톱깍이(그림 1)는 철주(5)를 직접 아래날 판(2)에 걸어서 지렛대(8)와 연결하고 지렛대가 위 날 판(3)을 누르는 구조로 되어있는데, 상기 지렛대의 상하운동으로 손톱이나 발톱이 양 날(4a, 4b)에 물려 잘려나가게 되면, 상기 양 날의 바로 후방에 있는 원통형의 철주(5)에 퉁겨서 사방으로 흩어지게 된다. 이렇게 손톱이 퉁겨나가는 주요인이 되고있는 상기 철주의 위치를 위로 끌어 올려주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는 상기의 밴드를 이용하고 있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양호한 실시의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손톱깍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아치형 밴드(1)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의 몸체와 아치형 밴드(1), 그리고 지렛대(8)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튀지않는 손톱깍이의 사용 시 지렛대를 세운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는 기존의 손톱깍이(그림 1)와 다르게 아래 날 판(2)과 철주(5) 사이에 아치형 밴드(1)를 설치하여 손톱깍이의 몸체와 지렛대(11)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아래 날 판의 전단부 양 가장자리에 밴드 홈(6)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밴드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밴드의 아치 중앙에 철주 홈(7)을 형성하여 상기의 철주가 여기에 물리도록 하였다. 이 때, 상기의 철주를 상기의 철주 홈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그 수직 하방으로 상기의 아래 날 판에 철주가 지나갈 수 있는 결합 동공(9)을 형성하여 둘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철주의 위치를 위로 끌어 올려서, 기존 손톱깍이의 철주와 같이 상기 양 날의 후방을 가로막지 않음으로써, 구조적으로 손톱이나 발톱이 퉁겨나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는 기존의 손톱깍이(도 1)에서 손톱이나 발톱이 사방으로 튀어나가게 하는 주요인이 되고있는 철주(5)의 위치를 아치형 밴드(1)를 이용하여 위로 끌어올림으로써, 손톱이나 발톱이 튀는 기존 손톱깍이의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의 밴드는 자체의 폭으로 손톱깍이의 아래 날 판(2)과 위 날 판(3) 사이에서 손톱깍이 몸체의 양 측면을 막아주어 손톱이나 발톱을 그 안에 모아주는 효과도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는 자체의 구조로 손톱이나 발톱이 튀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기존의 손톱깍이들이 별도의 장치로서 자체에 부착하여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고있는 튀지 않게 하는 마개나 모아 주는 상자 등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된다. 그 한편으로, 기존 손톱깍이의 경우 마개나 상자와 같은 이질감을 주는 요소들이 그 외관에 손상을 주는 것과는 다르게, 본 고안의 십자고리 손톱깍이는 그 자체로서 일체감을 주기 때문에 제품 디자인의 원형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체의 부품만을 조립하는 것으로 완제품이 됨으로 공정상 제품 생산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튀지 않는 손톱깍이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의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아래 날 판(2)과 철주(5) 사이에 아치형 밴드(1)를 설치하여 양 날(4a, 4b)의 후방에 있는 상기 철주의 위치를 상향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손톱이나 발톱이 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지 않는 손톱깍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밴드(1)의 양단은 상기 아래 날 판(2)의 전단부 양 가장자리에 형성한 밴드 홈(6)에 고정시키고, 상기 밴드의 중앙에 철주 홈(7)을 형성하여 상기의 철주(5)가 물리도록 하고, 상기의 철주를 상기의 철주 홈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그 수직 하방으로 상기 아래 날 판의 중앙에 상기의 철주가 지나갈 수 있는 결합 동공(9)을 형성하여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지 않는 손톱깍이.
KR2020010039023U 2001-12-17 2001-12-17 튀지 않는 손톱깍이 KR200277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23U KR200277202Y1 (ko) 2001-12-17 2001-12-17 튀지 않는 손톱깍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23U KR200277202Y1 (ko) 2001-12-17 2001-12-17 튀지 않는 손톱깍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02Y1 true KR200277202Y1 (ko) 2002-06-03

Family

ID=7311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023U KR200277202Y1 (ko) 2001-12-17 2001-12-17 튀지 않는 손톱깍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4684A (en) Scraper device
US2651502A (en) Sectional wire fence
US1908735A (en) Weed removing implement
US4890679A (en) Garden hoes for hoeing, sickleing, chipping, and cutting
US4467492A (en) Trowel type construction tool
KR200277202Y1 (ko) 튀지 않는 손톱깍이
US3435903A (en) Pull hoe
KR102076496B1 (ko) 농업용 지주 삽입 취출구
KR100847326B1 (ko) 탈착 가능한 짚 매몰수단이 설치된 써레판
US2331414A (en) Garden tool
KR100601735B1 (ko) 파이프 박음 장치의 구조
US1381569A (en) Lawn-weeder
US2184034A (en) Lawn trimming tool
KR102357902B1 (ko) 돌기날부의 양측에 칼날부가 구비된 농기구
CN207543603U (zh) 园林除草手持工具
US2406280A (en) Hoe
KR101698591B1 (ko) 잡풀 제거용 낫
KR20240000358U (ko) 멀칭핀 타격기
US3257100A (en) Gardening tool for pulling weeds
KR200274591Y1 (ko) 모이는 손톱깍이
KR20160000108U (ko)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KR200168009Y1 (ko) 손톱깍기
KR20150001240U (ko) 파리채
JP3211699U (ja) 高下駄
JP2007044027A (ja) 根切棒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