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164Y1 - 골프 티 - Google Patents

골프 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164Y1
KR200277164Y1 KR2020020008247U KR20020008247U KR200277164Y1 KR 200277164 Y1 KR200277164 Y1 KR 200277164Y1 KR 2020020008247 U KR2020020008247 U KR 2020020008247U KR 20020008247 U KR20020008247 U KR 20020008247U KR 200277164 Y1 KR200277164 Y1 KR 200277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ain body
golf
golf tee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춘
Original Assignee
이형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춘 filed Critical 이형춘
Priority to KR2020020008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164Y1/ko
Priority to US10/244,413 priority patent/US6783470B2/en
Priority to JP2003032055A priority patent/JP2003275356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3Golf tees foldable or separ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와 지면에 고정시키는 꽂이핀(2)이 분리 형성되어 연결핀(8)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1)의 내부에 스프링(7)이 내장됨으로써 골프 공의 타격시 본체(1)가 골프 공의 진행 방향으로 절곡되어 골프 공과 골프 티와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경쾌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 골프 공의 비거리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절곡된 본체가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어 재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 티{golf tee}
본 발명은 충격완화 및 복원 기능을 갖는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꽂는 부분과 골프 공을 받쳐주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드라이브 샷을 할 때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골프 티가 파손되지 않으면서 경쾌한 샷이 가능하며, 아울러 비거리를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골프 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게임은 티 그라운드에서 시작되며, 이때 티 그라운드에 골프티를 지면에 꽂은 다음 그 상단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드라이브 샷을 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골프 티는 상단에 골프 공을 얹어놓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고, 하단은 뾰족하게 되어 지면에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재질이 나무나 플라스틱 등의 비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퍼의 신장이나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높이로 선택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 티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골프 채를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골프 채의 클럽헤드에 의해 강한 충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쉽게 부러져서 그 소모가 많았으며, 심한 충격에 의해 멀리 튀어나가 분실하기 일쑤였다.
또한, 골프 티는 골프 공의 진로에 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 골프 공이 타격되는 순간 골프 공과 골프 티 상면과의 마찰에 의한 저항과, 골프 티가 부러지는 경우 부러지는 형태나 방향에 따라서도 골프 공의 진로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의도하는 위치로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경쾌한 타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골프 채에 의한 골프 공의 타격과 동시에 골프 티의 상단부가 절곡되도록 함으로서 타격시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나 망실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개량된 골프 티 역시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절곡되는 방향이 일정하여 미리 타격 방향에 맞추어 정확한 각도로 지면에 꽂아두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일차 타격 후에는 절곡된 골프 티를 다시 손으로 펴서 복귀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에 많은 불편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골프 공의 타격시 골프 공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경쾌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긴 비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골프 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 공의 타격시 그 충격으로 인하여 골프 티가 부러지가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튀어나가서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골프 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 공의 타격과 동시에 절곡된 골프 티의 본체가 자동으로 원상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재 사용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티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티의 분리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꽂이핀
3 ; 경사면 4 ; 꽂이부
5 ; 결합홈 6 ; 걸림턱
7 ; 스프링 8 ; 연결핀
9 ; 핀헤드 11 ; 연결구멍
12 ; 골프 공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체로 이루어져서 윗면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하측의 내주연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단이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끼워지고,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꽂이부를 이루며, 윗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결합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의 상측 일단이 돌출되어 그 측면에 고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꽂이핀과; 상기 본체에 상측으로부터 수납되는 스프링과; 연질의 신축성 재질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지고 그 하단이 상기 꽂이핀의 결합홈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단에는 핀헤드가 형성되어 스프링이 본체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된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골프 공의 타격시 지면에 꽂혀진 꽂이핀과 본체가 순간적으로 분리되면서 동시에 본체는 골프 공의 진행 방향으로 급격히 절곡되는데, 이 때 연결핀에 의해 본체가 완전히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절곡된 본체는 연결핀의 자체 탄력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꽂이핀의 상단부와 다시 결합되어 그대로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가 투명체로 이루어져서 내부의 스프링과 연결핀이 투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는, 스프링의 다양한 색상 설정과 연결하여 고 감각적인 골프 티의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고, 내부의 작용관계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티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하측으로 끼워지는 꽂이핀(2)으로 대별된다.
상기 본체(1)는 윗면이 내측으로 경사면(3)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서 골프 공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꽂이핀(2)은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쉽게 꽂을 수 있는 꽂이부(4)가 마련되고, 윗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하측 내주연에는 걸림턱(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체(1)의 상측으로부터 수납되는 스프링(7)을 지지하게 되며, 걸림턱(6)의 하단은 상기 꽂이핀(2)의 상단이 끼워지는 상한선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와 꽂이핀(2)은 연결핀(8)에 의해 결합되는데, 연결핀(8)은 본체(1)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하단이 꽂이핀(2)의 결합홈(5)에 끼워져서 결합 고정된다.
이 연결핀(8)의 상단에는 핀헤드(9)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핀헤드(9)는 본체(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면서 걸림턱(6)에 걸리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본체(1)가 꽂이핀(2)과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스프링(7)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7)은 그 하단이 걸림턱(6)에 지지되고, 그 상단이 연결핀(8)의 핀헤드(9)에 지지되는 것이다.
특히, 연결핀(8)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강성을 지니면서도 적당한 굴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꽂이핀(2)의 상측 일단에는 돌출부(10)가 형성되어 그 측면으로 고리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고리구멍(11)은 골프 티가 튀어나가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끈이나 줄 등을 끼워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끈이나 줄을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구멍의 양 단부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는 연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타격에 대한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투명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의 스프링이 투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핀(8)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7)에 저항하여 본체(1)가 이동할 수 있으며, 스프링(7)의 탄력에 의해 항상 본체(1)의 하단이 꽂이핀(2)의 상단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결핀(8)이 절곡될 수 있으나 자체 탄력에 의해 곧 수직으로 원상복귀되고, 다시 스프링(7)에 의해 본체(1)와 꽂이핀(2)이 결합된 상태로 복귀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원 골프 티에서 꽂이핀(2)의 꽂이부(4)를 지면(13)에 꽂고, 본체(1)의 윗면에 골프 공(12)을 얹어 놓은 다음 드라이브 샷을 하게 되며, 이 때의 충격으로 인하여 본체(1)가 꽂이핀(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동시에 골프 공의 진행 방향으로 급격하게 휘어지게 되고, 곧 이어 스프링(7)과 연결핀(8)의 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직상태로 복귀하며, 스프링(7)의 탄력에 의해 본체(1)와 꽂이핀(2)이 결합되어 원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이러한 타격 동작의 진행은, 골프 공(12)의 진행에 대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골프 공(12)이 타격됨과 동시에 본체(1)가 골프 공의 진행 방향으로 급격히 절곡되므로 골프 공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경쾌한 샷이 감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긴 비거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체(1)의 절곡은 그 방향에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타격 방향과 골프 티의 고정 방향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고, 골프 티가 파손될 염려도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꽂이핀(2)의 고리구멍(11)에 줄을 끼워서 연결해 두면, 타격 포인트가 어긋나서 골프 채에 의해 골프 티가 튀어나가더라도 쉽게 수거할 수 있어서 분실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7은, 상기 연결핀(8)이 결합홈(5)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조를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낸 것인데, 이를 참조하면, 결합홈(5)의 내측벽에 확경된 요입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핀(8)의 하단에는 상기 요입부(12)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돌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핀(8)을 결합홈(5)에 압입하여 끼우면 고정돌부(13)가 요입부(12)에 안착되면서 별도의 접착과정이 없어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핀(8)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압입에 의한 고정이 불편할 수 있는데, 상기 결합홈(5)의 하단이 꽂이핀(2)의 일측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결핀(8)의 하단이 고정돌부(13)의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분이결합홈(5)에 끼워졌을 때 꽂이핀(2)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측방으로 돌출된 연결핀(8)의 하단을 당겨서 상기 고정돌부(13)가 요입부(12)에 쉽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후 꽂이핀(2)의 측방으로 돌출된 연결핀(8)의 하단을 절단 제거토록 작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1)와 지면에 고정시키는 꽂이핀(2)이 분리 형성되어 연결핀(8)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1)의 내부에 스프링(7)이 내장됨으로써 골프 공의 타격시 본체(1)가 골프 공의 진행 방향으로 절곡되어 골프 공과 골프 티와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경쾌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 골프 공의 비거리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체(1)는 타격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절곡됨으로써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파손이나 분실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해소할 수 있고, 절곡된 본체가 스프링(7) 및 연결핀(8)의 탄력에 의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므로 별도의 조작이 없이 편리하게 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Claims (4)

  1. 관체로 이루어져서 윗면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면(3)을 이루고, 하측의 내주연 일단에 걸림턱(6)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상단이 상기 본체(1)의 하측으로 끼워지고,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꽂이부(4)를 이루며, 윗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결합홈(5)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의 상측 일단이 돌출되어 그 측면에 고리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꽂이핀(2)과;
    상기 본체(1)에 상측으로부터 수납되는 스프링(7)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지고 그 하단이 상기 꽂이핀(2)의 결합홈(5)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단에는 핀헤드(9)가 형성되어 스프링(7)이 본체(1)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된 연결핀(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핀(2)의 연결구멍(11)은 양 단부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핀(2)의 결합홈(5) 내측에 요입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핀(8)의 하단에 상기 요입부(12)에 대응되는 고정돌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상호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KR2020020008247U 2002-03-20 2002-03-20 골프 티 KR200277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247U KR200277164Y1 (ko) 2002-03-20 2002-03-20 골프 티
US10/244,413 US6783470B2 (en) 2002-03-20 2002-09-17 Golf tee
JP2003032055A JP2003275356A (ja) 2002-03-20 2003-02-10 ゴルフテ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247U KR200277164Y1 (ko) 2002-03-20 2002-03-20 골프 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164Y1 true KR200277164Y1 (ko) 2002-05-30

Family

ID=2845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247U KR200277164Y1 (ko) 2002-03-20 2002-03-20 골프 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83470B2 (ko)
JP (1) JP2003275356A (ko)
KR (1) KR2002771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1586B2 (en) * 2003-02-26 2006-03-14 Daiya Corporation Golf tee
WO2005032668A1 (en) * 2003-10-06 2005-04-14 Se-Chang Chang Golf tee
WO2005058430A1 (de) 2003-12-17 2005-06-30 Trawoeger Werner Golf-tee
WO2006004308A1 (en) * 2004-04-02 2006-01-12 Tae-Ok Kim A golf tee for preventing of breakage or loss
US7494429B2 (en) * 2004-05-18 2009-02-24 Hyung Choon Lee Golf tee with a momentarily releasable upper body; equipped with two retracting springs at the moment of impact
KR200368025Y1 (ko) * 2004-06-02 2004-11-17 김흥구 골프 티
KR200363054Y1 (ko) * 2004-07-01 2004-09-23 장세창 골프티의 구조
US7344456B2 (en) * 2004-11-09 2008-03-18 Hayton Paul J Flexible golf tee
US7156758B2 (en) * 2004-11-13 2007-01-02 Alex Lu Durable golf tee
US20060105861A1 (en) * 2004-11-17 2006-05-18 Lien-Chuan Yang Golf tee composed of two parts
US20060229144A1 (en) * 2005-04-06 2006-10-12 Hsien Ming Lee Durable golf tee construction
US20070225088A1 (en) * 2005-04-06 2007-09-27 Hsien Ming Lee Durable Golf Tee Construction
WO2006109142A1 (en) * 2005-04-14 2006-10-19 Naiem Ismail Rangila A golf tee
US20060264272A1 (en) * 2005-05-17 2006-11-23 Calderon Luis Jr Golf spike
TW200734012A (en) * 2006-03-15 2007-09-16 Moldtek Prec Corp Floating nail structure for golf ball
JP2007301267A (ja) * 2006-05-15 2007-11-22 Forlivi:Kk ゴルフティー
US20080004126A1 (en) * 2006-05-15 2008-01-03 Dantas Eric A Portable golf training mat
US20070270246A1 (en) * 2006-05-19 2007-11-22 Salmon Jim R Reusable golf tee
US7374501B2 (en) * 2006-06-22 2008-05-20 Lu Li Han Eden Golf accessories
US7645202B2 (en) * 2006-07-05 2010-01-12 Moldetk Precision Corp. Golf tee
US20080009372A1 (en) * 2006-07-05 2008-01-10 Moldetk Precision Corp. Golf tee
US20080167143A1 (en) * 2007-01-08 2008-07-10 Origin, Inc. Durable golf tee
WO2008092172A1 (en) * 2007-01-23 2008-07-31 Andre Selli Golf tee
US20080188329A1 (en) * 2007-02-05 2008-08-07 Shang-Jaw Chiou Impact resistant golf tee
TW200836800A (en) * 2007-03-02 2008-09-16 Moldtek Prec Corp Adjustable type golf ball nail
GB2450685A (en) * 2007-07-02 2009-01-07 Leslie Maidment Flexible tee
US7780551B2 (en) * 2008-01-15 2010-08-24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tee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tees
KR100977989B1 (ko) * 2008-04-30 2010-08-25 이재웅 골프티
US7780553B2 (en) * 2008-11-25 2010-08-24 Palmer Andrew D Golf practice apparatus
KR101030984B1 (ko) * 2009-04-08 2011-04-28 이재웅 골프티
KR101372132B1 (ko) * 2012-04-26 2014-03-07 이형춘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USD1020942S1 (en) * 2021-07-08 2024-04-02 Lawrence Fortin Golf tee recyc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203A (en) * 1933-07-28 1935-08-13 Nippon Trading Company Golf tee
US2839304A (en) * 1955-07-15 1958-06-17 Lerick Lester Flexible golf tee
JPS6043139B2 (ja) * 1981-02-17 1985-09-26 法雄 松浦 ゴルフテイ
JPS59130765U (ja) * 1983-02-22 1984-09-01 松浦 法雄 ゴルフテイ
US4610451A (en) * 1985-08-08 1986-09-09 Keys Francis J Golf tee
US4786054A (en) * 1987-04-16 1988-11-22 Keys Francis J Golf tee with rotatable head
US5242170A (en) * 1992-05-14 1993-09-07 Super Tee, Inc. Golf t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3470B2 (en) 2004-08-31
JP2003275356A (ja) 2003-09-30
US20030181262A1 (en)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7164Y1 (ko) 골프 티
US5413348A (en) Golf tee anchoring system
US7645202B2 (en) Golf tee
KR101372132B1 (ko)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US8936521B2 (en) Foldable golf tee
KR101722769B1 (ko) 충격 흡수 및 높, 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골프 티
US20070219022A1 (en) Combined golf tee
WO2006004334A1 (en) Golf tee
KR100730023B1 (ko)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KR200294422Y1 (ko) 골프 티
KR200260610Y1 (ko) 골프 티
KR100991949B1 (ko) 골프티
KR200199080Y1 (ko) 분실 방지형 골프티
KR20210086596A (ko) 퍼터 및 치퍼 겸용 골프 클럽
KR100925002B1 (ko) 휴대용 골프 티
KR100421086B1 (ko) 골프 티
KR200273231Y1 (ko) 골프 티
JPH0626293Y2 (ja) ゴルフ用テイ−
US20030148831A1 (en) Combination ball marker and turf repair golf tool promotional device
KR102606393B1 (ko) 골프티
KR200374534Y1 (ko) 드라이버 골프채 그립 취부용 골프티 수납케이스
KR102576151B1 (ko) 골프티를 꽂기 위한 보조 장치
KR200458691Y1 (ko) 배팅볼 지지장치
KR200244784Y1 (ko) 골프티
KR200365547Y1 (ko)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1223

Effective date: 200412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05

Effective date: 200702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06

Effective date: 2007111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01

Effective date: 200803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