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113Y1 - 땀 흡수용 양말 - Google Patents

땀 흡수용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113Y1
KR200277113Y1 KR2020020005718U KR20020005718U KR200277113Y1 KR 200277113 Y1 KR200277113 Y1 KR 200277113Y1 KR 2020020005718 U KR2020020005718 U KR 2020020005718U KR 20020005718 U KR20020005718 U KR 20020005718U KR 200277113 Y1 KR200277113 Y1 KR 200277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at
socks
sweat absorbing
foo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이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영 filed Critical 이종영
Priority to KR2020020005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113Y1/ko

Links

Landscapes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발에서 나오는 땀이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발냄새 및 무좀균의 원인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땀 흡수용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땀 흡수용 양말은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 발의 등을 감싸는 발등부, 및 발목과 다리 부분을 감싸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발등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천으로 형성되고, 포켓부가 상기 바닥부의 저면 전체와 상기 다리부의 일부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에는 땀이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패드가 삽입된다.

Description

땀 흡수용 양말{SOCKS FOR ABSORBING SWEAT}
본 고안은 땀 흡수용 양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말의 바닥부 저면에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의 망사천이 설치된 포켓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포켓부 내부에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패드를 삽입함으로써, 발에서 나오는 땀이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발냄새 및 무좀균의 원인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땀 흡수용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보행중의 발을 보호하고, 발에서 발생하는 땀, 즉 습기를 흡수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는데, 종래의 양말은 면소재로 직조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면소재로 된 양말은 땀의 흡수성은 좋은 반면에, 땀과 같은 습기를 흡수한 양말에서 습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어 양말의 함수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무좀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는 없었고 이와 같은 함수상태가 오래 지속될수록 양말은 각종 세균의 온상이 되어 악취발생과 더불어 무좀발생을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악취 및 무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양말에 대한 요구가 소비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악취 및 무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발에서 나는 땀이나 신발내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최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통풍이 잘되는 땀 흡수용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항균 및 살균 작용을 하는 기능성 패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땀 흡수용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포켓부속에 찜질팩을 삽입하여 발바닥을 뜨겁게 찜질할 수 있도록 한 땀 흡수용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땀 흡수패드에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에 발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패드 전체가 설치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에 발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부분-패드가 설치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바닥부 20 : 발등부
30 : 다리부 40, 140 : 포켓부
50, 150 : 땀 흡수패드 60, 160 : 입구
163 : 일단부 165 : 타단부
T : 접착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은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 발의 등을 감싸는 발등부, 및 발목과 다리 부분을 감싸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발등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천으로 형성되고, 포켓부가 상기 바닥부의 저면 전체와 상기 다리부의 일부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에는 땀이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패드가 삽입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은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 발의 등을 감싸는 발등부, 및 발목과 다리 부분을 감싸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발등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천으로 형성되고, 포켓부가 상기 바닥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서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에는 땀이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패드가 삽입되며, 상기 땀 흡수패드를 삽탈하기 위한 입구가 상기 포켓부의 중앙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은 크게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10), 발의 등을 감싸는 발등부(20), 발목과 다리 부분을 감싸는 다리부(30), 및 상기 바닥부(10)의 저면 전체와 상기 다리부(20)의 일부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포켓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닥부(10)를 제외하고는 양말의 나머지 부분은 일반적인 양말의 재질과 동일하게 면과 같은 땀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주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포켓부(40)에는 땀이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패드(50)가 삽입되는데, 상기 땀 흡수패드(50)는 상기 바닥부(10)와 동일한 크기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닥부(10)는 양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발등부(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땀을 흡수하지 않고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천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망사천은 땀이나 수분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망을 형성하는 구멍이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부(40)는 상기 바닥부(10)의 전체와 상기 다리부(30)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10)와 상기 포켓부(40)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60)는 상기 다리부(30)쪽에 형성하여 상기 땀 흡수패드(5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서, 상기 입구(60)에 대응하는 포켓부(40)에는 고무밴딩처리를 하여 땀 흡수패드(50)가 삽입된 후에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땀 흡수패드(50)는 생리대나 아기 기저귀등에 사용되는 패드와 유사하게 면직포나 펄프 등과 같이 흡수력과 흡수량이 뛰어난 재질을 압착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땀 흡수패드(50)는 조직의 방향이 없는 무방향 단결정 조직으로 피부 표면의 땀을 신속히 흡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피부 접촉율과 감촉이 양호하다.
상기 땀 흡수패드(5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땀 흡수패드(50)는 망사천으로 된 상기 바닥부(10)와 접하는 최상부에 땀이나 수분 및 공기를 쉽게 투과시킬 수 있는 그물망 구조의 통기성 커버층(51), 상기 통기성 커버층(51)의 하부에 땀이나 수분을 초고속으로 흡수 및 확산시킬 수 있는 면상 펄프층(53), 상기 면상 펄프층(53)의 하부에 상기 땀 흡수패드(50) 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휠트지나 부직포등의 재질로 된 지지층(55), 및 그 최하부에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필름층(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땀 흡수패드(50)의 최하부층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필름층(57)은 완전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흡수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신발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에, 상기 면상펄프층(53)과 지지층(55) 사이에는 다양한 기능성 재질로 된 기능성 층이 개재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방향물질이나 살균물질 등이 도포처리된 기능성 층, 혈액순환을 위해 자석이나 옥 가루 등이 도포처리된 기능성 층,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이 도포처리된 기능성 층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면상펄프층(53)과 지지층(55) 사이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겔(Gel)화시키는 흡수재층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땀 흡수패드(50)는 삽탈가능하게 됨에 따라 사용 후 필요에 따라 땀 흡수패드(50)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이며, 그로 인해 발냄새나 무좀균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도 4 참조) 더욱이, 상기 땀 흡수패드(50)의 저면에는 양말에 삽입된 후에 전후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접착테이프(T)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착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양말을 신게 되면, 양말의 바닥부(10)에 사용자의 발바닥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듯이, 발 중에서도 발바닥 부분이 땀을 가장 많이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땀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냐에 따라 발냄새를 적절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좀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바닥 부분에서 배출되는 땀은 망사천으로 형성된 바닥부(10)를 그대로 통과하여 땀 흡수패드(50)에 흡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땀 흡수패드(50)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리대나 아기 기저귀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동안 사용하여도 축축하지 않고 뽀송뽀송한 느낌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땀 흡수패드(50)를 장시간 사용하여 교환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 포켓부(40)의 입구(60)를 통해 교환을 해 주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에 발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패드 전체가 설치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에 발의 앞부분만을 지지할 수 있는 부분-패드가 설치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은 포켓부(140)가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110)의 전체에 걸쳐서만 일체로 형성되고, 땀 흡수패드(150)를 삽탈하기 위한 입구(160)가 상기 포켓부(140)의 중앙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땀 흡수용 양말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포켓부(140)에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땀 흡수패드(150)가 삽탈될 수 있는데, 그 삽탈을 위한 입구(160)는 절개된 일단부(163)가 절개된 타단부(165)의 상부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입구(160)가 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입구(160)의 일단부(163)와 타단부(165)는 벌어짐을 방지하고 땀 흡수패드(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발바닥 중에서도 땀을 가장 많이 흘리는 곳이 발의 앞쪽부분인 것을 감안하여, 상기 땀 흡수패드(150)를 반쪽만 형성하여 발의 앞쪽부분에만 사용할 수 있는데(도 6), 사용자에 따라 발의 뒷부분에만 땀 흡수패드(15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땀 흡수패드(15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그 저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의 사시도로서, 땀 흡수용 양말의 포켓부를 앞쪽에만 형성하여 반쪽의 땀 흡수패드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땀 흡수를 위한 양말의 구조는 시판되고 있는 모든 양말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장착되는 땀 흡수패드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땀 흡수패드와는 다른 기능성 부재(예, 찜질팩, 지압구, 자석 등)들이 상기 포켓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땀 흡수용 양말은 등산이나 운동 시 또는 군인이나 현장 근로자등 항시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는 사람과 무좀 등으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유용할 것으로 본다.
또한 패드를 일회용으로 제작하여 땀이나 수분이 많이 차게 되면 패드만 교체할 수가 있어 편리하며 양말 속에 신거나 양말 바닥 주머니에 넣어 사용하므로 신을 신거나 벗을 시 불편이 없으며 발바닥에도 탄력성을 주어 편리하고 실내에서도 착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땀 흡수용 양말은 발에서 배출되는 땀이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무좀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무좀의 발생을 방지하고 발냄새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여 쾌적하고 위생적인 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향균 및 살균 기능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성 부재(찜질팩, 지압구, 자석 등)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발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10), 발의 등을 감싸는 발등부(20), 및 발목과 다리 부분을 감싸는 다리부(30)로 이루어지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는 상기 발등부(20)에 일체로 결합되고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천으로 형성되고, 포켓부(40)가 상기 바닥부(10)의 저면 전체와 상기 다리부(20)의 일부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40)에는 땀이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패드(5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포켓부(40)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60)는 상기 다리부(30)쪽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60)에 대응하는 포켓부(40)에는 고무밴딩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3.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110), 발의 등을 감싸는 발등부, 및 발목과 다리 부분을 감싸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발등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천으로 형성되고, 포켓부(140)가 상기 바닥부(110)의 저면 전체에 걸쳐서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140)에는 땀이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있는 땀 흡수패드(150)가 삽입되며, 상기 땀 흡수패드(150)를 삽탈하기 위한 입구(160)가 상기 포켓부(140)의 중앙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140)의 입구(160)는 절개된 일단부(163)와 그 하부에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절개된 타단부(165)로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고무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땀 흡수패드의 저면에는 접착테이프(T)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140)는 발의 앞쪽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땀 흡수패드는,
    망사천으로 된 상기 바닥부와 접하는 최상부에 땀이나 수분 및 공기를 쉽게 투과시킬 수 있는 그물망 구조의 통기성 커버층;
    상기 통기성 커버층의 하부에 땀이나 수분을 초고속으로 흡수 및 확산시킬 수 있는 면상 펄프층;
    상기 면상 펄프층의 하부에 상기 땀 흡수패드 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휠트지나 부직포등의 재질로 된 지지층 및
    그 최하부에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땀 흡수패드는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펄프층(53)과 지지층(55) 사이에, 방향물질, 살균물질, 자석가루, 옥가루, 및 맥반석가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도포한 기능성 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펄프층(53)과 지지층(55) 사이에 수분을 흡수하여 겔(Gel)화시키는 흡수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층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흡수용 양말.
KR2020020005718U 2002-02-26 2002-02-26 땀 흡수용 양말 KR200277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718U KR200277113Y1 (ko) 2002-02-26 2002-02-26 땀 흡수용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718U KR200277113Y1 (ko) 2002-02-26 2002-02-26 땀 흡수용 양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315A Division KR20030070784A (ko) 2002-02-26 2002-02-26 땀 흡수용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113Y1 true KR200277113Y1 (ko) 2002-05-30

Family

ID=7307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718U KR200277113Y1 (ko) 2002-02-26 2002-02-26 땀 흡수용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1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72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시크릿레스트 부분 이중 편직 구조를 가지는 기능성 스타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72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시크릿레스트 부분 이중 편직 구조를 가지는 기능성 스타킹
KR102303201B1 (ko) 2019-11-26 2021-09-16 주식회사 시크릿레스트 부분 이중 편직 구조를 가지는 기능성 스타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3216U (ja) 嚢湿防止用男性着用帯
US20110119810A1 (en) Disposable Flat Sock
KR101820512B1 (ko)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
KR200277113Y1 (ko) 땀 흡수용 양말
RU184814U1 (ru)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вкладыш для обуви
KR20030070784A (ko) 땀 흡수용 양말
WO2006021934A1 (en) Disposable sweat and odour absorbing insoles or inserts for shoes
KR20110032093A (ko) 통풍 양말
KR200278131Y1 (ko) 땀 흡수용 덧신
KR200304946Y1 (ko) 항균방취용 크로바형 발가락 패드
KR200287366Y1 (ko) 남성건강팬티
JP3501367B2 (ja) 調整可能な脚部保護用具
KR20030070785A (ko) 땀 흡수용 덧신
KR20090099616A (ko) 기능성 양말
KR200407028Y1 (ko) 피톤치드 양말
KR200221071Y1 (ko) 1회용 생리대의 향기나는 보조패드
CN213217950U (zh) 一种糖尿病足保护套
CN218044004U (zh) 一种抗菌鞋垫
CN215583189U (zh) 一种具有除臭杀菌效果的编织袜
KR200352363Y1 (ko) 기능성 신발깔창
KR20120001338U (ko) 활성탄 부직포/폼을 함유한 기능성 신발깔창
KR200414208Y1 (ko) 통풍성이 좋은 슬리퍼 겸용 건강 신발
KR200279703Y1 (ko) 다기능 히프 보호의
KR200299656Y1 (ko) 일회용 안창
JP2004065885A (ja) 素足用足蒸れ防止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