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028Y1 -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 Google Patents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028Y1
KR200277028Y1 KR2020020007011U KR20020007011U KR200277028Y1 KR 200277028 Y1 KR200277028 Y1 KR 200277028Y1 KR 2020020007011 U KR2020020007011 U KR 2020020007011U KR 20020007011 U KR20020007011 U KR 20020007011U KR 200277028 Y1 KR200277028 Y1 KR 200277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bile phone
phone terminal
key p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영 filed Critical 박선영
Priority to KR2020020007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028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를 거는데 있어서 전화번호를 누를 수 있는 숫자 키 대신, 원터치 단축 통화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숫자의 입력능력과 인지도가 부족한 유아들도 쉽게 전화를 걸 수 있게 한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전화기는 숫자를 입력하여 전화번호를 구성한 후 송신하는 방식인 것에 비해 인지 능력과 숫자 개념이 부족한 유아들도 쉽게 원하는 인물에게 전화 송신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한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0부터9까지의 숫자 키 대신에 counter key와 커서 및 save key를 이용하여 특정 인물(아빠, 엄마, 할아버지, 친구......)의 고유번호를 저장 송신하는 것으로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고 걸지 못하는 유아들에게 특정 인물이 입력된 버튼을 누르게 함으로써 해당되는 인물에게 송신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현재 이동전화단말기는 통신수단 외에도 인터넷과 정보제공 등으로 최대의 편리함을 주는 다기능의 이동단말기로 변화하고 있다. 본 발명인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는 어린 유아들에게 고가의 이동전화단말기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지 아니하며 인지능릭이 부족한 유아들이나 가족들이 미아발생등 비상시에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연락망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기존성인용 이동전화단말기key pad(2)의 형태를 유아들이 번호를 인지하여 입력해야만 송신 할 수 있는 문제를 key pad(6)(7)의 형태로 바꿈으로써 쉽게 송신할 수 있게 하였고 counter key(4)와 save key(5)을 이용하여 전화번호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불필요한 key는 제외하고 key pad 하나만으로 원하는 인물에게 송신과 수신을 함으로써 미아발생 등 비상사태를 줄일 수 있는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 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Baby's hand held phone}
본 고안은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과 같이 아빠 얼굴, 엄마 얼굴, 할아버지 얼굴, 친구 얼굴 등을 삽입한 버튼을 기존 숫자 버튼대신 말들어 특정key (counter key, save key)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방법으로, 인지 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이 숫자를 외우거나 번호를 여러 번 누르지 않고도 쉽게 송신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단말기에는 통화 버튼 key를 비롯하여 적게는 12개 많게는 23개 이상의 숫자 및 종료 key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터넷 모바일 등 부가 서비스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휴대하는 연령층도 점점 낮아지는 추세로 10대를 겨냥한 이동전화단말기가 이미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10대를 위한 이동전화단말기는 기존이동전화단말기에 10대들의 취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1318세대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연령대가 낮은 유아들에게도 그들에 맞는 이동전화단말기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들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불괼요한 부가 서비스는 제외하고 송수신만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를 제공하되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여야 하며, 유아들이 휴대하기 쉽도록 무게에 대한 문제점과 가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유아들에게 있어서 이동전화단말기는 미아방지의 목적이 가장 크다 할 수 있다. 아무것도 인지되어 있지 않은 유아들이 비상시 가족들에게 연락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적으므로 유아들이 손쉽게 가족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아무것도 모르는 누구라 할 지라도 유아가 소지한 이동전화단말기 하나만으로 가족에게 연락한 수 있도록 하여 미아방지에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숫자버튼 및 별도의 통화key등을 배제하고 아빠얼굴, 엄마얼굴, 친구얼굴 등으로 이루어진 버튼에 각각 아빠, 엄마, 친구 등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유아들이 쉽게 인지하여 송신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전화단말기의 불필요한 기능들을 제외하고 유아에게 맞는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작고 가벼우며 저렴한 비용의 송수신하기 쉬운 이동전화단말기를 유아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성인부터 10대까지 사용하는 일반 이동전화단말기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key pad를 갖춘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의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입력의 방법을 제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counter key를 이용한 단축다이얼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save key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번호조정 키(counter key) 5. 저장키(savc key)
6. 인물표시다이얼(인물 key pad) 7. 글자표시다이얼(글자 key pad)
8. 덮개형 key pad 9. 분리형 key pad
10. 인물스티커or인물사진 11. 글씨스티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 이동전화단말기의 형태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의 형태로써 크기와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기존의 key pad(6)처럼 유아가 쉽게 알 수 있는 크기에 맞는 인물 사진이나 인물 캐릭터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거나, key pad(7)과 같이 인물명칭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 중 아이의 나이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도 3의(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형 key pad(8)을 위로 올려 인물스티커 또는 사진을 부착하거나 글자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으며,(B)의 분리형 key pad(9)와 같이 각각 분리하여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숫자버튼이 없는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의 다이얼에 인물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한바와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카운터키 동작 흐름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입력이 없는 대기상태이다.
(2) 입력 A가 들어온다.
(3) 입력 A가 카운터 키인가?
yes => 4번으로...
no => count를 했나?
yes => S키 동작실행
no => 2번으로...
(4) Z의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
(5) 배역 블록을 초기화한다. (D₁=0)
(6) 화면에 D₁을 표시하고 점멸한다.
(7) key가 open인가?
yes => 8번으로
no => 0.5초 이상인가?
yes => D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D>9인가?
yes => 5번으로...
no => 6번으로
no => 6번으로...
(8) 입력A를 받는다.
(9) A가 counter key인가?
yes => D를 하나 증가시키고 D>9인가?
yes => 5번으로...
no => 6번으로...
no => 10번으로...
10. S키의 동작 실행
도 5의 save key 동작 흐름도를 보면, 0.5초 이상인가?
yes => 저장모드로...
no => D₁저장 후 D₂의 값을 초기화(D₂=0), Z=0
화면에 D₁을 표시하고 커서를 다음 칸으로 이동
=> D₂의 연산준비를 하고 대기상태가 된다.
#D는 전화번호의 배열 값이다.
#Z는 D값이 한번이라도 카운트되었는지 확인하는 변수
#A값은 키버튼 입력값(C=Counter key, S=Save key)
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unter key의 흐름을 다시 설명하면
(1) 대기상태이다.
(2) 하나의 입력이 들어온다.
(3) 이 입력이 카운트키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카운트키라면 4단계로 가서 Z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아니라면(즉 S키라면)카운트 여부를 판단하여 카운트이면 S키의 동작을 실행하고 카운트가 아니면 다시 새로운 입력을 받는다.
(4) Z(D가 카운트되었는지 판단하는 변수)를 하나 증가시킨다.
(5) D₁에서 D0까지 구성된 배열 블록을 초기화한다.
(6) 화면에 D₁을 표시하고 점멸해 준다.
(이 D₁은 처음 입력된 카운트 값으로 생각됨)
(7) key가 open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open이라면 새로운 입력을 받는다.
key가 open이 아니라면 0.5초 이상인지 판단하고 0.5초 이상이면 D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D>9인지 판단한 후에 맞으면 5번 단계로 틀리면6번 단계로 이동한다.
(8) 새로운 입력A를 받는다.
(9) 새로운 입력A가 카운티 키이면 D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D>9인지 판단한 수 맞으면 5번으로 틀리면 6번으로 간다.
(10) A가 counter key가 아닌 경우(S키인 경우)S키의 동작을 실행한다.
도 5의 save key 흐름을 자세히 설명하면
(1) 0.5초 이상 아무런 동작이 없으면 저장한다.
(2) 0.5초 이내에 어떠한 동작이 있다면 D₁을 저장하고 D₂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3) 화면에 D₁을 표시하고 커서를 다음 칸으로 이동한다.
(4) D₂의 연산을 준비한다.
(5) 대기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형식을 통해 숫자key가 없는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에 전화번호를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덮개형 key pad(8)은 컴퓨터 키보드 보호덮개와 같이 투명하고 얇으며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거나 플라스틱의 재질로 투명하게 제작하여 칼라 형광 빛이 발생할 시에 빛이 잘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플립을 닫아놓은 경우 이동전화단말기 테두리에 빛이 발생하이 벨이 크게 울리지 않아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 형태는 목걸이형 시계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스티커는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 구입 시 스티커도 함께 제공된다.
본 고안인 유아용이동단말기에는 음성인식 시스템과 유아위치 파악 시스템 또한 제공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카운터 키와 커서 및 저장키를 이용하여 각각의 인물들에게 전화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유아들이 송수신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유아들이 길을 잃었을 때도 유아뿐 아니라 그 외 누구나 해당되는 인물들을 누름으로써 미아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불필요한 부가서비스와 숫자 버튼등을 배제시키기 때문에 원가 절약으로 인한 이동전화단말기 값의 하락과 함께 무게에 있어서도 훨씬 가벼워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드폰 모양도 유아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모양으로 제작 할 수 있고 건강에 좋지 않는 진동 벨은 사용하지 않으며 이동전화단말기 테두리에 빛을 줌으로써 쉽게 수신할 수 있게 하여 가족들이 유아들의 상태 파악을 하는데 도움과 안심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고객 위치 파악서비스를 이용하여 유아의 위치 파악도 할 수 있다. 향후 중국 등 해외 지역에 수출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면 상당한 수익의 고부가 상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Claims (2)

  1. 성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key pad 형태대신 인물key pad(6) 글자key pad(7)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 덮개형 key pad(8)의 형태와 분리형 key pad(9)의 형태로 제작하여 원하는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으며 숫자key가 없는 이동전화단말기에 counter key(4)로 번호를 구성 save key(5)로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key pad와 단말기 테두리 부분을 플라스틱이나 부드러운 얇은 고무재질의 것으로 투명 제작하여 진동대신 칼라 형광 빛을 주어 벨이 울리지 않아도 송신할 수 있게 하며 LCD(3)화면을 다양한 캐릭터로 디자인하고 위치 파악 시스템과 음성인식 시스템을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 할 수 있으며 벨이 울리지 않아도 쉽게 송신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목걸이형과 시계형으조 제작할 수 있는 유아용 이동전화단말기.
KR2020020007011U 2002-03-09 2002-03-09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KR200277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011U KR200277028Y1 (ko) 2002-03-09 2002-03-09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011U KR200277028Y1 (ko) 2002-03-09 2002-03-09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498A Division KR100420010B1 (ko) 2001-11-20 2001-11-20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 버튼을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028Y1 true KR200277028Y1 (ko) 2002-05-30

Family

ID=7305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011U KR200277028Y1 (ko) 2002-03-09 2002-03-09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0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6644A1 (en) Cellular phone for specific person
US8254565B2 (en) Hand-held device
US8601020B2 (en) Method and system in communication devices for pre selected partner search
US750260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CN1921672B (zh) 具有触摸垫的移动电信手机
US20100304704A1 (en) Wireless Phone with Lanyard Antenna
JP2003511984A (ja) 通信デバイス
KR100420010B1 (ko)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 버튼을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KR200277028Y1 (ko) 유아(3세∼7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튼을 캐릭터화 한 유아용이동전화단말기
EP0982910A1 (en) Key echo
JP2003511985A (ja) 無線通信デバイス
CN202353615U (zh) 一种手表式手机
EP1921834A1 (en) Educational mobile telephone
KR100467727B1 (ko) 건강체크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이용한 건강 체크 방법
KR200264879Y1 (ko) 핸드폰
WO2007130859A2 (en) Character entry and display method for use with a keypad
KR10042626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사이드키를 이용한 전화걸기 방법
KR200600601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3699009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4299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333333Y1 (ko)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KR100796335B1 (ko) 입력수단의 모르스부호 입력 구조 및 입력 방법
KR200450335Y1 (ko) 향상된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폰
JP2004312427A (ja) 発着信設定機能付携帯電話機
CN202014299U (zh) 一种带有亲情号码来电提示灯的老人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