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003Y1 -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003Y1
KR200277003Y1 KR2020020005822U KR20020005822U KR200277003Y1 KR 200277003 Y1 KR200277003 Y1 KR 200277003Y1 KR 2020020005822 U KR2020020005822 U KR 2020020005822U KR 20020005822 U KR20020005822 U KR 20020005822U KR 200277003 Y1 KR200277003 Y1 KR 200277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ase
vibrating
sewag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태일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4기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4기한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4기한국
Priority to KR2020020005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003Y1/ko

Link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살균램프가 구비된 하수의 최종 방류전에 설치된 반응조의 내부 혹은 소독조의 관로상이나 소독조의 내부에 진동교반모터, 회전샤프트, 진동날개로 이루어진 진동교반수단을 부설하여 피살균수 혹은 피소독수의 교반능력을 극대화시켜 살균 및 소독 능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교효율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살균작업시 석영관의 외면에 부착되는 물때 제거와 동시에 하수의 진동교반이 수행되므로 살균 접촉면적이 높아져 살균능력이 극대화되고, 진동교반수단에 의해 부유물질의 교반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므로 반응조의 바닥면에 침적물의 침적작용이 억제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DEVICE FOR STERILIZATION SEWAGE BY USING VIBRATION AGITATING UNIT}
본 고안은 기존 상,하수도 소독조, 취수장 소독조 등의 설비에 시설 변경없이 기존 설비의 관로상 혹은 탱크 안에 간단히 설치하여 고성능의 살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독효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물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로서 무한한 천연자원으로 여겨졌으나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남으로 인해 무한한 천연자원이 아닌 희소한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21세기가 '물 전쟁시대'로 예고되는 것도 이때문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수질오염의 가속화나 수돗물 낭비까지 겹쳐 물부족 사태가 더욱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축산폐수 등을 정화처리하여 재활용하려는 노력들이 경주되었나, 이들 폐수들이 정화처리된다고 하더라도 대장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적리균, 티브스균, 콜레라균, 결핵균, 녹농균, 파상풍균 등 병원균이 생존해 있어 이들이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거나 지하로 스며들게 되면 2차 지하수 오염까지 야기시켜 도시상수도, 초순수시스템, 양식업, 제약.병원.전자부품공정 고순수처리, 식품.청량음료의 가공수 공급 뿐만아니라 수질오염에 큰 영향을 주고, 결국 인간이 삶을 영위해 나가는 데 있어 인체와 정신 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하수 및 오,폐수 등의 오염물을 정화처리함과 동시에 살균처리할 수 있는 많은 노력들이 경주되어 왔는 바, 예컨대 특허출원 2000-44797의 "자연 정화원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 특허출원 1998-34316의 "오수정화장치 및 방법", 특허출원 1999-52718의 "개수로용 자외선 소독장치", 실용신안 등록출원 2000-37165의 "초음파, 오존, 고주파, 자외선 복합반응에 의한 폐수정화장치", PCT/US1997/13528의 "자외선 물 살균장치" 및 실용신안 등록출원 97-14867의 "자외선과 은을 병합한 살균장치"와 같은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공개된 기술의 경우에는 이를테면, 특허출원 1998-34316의 경우는 오수정화장치의 살균성능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설비가 대단히 복잡하며, 특허출원 2000-44797과 1999-52718, 2000-37165, PCT/US1997/13528, 97-14867 들의 경우에는 자외선램프 또는 석영관의 외벽에 물때가 생겨 살균효율을 떨어뜨릴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살균범위가 줄어들어 살균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 외에도, 물리화학적인 처리방법, 생물학적인 방법, 활성오니법, 플라즈마법, 자외선방법, 오존방법, 염소투입법 등이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방법들은 그 처리를 위한 대단위 설비가 요구됨에 반해 그 성능에서는 현저성이 없어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에서는 독성물질의 재생성에 대한 문제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더욱 더 복잡해지고, 염소투입법의 경우는 발암물질이 유발되며, 자외선의 경우는 물때에 의한 살균능력 상실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있어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기존에는 램프가 수평으로 장착되는 방식이었으므로 램프의 이상유무및 석영관의 이물질 도포과다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센서유닛을 추가로 부착하고 장치의 모듈을 크레인 등으로 들어내서 점검 및 교체해야 하였으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고,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램프가 수평장착되므로 소켓부분이 씰링된 채 물에 잠긴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안전상의 위험요인이 상존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독특하고 진일보된 고안을 창안하여 특허 제2001-80359호 및 실용 제2001-39036호 "대용량 고효율 자외선을 이용한 하수 살균장치"로 이중출원한 바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술을 더욱 개량, 발전시킨 것으로, 유수진동 교반장치를 통해 하수 살균장치의 석영관을 깨끗이 청소할 뿐만 아니라 기타 오염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반응조 하부에 부유물질(SUSPENDED SOLID)의 침전방지 기능도 갖도록 하며, 입자가 커 살균선의 투과가 용이치 못한 것들은 이를 교반충돌시켜 입자의 크기를 작게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접촉능력을 증대시켜 살균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상,하수도 소독조, 취수장 소독조에서도 별도의 시설 변경없이 상,하수장의 오존소독조, 염소소독조 기타 살균소독이 요구되는 설비의 관로상이나 탱크 안에 유수진동 교반장치를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고효율의 살균이 가능하고 부유물질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교반 고효율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내부구조 및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평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사용예를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5 : 소켓보호케이스
20 : 작동실린더 30 : 연결소켓
40 : 살균램프 50 : 석영관
60 : 와이퍼 70 : 작동플레이트
100 : 슬러지게이트 110 : 댐(DAM)
200 : 배플플레이트 300 : 수위조절플레이트
400 : 진동교반수단 420 : 진동교반모터
430 : 회전샤프트 440 : 진동날개
500 : 반응조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오염수의 관류가 가능한 사각틀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과 맞닿게 배설된 소켓보호케이스와; 상기 소켓보호케이스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그 수직하방으로 전후진 가능한 실린더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측인 격벽으로 구획된 부분에 고정되고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다수의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과 연결되고 케이스의 종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살균램프와; 상기 살균램프의 외주면에 이를 보호하도록 삽입된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의 길이를 3분할하면서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고리형상의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의 외주면이 일체로 고정되고, 그 중심에는 상기 실린더로드가 고정되어 이와 연동되게 배치된 사각판형상의 작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를 내장하는 케이스는 하수 최종방류전의 하수관로상에 슬러지게이트와 댐에 의해 구획형성된 반응조 내부에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의 인접측 반응조 내부에는 진동교반모터, 진동교반모터와 연결된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다수의 진동날개로 이루어진 진동교반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내부구조 및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사면이 개방된 사각틀형태의 케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면과 맞닿게 소켓보호케이스(15)가 배설되며, 상기 소켓보호케이스(15)의 상단면에는 소정크기의 공간인 설치부(12)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보호케이스(15)는 모듈에 설치된 모든 램프의 이상유무를 육안으로 손쉽게 구분하여 이상이 있는 램프나 석영관만을 소켓보호케이스(15)만 들어내어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쉽고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2)에는 수직하방을 향하여 전후진 가능한 작동실린더(2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실린더(20)의 선단에는 실린더로드(22)가 연결된다.
상기 작동실린더(20)는 제어가 용이한 공압 혹은 유압식 실린더가 적당하며, 실린더로드(22)의 1회 스트로크는 후술할 와이퍼(60) 간의 이격거리 정도에 해당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격벽(14)에 의해 일정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격벽(14)에 의해 분할된 상측에는 다수열의 연결소켓(3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소켓(30)은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소켓(30)에는 다수쌍의 살균램프(40)가 연결되고 하향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 인접위치까지 배치된다.
상기 연결소켓(30)과 살균램프(4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살균램프(40)는 살균선을 방사하는 253.7nm 전후의 파장대역을 가진 고효율 자외선 혹은 자외선과 오존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자오선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배치, 이를테면 2개가 한쌍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1군의 살균램프를 이룰 수도 있다.
살균램프(40)의 외주면에는 석영관(50)이 씌워지며, 상기 석영관(50)의 외주면에는 원통형 고리형상의 와이퍼(60)가 권취된다.
상기 와이퍼(60)는 상기 석영관(50)의 길이를 대략 3등분하여 3개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이퍼(60)의 폭(길이) 중간부에는 작동플레이트(70)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플레이트(70)는 사각판형상의 부재에 상기 와이퍼(60)의 외경만큼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고 그 구멍에 상기 와이퍼(60)의 외주면이 결합 고정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플레이트(70)는 사각판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단순히 사각바형태를 취하고 각 와이퍼(60)의 외주면이 그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작동플레이트(70)는 석경관(50)의 길이를 따라 3등분되어 배설된 와이퍼(60)와 동일하게 석영관(50)의 길이방향으로 3분할되어 배치되며, 그 중심부는 상기 실린더로드(22)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로드(22)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3분할되어 배설된 3개의 작동플레이트(70)가 동시 승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석영관(50)의 외주면에 연결된 와이퍼(60)도 함께 승하강되면서 석영관(50)의 외주면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와이퍼(60)는 테프론 소재를 그 재질로 하여 그 내주면이 석영관(50)의 외주면과 긴밀히 밀착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10)는 하수처리의 최종 방류전에 설치된 슬러지게이트(100)와 댐(110)으로 구획된 반응조(500)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슬러지게이트(100)와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설치된 댐(110)과의 사이 공간상인 반응조(500) 내부에 배설되고, 상기 슬러지게이트(100)의 상단에는 배플플레이트(200)가 설치되며, 상기 댐(110)의 상단에는 수위조절플레이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배플플레이트(200)는 하수중에 포함된 미량의 슬러지를 먼저 필터링시킬 수 있도록 걸러주는 부재로서 하수가 일정수위, 즉 상기 배플플레이트(200)의 상단보다 높게 유지되면 그 양만큼 이를 오버플로우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댐(110)의 상단에 설치된 수위조절플레이트(300)도 배플플레이트(200)를 오버플로우하여 반응조(500)로 유입된 하수가 일정시간동안 체류되면서 케이스(10) 내에 설치된 살균수단들에 의해 충분히 살균된 후 상기 수위조절플레이트(300)를 오버플로우하여 흘러갈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수위조절플레이트(300)는 구동모터와 스크류샤프트의 결합구성 혹은 유압실린더와 실린더로드의 결합구성을 통해 승하강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처리된 하수의 방류수위를 임의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응조(500)의 케이스(10)와 슬러지게이트(100) 사이의 공간에는진동교반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진동교반수단(400)은 케이스(10)의 최대 수위, 즉 도시된 워터레벨의 인접 상측에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고정된 받침대(410)와, 상기 받침대(410)상에 고정된 진동교반모터(420)와, 상기 진동교반모터(420)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410)를 관통하여 하수가 흘러가는 바닥면에 인접하여 연장배설된 회전샤프트(430)와, 상기 회전샤프트(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고정된 진동날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교반모터(420)는 진동날개(440)가 0.05~20mm의 진폭 및 분당 100~2000회의 진동수를 갖고 5~3000Hz의 주파수로 진동될 수 있는 조건에 부합되도록 구동되며, 그에 따라 상기 진동날개(440)의 회전진동에 의해 반응조(500) 내부의 하수가 진동교반되면서 부유물(SUSPENDED SOLID)이 반응조(500)의 바닥면에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살균램프(40)에 의해 처리되는 하수와의 접촉면적과 살균면적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뿐만 아니라, 입자크기(PARTICLE SIZE)가 40㎛ 이하일 때에는 253.7nm의 자외선으로부터 나오는 살균선이 입자와 입자내 균들의 세포막투과와 핵산의 손상을 유발시켜 화학변화시킴으로서 핵산파괴방식으로 살균처리가 가능하지만 입자크기가 40㎛ 이상일 때에는 253.7nm의 살균선이 완전히 투과하지 못하여 살균처리가 완벽하지 않게 된다. 이때에는 진동교반수단(400)을 통해 4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 자체를 흔들어주어 입자들끼리의 충돌을 유발하여 입자크기를 작게함으로써 살균선과의 접촉강도(접촉시간, 접촉면적)을 높여 결국 살균선의 투과를 용이하게 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진동날개(440)의 진폭과 진동수 및 주파수를 상기와 같이 제한하는 이유는 반응조(500)에 침적되는 케이스(10), 석영관(50), 와이퍼(60), 배플플레이트(200), 수위조절플레이트(300) 등에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손상을 입힐 수 있어 재질에 따른 적절한 진동교반수단(400)들의 조건들을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며, 또한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수(오염수)의 상태에 따라서도 설정들을 수정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진동날개(440)는 회전샤프트(43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되 회전에 의해 그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즉, 상술한 진폭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진동가능하게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의 도시와 같이, 반응조(500) 내부를 다수의 분리판(530)에 의해 지그재그형태로 구획분리하고, 각 분리유로상에는 다수의 진동교반모터(420')를 설치하여 동시 구동되게 구성함으로써 교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진동교반모터(420')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처리대상에 따라 회전력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진동교반수단(400)는 살균용량에 따라 혹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그에 대응되게 살균램프(40)의 전,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교반수단(4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한 구동방식이 아닌 공압에 의해 공기의 고압분사방식, 즉 오염수 내부에서 다수의 기포를 다량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오염수는 배출 방류되는 과정에서 하수처리의 최종 방류전에 설치된 슬러지게이트(100)를 오버플로우하여 침전물이 일부 필터링된 상태로 반응조(5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오염수는 상기 반응조(500)의 내부에 배설된 살균램프(40)를 내장한 살균처리설비에 의해 살균처리되며, 살균된 하수는 수위조절플레이트(300)를 오버플로우하여 최종방류되게 된다.
이러한 오염수의 살균처리 과정에서 오염수의 내부에 존재한 철분, 마그네슘, 탄산칼슘 등의 무기질이나 물때 등이 석영관(50)의 외표면에 부착되면서 살균램프(40)의 작용을 저하시키게 되면, 이때 작동실린더(20)를 동작시켜 실린더로드(22)를 다수회 승하강시키게 된다.
실린더로드(22)의 승하강동작에 의해 작동플레이트(70) 및 와이퍼(60)가 석영관(50)의 외표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면서 그 외표면에 부착된 무기물이나 물때 등을 완벽하게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진동교반모터(420)를 설정된 속도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회전샤프트(430)에 고정된 진동날개(440)를 회전진동시켜 살균처리되고 있는 오염수를 정해진 조건에 합당하게 진동교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은 반응조(500)의 바닥면에 침적되지 못하고 반응조(500) 내부에서 진동교반되게 되어 살균램프(40)에 의한 분해능(살균능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물때의 제거작업과 진동교반 작업이 동시에 수행됨에 의해 살균램프(40)의 살균력은 극대화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된 장치는 대용량, 대규모 종합하수처리장 혹은 오폐수처리장의 기존 정화설비에서 샌드필터(SAND FILTER)를 통한 최종 방류전 그리고 양식업, 제약.전자부품의 공정에 따른 고순수처리시, 또한 식품, 청량음료 공급수처리시 등에서 살균되지 않던 대장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적리균, 티브스균,콜레라균, 결핵균, 녹농균, 파상풍균 등을 기존 설비의 변경없이 고효율 자외선(파장 253.7nm)을 이용하여 이들 균들의 세포막투과와 핵산(DNA)의 손상을 유발시켜 화학변화시킴으로써 핵산 파괴방식으로 살균처리하며, 작동실린더(20)를 이용하여 물때를 제거토록 함과 동시에 반응조(500) 내부를 신속하게 진동교반시킴으로써 자외선 램프의 살균 접촉면적을 최대화시켜 살균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가능한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기존의 염소소독조 관로상에 설비의 변경없이 본 고안의 진동교반수단(400)을 설치함으로써 물과 염소의 이동접촉 효율을 증대시켜 적은양의 염소투입으로도 충분한 소독효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소독조(600) 내부에 교반모터(610) 및 이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샤프트(620),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620)에 고정된 교반날개(630)로 이루어진 염소소독설비의 교반날개(630) 인접측에 진동교반모터(420), 이에 연결된 회전샤프트(430) 및 진동날개(440)로 이루어진 진동교반수단(400)을 부가 배설하여 교반날개(630)에 의해 통상의 교반작업에 진동날개(440)에 의해 진동작업이 수반됨으로써 소독조(600) 내부에서 수행되는 염소소독작업이 진동교반에 의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게 되어 적은양의 염소로도 충분한 소독효능을 가지게 된다.
즉, 본 고안을 구성하는 진동교반수단(400)은 염소, 오존을 이용한 소독조나 살균 및 정수를 위한 소독조의 관로상 혹은 그 소독조 내부에 배설되어 소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진동교반설비는 다양한 분야의 수처리기술에 응용될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석영관 외벽에 부착되는 철분, 마그네슘, 탄산칼슘과 같은 무기질 및 기타 물때가 잘 붙지 않으며, 제거가 주기적으로 신속하게 수행되므로 살균능력의 저하를 방지한다.
둘째, 살균작업시 하수의 진동교반이 동시 수행되므로 살균 접촉면적이 높아져 살균능력이 극대화된다.
세째, 진동교반수단에 의해 부유물질의 교반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므로 반응조의 바닥면에 침적물의 침적작용이 억제된다.네째, 자외선으로부터 나오는 살균선이 쉽게 투과되지 못하는 크기의 입자들은 진동교반수단에 의해 교반, 충돌되어 그보다 작은 크기의 입자로 만들어줌으로써 살균선의 투과를 용이하게 하여 살균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오염수의 관류가 가능한 사각틀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면과 맞닿게 배설된 소켓보호케이스(15)와; 상기 소켓보호케이스(15)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그 수직하방으로 전후진 가능한 실린더로드(22)를 갖는 작동실린더(2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측인 격벽(14)으로 구획된 부분에 고정되고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다수의 연결소켓(30)과; 상기 연결소켓(30)과 연결되고 케이스(10)의 종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살균램프(40)와; 상기 살균램프(40)의 외주면에 이를 보호하도록 삽입된 석영관(50)과; 상기 석영관(50)의 길이를 3분할하면서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고리형상의 와이퍼(60)와; 상기 와이퍼(60)의 외주면이 일체로 고정되고, 그 중심에는 상기 실린더로드(22)가 고정되어 이와 연동되게 배치된 사각판형상의 작동플레이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40)를 내장하는 케이스(10)는 하수 최종방류전의 하수관로상에 슬러지게이트(100)와 댐(110)에 의해 구획형성된 반응조(500) 내부에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인접측 반응조(500) 내부에는 진동교반모터(420), 진동교반모터(420)와 연결된 회전샤프트(430) 및 상기 회전샤프트(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다수의 진동날개(440)로 이루어진 진동교반수단(40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날개(440)는 0.05~20mm의 진폭과 분당 100~2000회의 진동수와 5~3000Hz의 주파수로 진동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교반수단(400)은 염소, 오존을 이용한 소독조나 살균 및 정수를 위한 소독조의 관로상 혹은 그 소독조 내부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KR2020020005822U 2002-02-27 2002-02-27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KR200277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22U KR200277003Y1 (ko) 2002-02-27 2002-02-27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22U KR200277003Y1 (ko) 2002-02-27 2002-02-27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003Y1 true KR200277003Y1 (ko) 2002-05-30

Family

ID=7311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822U KR200277003Y1 (ko) 2002-02-27 2002-02-27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0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0770T3 (es) Metodo y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agua/aguas residuales.
EP1676818A1 (en) Filtering and purifying system
CN10376457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CN108002611A (zh) 一种用于畜禽养殖的污水高效净化装置
CN210140488U (zh) 一种化工废水净化装置
KR200277003Y1 (ko) 진동교반 수단을 이용한 고효율 살균장치
RU21831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KR100635974B1 (ko) 튜브를 이용한 자외선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CN107986546B (zh) 一种用于废水处理的充分搅拌过滤及杀菌活化设备
WO201406693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CN214142021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1611189B1 (ko) 연속식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CN207483553U (zh) 循环处理的工业污水净化装置
CN113387476A (zh) 一种工业生产废水处理装置
KR100423164B1 (ko) 대용량 고효율 자외선을 이용한 하수 살균장치
KR100204833B1 (ko) 오폐수 정화 시스템
KR200269952Y1 (ko) 대용량 고효율 자외선을 이용한 하수 살균장치
KR100597072B1 (ko)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브이하수 소독 시스템
CN205048588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8862898A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净水设备
CN217127144U (zh)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CN213388075U (zh) 一种用于环境保护的废水处理装置
CN220907324U (zh) 一种废水除硅装置
CN212609955U (zh) 一种具有提取大颗粒杂质功能的废水处理设备
CN210438553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