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886Y1 - 연필 - Google Patents

연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886Y1
KR200276886Y1 KR2020020002951U KR20020002951U KR200276886Y1 KR 200276886 Y1 KR200276886 Y1 KR 200276886Y1 KR 2020020002951 U KR2020020002951 U KR 2020020002951U KR 20020002951 U KR20020002951 U KR 20020002951U KR 200276886 Y1 KR200276886 Y1 KR 200276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graphite core
present
woo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혜
최민혜
정재훈
정은지
Original Assignee
최준혜
정재훈
정은지
최민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혜, 정재훈, 정은지, 최민혜 filed Critical 최준혜
Priority to KR2020020002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886Y1/ko

Links

Landscapes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흑연심의 길이를 축소하면서도, 필기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연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하면, 외주면을 형성하는 나무부분(12)과, 상기 나무부분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흑연심(14)을 포함하는 연필에 있어서; 상기 흑연심은, 연필의 최상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연필을 잡고 필기를 하는 점에 있어서는 전혀 불편이 없음과 동시에, 흑연심의 길이 감소에 의한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필{Pencil}
본 고안은 연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는 흑연심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제적인 효용가치를 높인 연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연필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필은, 나무재질로 만들어지는 나무부분(2)과, 상기 나무부분의 정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흑연심(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흑연심(4)은, 실질적으로 필기가 수행되는 부분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연필의 전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연필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에 걸쳐 모두 흑연심(4)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연필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최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연필로서 사용되기 아주 힘들다. 즉 연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이 연필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최상단부에 있는 적어도 일부에 있는 흑연심(4)은 실질적으로 필기용으로 사용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흑연심(4)은 연필의 최상단부분까지 전체에 걸쳐서 내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부분까지 흑연심(4)을 배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낭비적인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연필은, 필기시 사용될 수 없는 상단부분까지 흑연심(4)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부분에는 흑연심을 배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연필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필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필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나무부분 14 .... 흑연심
a ..... 상단 일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주면을 형성하는 나무부분과, 상기 나무부분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흑연심을 포함하는 연필에 있어서; 상기 흑연심은, 연필의 최상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연필을 잡고 필기를 하는 점에 있어서는 전혀 불편이 없음과 동시에, 흑연심의 길이 감소에 의한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연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필은 외주면을 형성하는 원통상 또는 육각형 등의 나무부분(12)과, 상기 나무부분(12)의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흑연심(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흑연심(14)은 나무부분(12)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상단일부(a)는 흑연심(14)이 내장되지 아니하는 상태로 형성되고 있다.
연필의 상단일부(a)는, 적어도 필기구로서 필기를 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상단일부(a)에는 흑연심(14)의 구성을 생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흑연심(14)을 연필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a)에는 구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 부분에 해당하는 흑연심에 대한 제조경비를 경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흑연심(14)의 구성이 생략되는 상단일부(a)의 크기는, 연필 사용자가 연필을 잡고 필기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연필을 사용할 때 잡기 위한 부분이 상단일부(a)의 길이를 결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연필을 볼펜 몸체에 끼워서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더라도, 적어도 연필을 사용하기 위하여 칼로 깎아내어야 하는 부분도 상기 상단일부(a)의 길이를 결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흑연심(14)의 구성이 생략되는 상단일부(a)에서 흑연심(14)에 대응하는 중심부분은, 나무로 채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비교적 저렴한 대체물질을 흑연심(14)과 동축상으로 채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 또는 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는 심을, 상기 상단일부(a)의 중심부분에 흑연심(14)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넣는 것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는 나무부분(12)을 형성할 때, 처음부터 연필의 상단일부(a)에는 흑연심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힌 상태로 형성하여 적어도 상단일부(a)에 흑연심(14)이 구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필의 최상단의 적어도 일부에 흑연심을 내장시키지 않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예를 들면 연필을 깎아야 하는 최소한의 길이에 대응하는 연필의 최상단의 적어도 일부에는 흑연심을 내장시키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필의 상단 일부에 흑연심을 내장시키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이까지 연필을 사용하는 데에는 전혀 무리가 없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인 흑연심의 길이를줄임으로써, 실질적으로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외주면을 형성하는 나무부분(12)과, 상기 나무부분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흑연심(14)을 포함하는 연필에 있어서;
    상기 흑연심은, 연필의 최상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
KR2020020002951U 2002-01-30 2002-01-30 연필 KR200276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51U KR200276886Y1 (ko) 2002-01-30 2002-01-30 연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51U KR200276886Y1 (ko) 2002-01-30 2002-01-30 연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886Y1 true KR200276886Y1 (ko) 2002-05-27

Family

ID=7307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951U KR200276886Y1 (ko) 2002-01-30 2002-01-30 연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8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8537B1 (en)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KR200276886Y1 (ko) 연필
JPH0226698Y2 (ko)
CN213768034U (zh) 一种可替换笔头的书写笔
WO2003018328A1 (fr) Article pour l'ecriture
CN218647409U (zh) 一种带自动伸缩收纳的电容笔
CN212708654U (zh) 一种便携式儿童画笔
CN207644007U (zh) 一种铅笔
CN210526106U (zh) 一种自适应性万用笔套装置
KR200270541Y1 (ko) 손가락 볼펜
JP2009269251A (ja) 筆記具の筆先構造
KR200318324Y1 (ko) 몽당연필 절약용 연결구
JPH04364996A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チャック構造
KR200182828Y1 (ko) 지관으로 형성된 샤프트를 갖는 필기구 몸체
KR19980020355U (ko) 연필
KR930007218Y1 (ko) 필기구
KR200217324Y1 (ko) 필기구가 내장된 휴대폰
JPS6245915Y2 (ko)
JPS6144865Y2 (ko)
KR200270395Y1 (ko) 양방향 필기구용 잉크통 및 그것이 내장된 양방향 필기구
KR200276896Y1 (ko) 일회용 라이타가 일체로 구성된 필기구
KR200305183Y1 (ko) 스치로폴 연필
JPH0118385Y2 (ko)
JP5396680B1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250780Y1 (ko) 샤프펜슬의 처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