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711Y1 - 화훼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화훼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711Y1
KR200276711Y1 KR2020020005657U KR20020005657U KR200276711Y1 KR 200276711 Y1 KR200276711 Y1 KR 200276711Y1 KR 2020020005657 U KR2020020005657 U KR 2020020005657U KR 20020005657 U KR20020005657 U KR 20020005657U KR 200276711 Y1 KR200276711 Y1 KR 200276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packaging container
outer box
sealing memb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길수
Original Assignee
신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길수 filed Critical 신길수
Priority to KR2020020005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711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훼다발의 포장, 저장 및 유통 작업이 용이하고 화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훼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화훼다발을 포장하는 화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3a')를 가진 겉상자(3)와, 겉상자(3)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4p)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4)와, 밀봉부재(4) 내에서 화훼 다발(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 및 밀봉부재(4)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화훼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FOR SAFELY KEEPING CUT FLOWERS}
본 고안은 화훼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묶음의 화훼 다발을 포장, 저장 및 유통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화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훼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훼산업은 생명공학기법을 활용한 신품종의 개발에 힘입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더욱이 경제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져 재배농가와 소비량이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러한 화훼산업의 환경 변화에 따라, 화훼를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까지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화훼의 생산과 저장, 가공, 출하, 유통, 수출부문에 관한 꾸준한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절화는 일반적으로 수확한 후에 물올림, 전처리제처리 및 예냉 등의 전처리를 과정을 거치고, 그 다음에 선별, 결속되어 포장된다. 이러한 처리 과정 중에 다양한 방법으로 절화수명을 연장하고 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화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까다롭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각국의 검역 절차에 대처할 수 있는 화훼포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수출용 화훼 포장에는 일반적인 화훼 포장에 비해 화훼의 머리부 등의 주요부분을 보호하고 화훼의 선도를 장시간 유지시키기 위한 새로운 포장방법이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화훼 상품의 출하 시기 조절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화훼를 장기간 저장하거나 산간벽지, 섬 등의 원거리 소비지로 화훼를 운송하여 유통시키기 위해서도 화훼보호용으로 보다 견고하면서 화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화훼포장용기가 요구된다.
이에 본 고안자는 수출용 뿐만 아니라 국내유통용이나 저장용으로 유용한 화훼포장용기로서 피포장된 화훼를 보호하기에 충분히 견고하고, 피포장된 화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화훼포장용기를 연구하여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수출용, 국내유통용 및 저장용 화훼포장용기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묶음의 화훼 다발을 용이하게 포장, 적재, 운송할 수 있고 화훼의 주요부를 확실히 보호하면서 피포장된 화훼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화훼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훼포장용기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훼포장용기에 있어서 겉상자가 상자몸체와 하부캡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훼포장용기에 있어서 겉상자의 상단부에 상부캡이 끼워진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화훼포장용기에 있어서 화훼다발을 감싸는 포장재가 포함된 경우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훼포장용기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훼다발 2 : 포장재
3 : 겉상자 3a : 상부캡
3a' : 개폐형 상단부 3b : 상자몸체
3c : 하부캡 3d : 창
3p : 개구부 4 : 밀봉부재
4p : 개구부 5 : 지지부재
6 : 보호가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화훼다발을 포장하는 화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를 가진 겉상자와, 상기 겉상자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 내에서 화훼 다발을 지지하고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화훼다발과의 사이에는 상기 화훼다발을 감싸는 포장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재는 흡습기능을 갖는 지지부재와 함께 화훼포장용기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포장재는 화훼포장용기로부터 화훼 다발을 꺼낼 때에 화훼 다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화훼포장용기로부터 화훼 다발을 한꺼번에 꺼내기가 용이하다. 더욱이, 이러한 포장재는 줄기 등에 가시를 갖는 화훼 다발이 포장되는 경우에 화훼 다발의 가시로부터 밀봉부재를 보호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는 상자몸체 및 상기 상자몸체의 하단부에 꼭 끼워지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는 그 상단부에 꼭 끼워지는 상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밀봉부재의 내측 상부에 맺힌 습기 또는 물방울이 화훼다발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고, 흡습작용을 통한 습도조절 기능을 가지며, 화훼다발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형상으로 접혀져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에는 화훼포장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화훼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해 형성된 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가스는 피포장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해 피포장물의 호흡을 통한 대사과정을 억제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질소 가스, 및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포함한 혼합 가스 중에서 선택된 일종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훼다발을 포장하는 화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를 가진 겉상자와, 상기 겉상자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 내에서 화훼 다발을 지지하는 포장재, 및 상기 밀봉부재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겉상자(3)를 수직으로 절단하여 그 내부의 피포장물이 외부에 보여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화훼포장용기는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3a')를 가진 겉상자(3)와, 겉상자(3)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4p)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4)와, 밀봉부재(4) 내에서 화훼 다발(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 및 밀봉부재(4)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6)로 이루어진다.
위의 화훼다발(1)에서 화훼는 주로 국화, 백합, 장미 등의 절화를 의미하는것으로서, 이러한 화훼의 소정개수 묶음인 화훼다발(1)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포장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 묶음으로 그룹 지어진 후에 끈이나 테이프 등으로 묶여질 수 있다.
겉상자(3)는 두꺼운 종이상자나 플라스틱 등의 견고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피포장되는 화훼의 높이 또는 크기에 맞추어 적당한 체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겉상자(3)가 종이상자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겉상자(3)의 하단부는 사전에 미리 접혀져 접착테이프 등의 소정의 접착수단으로 붙여진다. 상단부에는 상자의 내부에 피포장물을 넣기 위한 개구부(3p)가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겉상자(3)의 상단부가 개폐형 상단부(3a')로 형성되어 겉상자(3)의 내부에 피포장물을 넣은 다음 겉상자(3)의 상단부를 바로 접어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으로 상단부를 봉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물론 겉상자(3)가 플라스틱 등의 다른 견고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밀봉부재(4)는 주로 투명한 비닐봉지로 이루지고 그 내부에 화훼 다발(1)과 화훼다발(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가 삽입된 후에 그 개구부(4p)가 끈, 접착테이프, 열 접합 장치 등의 밀봉 수단에 의해 밀봉된다. 도면에서는 열 접합에 의해 접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밀봉부재(4)의 내부에는 화훼의 선도 유지를 위한 보호가스(6)가 충진된다. 보호가스(6)는 피포장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해 피포장물의 호흡을 통한 대사과정을 억제하는 질소 가스 또는 질소를 포함한 혼합 가스를 사용한다. 물론, 이산화탄소 가스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혼합 가스도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5)는 마분지, 골판지 등의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역삼각형 등의 소정의 형상으로 접혀진다. 특히 아래쪽이 개방된 직사각형이나 대략 역삼각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밀봉부재(4)의 내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밀봉부재(4)의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 또는 물방울이 화훼 다발(1)에, 특히 화훼 다발(1)의 주요부분인 꽃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4) 내부에서 화훼다발(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를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화훼다발(1)을 지지하면서 밀봉부재(4) 상부의 습기 또는 물방울로 인한 화훼의 직접적인 손상이나 화훼의 갈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가 골판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부재(5)는 골판지 재질의 비교적 큰 흡습력을 통해 화훼포장용기 내부의 습도조절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화훼포장용기에 장미 품종의 일종인 실라리안을 포장하는 경우에 있어서, 골판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크기가 대략 19.5㎝×138.5㎝, 무게가 188.2g인 지지부재(5)의 수분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약 20일 후의 지지부재(5)의 무게가 239.2g(약 51g 증가)이었다. 이것은 본 고안의 골판지 재질의 지지부재(5)가 화훼포장용기 내부의 습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화훼포장용기의 겉상자(3)를 하나의 부재로 단일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겉상자(3)의 제조비용을 낮춤으로써, 수출용이나 국내 유통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저가형 화훼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부재(5)를 통해 포장용기 내부의 습도조절을 함으로써 화훼의 신선도를 더욱 장기간 유지시킬수 있는 화훼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화훼포장용기에 있어서 겉상자(3)가 상자몸체(3b)와 하부캡(3c)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상자몸체(3b)의 하단부에 하부캡(3c)이 끼워져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하부캡(3c)은 하단부가 개구부로 형성된 상자몸체(3b)의 하단부에 꼭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자몸체(3b)의 상단 개구부(3p)를 통해 삽입된 화훼다발(1)은 상단 개구부(3p)로 꺼내지지 않고, 상자몸체(3b)의 하단부에 끼워진 하부캡(3c)를 제거한 후에 상자몸체(3b)에 형성된 아래쪽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꺼내질 수 있다.
이것은 화훼다발(1)이 무겁거나 상자몸체(3b)의 상단 개구부(3p)로 화훼다발(1)을 꺼내기 어려운 경우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될 있다.
또한, 상술한 하부캡(3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분지 등의 종이 부재로 상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가로(A) 400㎝와 세로(B) 200㎝ 및 높이 180㎝의 체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자몸체(3b)의 하단부에 꼭 끼워진다.
한편, 겉상자(3)의 전방 측면에는 화훼다발(1)이 용기 내부에 삽입된 채로 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창(3d)이 형성된다. 이러한 창(3d)은 대응하는 후방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의 창(3d)은 운반용 손잡이로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겉상자(3)의 양측면에는 슬릿 형상의손잡이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용기의 운반 등에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화훼포장용기에 있어서 겉상자(3)의 상단부에 상부캡(3a)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화훼의 높이가 큰 경우 겉상자(3)의 개폐형 상단부(3a')를 접지 않고 별도의 상부캡(3a)을 이용하여 겉상자(3)의 상단부를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캡(3a)은 겉상자(3)의 내부에 화훼다발(1)과 지지부재(5)를 보호가스(6)과 함께 밀봉부재(4) 내에 넣은 다음 겉상자(3)의 상단부에 꼭 끼워져 겉상자(3)의 상단부를 마감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화훼의 높이가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겉상자(3)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겉상자(3)의 개폐형 상단부(3a')를 접어 접착 테이프로 붙인 후에 상부캡(3a)으로 겉상자(3)이 상단부를 덮어씌우는 경우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지므로 화훼포장용기를 소정 개수씩 묶어서 쌓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겉상자(3)가 상자몸체(3b)와 하부캡(3c)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겉상자(3)의 상단부에 상부캡(3a)이 씌워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화훼다발의 장기 저장이나 보관에 유용한 매우 견고한 화훼포장용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서 화훼다발을 감싸는 포장재가 화훼다발 주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피포장되는 화훼다발의 보호와 습도 조절 등에 의한 선도 유지에 더욱 효과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화훼포장용기는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일면에 개폐형 상단부(3a')를 가진 겉상자(3)와, 겉상자(3)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4p)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4)와, 밀봉부재(4) 내에서 화훼 다발(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와, 화훼다발(1)과 지지부재(5)와의 사이에서 화훼다발을 감싸는 포장재(2), 및 밀봉부재(4)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6)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한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겉상자(3), 밀봉부재(4), 지지부재(5), 보호가스(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포장재(2)는 화훼 등을 포장하거나 장식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장재(2)는 화훼다발(1)을 지지하고 보호하며, 내부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또한 외부에서 발생한 물방울 내지는 습기가 화훼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갖는 것으로, 다른 구성요소의 화훼의 선도 유지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성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재(2)는 부직포 이외에 적당한 다른 포장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포장재(2)는 가시 장미와 같이 화훼 다발의 줄기 등에 가시가 달린 피포장물을 포장하는 경우에, 가시에 의한 밀봉부재(4)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훼포장용기는,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3a')를 가진 겉상자(3)와, 겉상자(3)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4p)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4)와, 밀봉부재(4) 내에서 화훼 다발(1)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포장재(2), 및 밀봉부재(4)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6)로 이루어진다. 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의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되는 화훼의 종류와 화훼포장용기의 사용목적에 따라 밀봉부재(4)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재(5)와 포장재(2)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이 두 가지 구성요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훼다발의 포장에 있어서 화훼다발을 포장재 또는 지지부재로 지지하고 그것들을 보호가스와 함께 밀봉부재에 담은 후에 일체형의 겉상자로 포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출용이나 저장용 및 유통용의 화훼포장용기와 같이 견고하고 화훼의 선도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저가형인 화훼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겉상자에 개폐형 상단부를 형성하면서 겉상자를 상자몸체와 하부캡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화훼다발을 포장하고 꺼내는 작업을 매우 용이한 화훼포장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겉상자의 상단부에 상부캡을 더 끼움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복수개씩 묶어 수직으로 쌓기에 편리한 장기 저장용의 화훼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밀봉부재의 내부에서 화훼다발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소정의 다각형 구조로 접어 배치함으로써, 화훼다발의 주요부분을 보호하면서 밀봉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습기 또는 물방울이 화훼다발의 머리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흡습작용을 통한 습도조절 기능을 통해 화훼의 선도를 보다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화훼다발을 포장하는 화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3a')를 가진 겉상자(3)와;
    상기 겉상자(3)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4p)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4)와;
    상기 밀봉부재(4) 내에서 화훼 다발(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 및
    상기 밀봉부재(4)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3)는 상자몸체(3b) 및 상기 상자몸체(3b)의 하단부에 꼭 끼워지는 하부캡(3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3)는 그 상단부에 꼭 끼워지는 상부캡(3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와 화훼다발(1)과의 사이에는 상기 화훼다발(1)을 감싸는 포장재(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는 밀봉부재(4)의 내측 상부에 맺힌 물방울이 화훼다발(1)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고, 흡습작용을 통한 습도조절 기능을 가지며, 화훼다발(1)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형상으로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의 재질은 골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3)에는 화훼포장용기의 내부에 포장된 화훼의 상태를 외부에서확인하기 위해 형성된 창(3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가스(6)는 피포장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해 피포장물의 호흡을 통한 대사과정을 억제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질소 가스, 및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포함한 혼합 가스 중에서 선택된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9. 화훼다발을 포장하는 화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다각형의 입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개폐형 상단부(3a')를 가진 겉상자(3)와;
    상기 겉상자(3)의 내부에 삽입되고 개구부(4p)를 구비한 봉지 형상의 밀봉부재(4)와;
    상기 밀봉부재(4) 내에서 화훼 다발(1)을 지지하는 포장재(2); 및
    상기 밀봉부재(4)의 내부에 주입된 보호가스(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포장용기.
KR2020020005657U 2002-02-26 2002-02-26 화훼포장용기 KR200276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57U KR200276711Y1 (ko) 2002-02-26 2002-02-26 화훼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57U KR200276711Y1 (ko) 2002-02-26 2002-02-26 화훼포장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169A Division KR20030070677A (ko) 2002-02-26 2002-02-26 화훼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711Y1 true KR200276711Y1 (ko) 2002-05-25

Family

ID=7311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657U KR200276711Y1 (ko) 2002-02-26 2002-02-26 화훼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677A (ko) * 2002-02-26 2003-09-02 신길수 화훼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677A (ko) * 2002-02-26 2003-09-02 신길수 화훼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8890A (en) Plant package
US5379549A (en) Receptacle for shipping horticultural products
US5556658A (en) Method for packaging, storing and ventilating produce
US20040118045A1 (en) Self cool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a floral grouping
JP2518675Y2 (ja) 植物の鮮度保持梱包箱
KR200276711Y1 (ko) 화훼포장용기
KR20030070677A (ko) 화훼포장용기
US20050150798A1 (en) Method and package for packaging and shipping plants or bulbs
JP6023856B1 (ja) 果実の冷蔵における鮮度保持方法と鮮度保持装置
JPS63248679A (ja) 生花包装体
JP5179749B2 (ja) 青果物入り包装体及び青果物入り包装体の包装方法
KR200252518Y1 (ko) 화훼 및 농산물 포장용기
CN213863578U (zh) 一种具有保鲜功能的水果高级礼箱
CA1091195A (en) Florist carton for cut flowers
KR200340868Y1 (ko) 농산물 저장용 포장봉지
CN215476515U (zh) 一种菊花种苗盒
EP2238036B1 (en) Method for long-term storage or transport of roses or chrysanthemums, packaging assembly, container comprising packaging assemblies, and use of packaging assembly
KR200461237Y1 (ko) 화훼용 포장상자
JP3088867U (ja) 輸送箱
JP2604860Y2 (ja) きのこの包装容器
CN1276172A (zh) 甘薯箱盒贮藏越冬法
JPS62232332A (ja) So2処理による果実・野菜の長期保存方法
KR200154282Y1 (ko) 화훼보관 포장구조
KR200329251Y1 (ko) 과실 및 과채류 포장용기
KR20130137945A (ko) 화분 포장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