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618Y1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6618Y1 KR200276618Y1 KR2020020005958U KR20020005958U KR200276618Y1 KR 200276618 Y1 KR200276618 Y1 KR 200276618Y1 KR 2020020005958 U KR2020020005958 U KR 2020020005958U KR 20020005958 U KR20020005958 U KR 20020005958U KR 200276618 Y1 KR200276618 Y1 KR 2002766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scissors
- cutting
- guide hole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인 가위에 있어서, 양측 몸체(10)(10')에 각각 축안내장공(14)(14')을 형성하되, 일측 몸체(10)의 축안내장공(14) 상,하부에는 축안내장공(14) 쪽으로 스프링출입부(16a)를 형성한 스프링설치부(16)를 형성하여 양측 스프링설치부(16)에 판스프링(20)을 서로 대향하게 설치하되, 스프링출입부(16a)를 통해 축안내장공(14)쪽으로 배출된 판스프링(20)에 의해 축안내장공(14)의 양단에 축고정부(14a)(14b)가 형성되게하고, 두개의 몸체(10)(10')를 결합하는 회동축(30)을 축안내장공(14)에 관통시켜 리벳형태로 축이음하되, 회동축(30)의 상단부에는 상면에 요철면(32a)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가이드판(32b)을 형성한 가압판(32)을 일체로 형성하여 축안내장공(14)을 따라 회동축(30)을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회동축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시켜 절단날에 가해지는 절단력을 간편하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때문에 가위의 사용이 편리하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위의 몸체가 회전하게 하는 회동축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하여 가위의 절단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가위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엇갈려 있는 한 쌍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할때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구로서, 그 형태나 크기도 다양하며 사용분야 또한 일상생활에서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위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절단날을 교차시키기 위하여 절단날의 반대쪽에 위치한 손잡이에 손가락을 끼워서 절단날이 형성된 한 쌍의 몸체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데, 항상 일정한 재질의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거의 동일한 힘을 가위의 손잡이에 가하므로서, 피절단물에 일정한 절단력을 가하여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피절단물의 재질에 따라서 그 경도가 다른 경우, 즉 일반적으로 절단하던 피절단물보다 경도가 강한 피절단물을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손잡이에 기존보다 더 강한 힘을 가해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절단날의 압력을 증가시키므로서 더 강한 절단력을 얻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손잡이에 더 강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 손에 무리가 오거나 이로인해 손가락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뿐 만 아니라, 가위 자체에도 무리가 발생하여 손잡이 부분이 파손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위 절단날의 교차작동을 위한 회동축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하여 회동축의 위치에 따라 절단날의 절단력을 향상시켜 경도가 강한 재질의 피절단물도 쉽게 절단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평면 부분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회동축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동축이 뒤쪽에 고정된 상태의 가위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회동축이 앞쪽에 고정된 상태의 가위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몸체 종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몸체 12 : 절단날
14, 14' : 축안내장공 14a, 14b, 14c : 축고정부
16 : 스프링설치부 16a : 스프링출입부
20, 20' : 판스프링 30 : 회동축
32 : 가압판 32a : 요철면
32b : 가이드판 40 : 손잡이
일측에 절단날(1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손잡이(40)를 형성한 한 쌍의 몸체(10)(10')를 절단날(12)이 대향하도록 맞대어 회동축(30)으로 결합하여 회동축(30)을 중심으로 몸체(10)(10')가 회동할 수 있게 한 공지의 가위에 있어서,양측 몸체(10)(10')에 각각 축안내장공(14)(14')을 형성하되, 일측 몸체(10)의 축안내장공(14) 상,하부에는 축안내장공(14) 쪽으로 스프링출입부(16a)를 형성한 스프링설치부(16)를 형성하여 양측 스프링설치부(16)에 판스프링(20)을 서로 대향하게 설치하되, 스프링출입부(16a)를 통해 축안내장공(14)쪽으로 배출된 판스프링(20)에 의해 축안내장공(14)의 양단에 축고정부(14a)(14b)가 형성되게하고, 두개의 몸체(10)(10')를 결합하는 회동축(30)을 축안내장공(14)에 관통시켜 리벳형태로 축이음하되, 회동축(30)의 상단부에는 상면에 요철면(32a)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가이드판(32b)을 형성한 가압판(32)을 일체로 형성하여 축안내장공(14)을 따라 회동축(30)을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서 회동축(30)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손잡이(40)에 늘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절단날(12)에는 더 큰 절단력이 발생할 수 있게 하므로서 경도가 다른 피절단물의 절단에 따른 가위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가위의 몸체(10) 상면에는 가압판(32)이 설치되는데 이 가압판(32)은 상면에 요철면(32a)을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가압판(32)을 손으로 밀어서 그 위치를 변경하기가 용이하며, 가압판(32)의 양측에는 가이드판(3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가압판(32)이 이동할때 가위의몸체(10)를 따라서 이동하게하므로서, 가위의 사용을 위해 몸체(10)를 회동시킬때 가압판(32)이 몸체(10)와 불일치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예시도로서 가압판(32)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는 가위의 몸체(10)에 형성되는 축안내장공(14)을 비롯한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첨부도면 4와 같이 가위의 몸체(10)에는 몸체(10)를 관통되는 축안내장공(14)의 상, 하부에 축안내장공(14) 쪽으로 스프링출입부(16a)를 형성한 스프링설치부(16)를 형성하여 양측 스프링설치부(16)에 판스프링(20)을 서로 대향하게 설치하되, 스프링출입부(16a)를 통해 축안내장공(14)쪽으로 배출된 판스프링(20)에 의해 축안내장공(14)의 양단에 축고정부(14a)(14b)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축안내장공(14)을 관통하는 회동축(30)이 축안내장공(14)의 양단에 형성되는 축고정부(14a)(14b)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가압판(32)을 이용하여 회동축(30)의 위치를 축안내장공(14)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축안내장공(14)의 양단에 형성된 축고정부(14a)(14b)에 회동축(30)이 위치할때는 판스프링(20)의 복원력에 판스프링(20)이 회동축(30)을 가압하고 있기때문에 회동축(30)이 축고정부(14a)(14b)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압판(32)을 이용해 회동축(30)을 축안내장공(14)을 따라 이동시키면, 첨부도면과 같이 판스프링(20)은 자체의 탄력성보다 강한 힘으로 회동축(30)이 이동할경우 스프링설치부(16)쪽으로밀여나면서 회동축(30)이 이동할 수 있게되며,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판스프링(20)이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출입부(16a)를 통해 축안내장공(14)쪽으로 배출되면서 회동축(30)을 가압하므로서 회동축(3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축(30)의 위치를 변경하게되면, 회동축(30)에서 절단날(12) 까지의 거리와, 회동축(30)에서 손잡이(40)까지의 거리를 변경시켜 절단날(12)에 가해지는 절단력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데 되는데,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회동축(30)이 축안내장공(14)의 뒤쪽 축고정부(14a)에 위치하고있을때, 피절단물을 절단하기위해 손잡이(40)에 가해야하는 힘의 크기가 1이라 할때,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회동축(30)을 축안내장공(14)의 앞쪽 축고정부(14b)로 이동시키게되면, 회동축(30)에서 절단날(12)까지의 거리보다 회동축(30)에서 손잡이(40)까지의 거리가 첨부도면 도 6일때의 상태보다 더 길어지므로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동일한 피절단물을 절단하더라도 손잡이(40)에 가해야하는 힘의 크기는 1보다 훨씬 작아지므로서, 적은 힘으로도 피절단물을 보다 편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6내지 도 7과 같이 가위를 사용중일때는 각각의 몸체(10)(10')에 형성된 축안내장공(14)(14')간의 각도가 벌어지기때문에 어느쪽이든 축고정부(14a)(14b)에 위치한 회동축(30)은 요동이 불가능하기때문에 큰 압력으로 가위를 작동하더라도 견고한 작동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몸체의 종단면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판스프링설치부(16)는 한쌍의 몸체(10)(10')중에서 일측 몸체(10)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큰 절단력을 필요로 하는 가위의 경우에는 회동축(30)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이 더 클 필요가 있으므로 이때는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한쌍의 몸체(10)(10') 모두에 스프링설치부(16)를 형성할 수 도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며, 본 고안에서 몸체(10)에 형성된 축안내장공(14)에는 2개소의 축고정부(14a)(14b)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축안내장공(14)과 판스프링(20')의 길이를 보다 길게하여 첨부도면 도 10과 같이 2개소 이상의 축고정부(14a)(14b)(14c)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위에 설치되는 회동축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게하여 절단날에 가해지는 절단력을 간편하게 증가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피절단물의 절단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때문에 가위의 사용이 편리하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일측에 절단날(1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손잡이(40)를 형성한 한 쌍의 몸체(10)(10')를 절단날(12)이 대향하도록 맞대어 회동축(30)으로 결합하여 회동축(30)을 중심으로 몸체(10)(10')가 회동할 수 있게 한 공지의 가위에 있어서, 양측 몸체(10)(10')에 각각 축안내장공(14)(14')을 형성하되, 일측 몸체(10)의 축안내장공(14) 상,하부에는 축안내장공(14) 쪽으로 스프링출입부(16a)를 형성한 스프링설치부(16)를 형성하여 양측 스프링설치부(16)에 판스프링(20)을 서로 대향하게 설치하되, 스프링출입부(16a)를 통해 축안내장공(14)쪽으로 배출된 판스프링(20)에 의해 축안내장공(14)의 양단에 축고정부(14a)(14b)가 형성되게하고, 두개의 몸체(10)(10')를 결합하는 회동축(30)을 축안내장공(14)에 관통시켜 리벳형태로 축이음하되, 회동축(30)의 상단부에는 상면에 요철면(32a)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가이드판(32b)을 형성한 가압판(32)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5958U KR200276618Y1 (ko) | 2002-02-28 | 2002-02-28 | 가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5958U KR200276618Y1 (ko) | 2002-02-28 | 2002-02-28 | 가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6618Y1 true KR200276618Y1 (ko) | 2002-05-25 |
Family
ID=7308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5958U KR200276618Y1 (ko) | 2002-02-28 | 2002-02-28 | 가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6618Y1 (ko) |
-
2002
- 2002-02-28 KR KR2020020005958U patent/KR20027661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92304A (en) | Locking device for folding tool | |
US8966768B2 (en) | Ball bearing assembly for folding knife or tool | |
JP2659685B2 (ja) | はさみ | |
US6701621B2 (en) | Releasable double locking knife | |
US5467497A (en) | Adjustable drywall corner tool | |
KR19980070503A (ko) | 스프링 편의식 장치를 갖는 다기능 공구 | |
US5009008A (en) | Thumb actuator for folding knife | |
US6189219B1 (en) | Multiple purpose compound action snips | |
US20050072004A1 (en) | Opening assist mechanism for a folding knife | |
JPS5915784B2 (ja) | 刃物用研ぎ装置 | |
US6065213A (en) | Folding scissors | |
KR960033676A (ko) | 벽돌용 슬릿 가공 장치 | |
US6598300B2 (en) | Structure for a locating pivot of shears | |
CN112739508B (zh) | 手动操作的剪切工具 | |
US4299030A (en) | Hand-operated shearing devices | |
KR200276618Y1 (ko) | 가위 | |
US3052026A (en) | Scissors, shears and like implements | |
SE455037B (sv) | Fjederpaverkad tredgardssekator | |
US20050028381A1 (en) | Run-through shears | |
US814153A (en) | Twine and thread cutter. | |
KR200405994Y1 (ko) | 회동축 이동 가위 | |
FI128058B (en) | Hand-operated cutting tool | |
US20200384630A1 (en) | Ergonomic attachment for a ninety degree drill assembly | |
KR100342974B1 (ko) | 손톱깎이 | |
JP3098547U (ja) | 鋏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