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503Y1 - 혈압강하기 - Google Patents

혈압강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03Y1
KR200276503Y1 KR2020020005168U KR20020005168U KR200276503Y1 KR 200276503 Y1 KR200276503 Y1 KR 200276503Y1 KR 2020020005168 U KR2020020005168 U KR 2020020005168U KR 20020005168 U KR20020005168 U KR 20020005168U KR 200276503 Y1 KR200276503 Y1 KR 200276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lood pressure
charge
discharge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택
김정호
손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엑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엑소
Priority to KR2020020005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03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생체전위의 충ㆍ방전 및 저주파에 의한 전기이침을 동시에 수행하여 혈압을 강하시키는 혈압강하기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안정화시키는 평활부로 이루어진 전원회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모드스위치로부터 입력된 모드전환신호에 의해 모드전환을 수행하고,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영상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일정 주기의 전기자극을 위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저주파발생신호를 출력시키고, 임의의 시간주기로하여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충ㆍ방전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회로; 생체전위의 충ㆍ방전상태, 배터리 잔량상태, 동작시간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컴회로로부터 출력된 저주파발생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캐소드단이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각각 게재시켜 임의의 전압비로 승압시키는 전압변환기로 이루어진 저주파발생회로; 상기 마이컴회로로부터 출력된 충ㆍ방전신호에 턴온/턴오프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상기 턴온/턴오프에 따라 충ㆍ방전이 이루어지는 제11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충ㆍ방전회로;를 포함하여 내재시킨 본체: 및 상기 저주파발생회로 및 충ㆍ방전회로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의 귀에 접속되는 집게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생체전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저주파를 인체의 귀에 인가함으로써 복합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중증 고혈압 환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상 간편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혈압강하기{Apparatus for controlling blood pressure}
본 고안은 혈압강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전위를 충ㆍ방전시켜 이상 생체전위를 방출시킴과 동시에 저주파를 인체의 귀에 인가하여 혈행을 개선시키는 복합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혈압을 강하시키는 혈압강하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호흡, 분비 및 배설을 통해서 체액을 정화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총면적은 성인의 경우 대략 1.6㎡이며, 표피의 두께는 대략 1.5∼2㎜로서 사람의 몸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피부는, 내장의 거울이라고도 하며, 오장육부의 각 내장으로부터 피부의 표면을 향하여 거미줄처럼 헤아릴 수 없이 수많은 경락이 흘러서 항상 내장의 노폐물이나 이상혈액을 피부표면에 운반하여 자연스러운 정혈작용을 하고 있다. 내장의 이상은 피부에 반응을 나타내며, 특히 관련성이 있는 경락상의 피부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경락상이라고 할 수 있는 피부에는 거의 예외없이 여드름, 사마귀, 종기, 점 따위가 생겨난다. 그래서, 동양의학에서는 인체의 경혈부위를 자극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거나 치료의 목적으로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침, 부항, 뜸, 침의 일단에 전기를 인가한다거나 저주파 등의 전기적 자극을 주는 다수의 방법이 민간요법 내지는 학술적 체계에 의하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전기적 자극을 인체에 가하여 치료를 하기 위한 기술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97550(1999. 2. 24 등록, 출원번호 10-1996-6387)호인 “운동기능복원용 전기자극장치 및 그 방법” 등과 같은 치료 목적의 물리치료기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의 치료 방법에는 양방치료와 한방치료가 있으며, 대부분 고혈압의 특성상 장기간 또는 평생 강압요법을 받아야만 한다. 한방치료에는 식이요법 및 식사요법, 그리고 증상에 따라 여러 가지 약재를 처방하는 치료방법이 있다. 한편, 양방치료의 경우에는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약물요법에 의해 약품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약품을 사용함으로서 동반되는 여러 가지 금기사항과 타 질환의 유무(有無) 및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혈압은 장기간 치료를 해야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은 향후 의학에서 풀어야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화약제품의 약물 요법과 비약물 요법을 병행하여 치료를 하고 있으며, 상기 비약물 요법은 자연요법으로서 주로 식이요법과 한방요법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식이요법은 주로 고혈압에 대한 합병증이 유발되기 전 예방차원에서 주로 이용된다. 또한 한방요법은 주로 경락학설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하여 1기 이상의 고혈압 환자들에게 주로 이용되는 요법이며, 이러한 한방요법에서 경락에 침 등에 의한 압박, 자극을 통하여 혈압강하시키게 된다. 이 학설은 1994년 6월 10일 태웅출판사에서 발행한 알기 쉬운 신라귀침요법(최국진 지음) 88면에서 92면에 나타난 내용을 보면 “귀의 특정부위(상기 서의 92면 도면참조, 본 고안에서는 귀부분의 경락이라 표현 됨)를 4∼5분 정도 압박자극을 가하면 고혈압환자의 혈압이 강하된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며, 또 1992년 4월 25일 발행된 도서출판 현대침구원의 경혈도(저자 이병국) 79면에 나타난 내장의 이개반응부위표를 보면 귀의 각 부위가 인체의 각 기관과 연계되어 있음이 기술되어 있고, 1994년 1월 20일 발행된 도서출판 해누리의 중국정통 침구학(지은이 최학광) 15면에 “침구요법이란 인체의 일정한 부위에 자침 혹은 시구로서 치료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말하며 이런 부위를 경혈이라 한다”라고 기술되어 있어 경혈에 대한 정의가 되어 있으며, 1998년 7월 15일에 문학풍경출판사에서 발행한 경락서각건강법(펴낸이 김윤석)의 13면에 “경락은 전신에 두루 분포되어 있는데, 인체의 기와 혈이 활동하는 데 중요한 통로가 되고, 인체의 각 부위와 서로 연결되는 순환계의 길이다”라고 경혈에 대한 성명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1994년 9월 10일 발행된 침구학(저자 최용태 외)의 1382면에는 고혈압치료에 적합한 경혈부위가 기술되어 있다.
침 등에 의한 압박, 자극에 의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학설이 다수 존재하고 현실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침을 대신하여 경혈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고혈압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4-22053호에는 귀와 조정기의 원통형 케이스 상의 이어폰잭 간을 접속하는 클립 및 와이어셋을 통해 인체의 생체전기를 받는 누름식 버튼에 의해 제어되는충방전 진동회로를 이용하여 혈압을 내리거나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조정기가 공개된 바가 있다.
한편, 전기자극에 의한 저주파 치료는,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예를들면 심장으로부터 발생하는 심전기, 뇌로부터 발생하는 뇌파, 신경이나 근육으로부터 발생하는 동작전기 등의 극히 미약한 전기, 이른바 신경전류를 전신에 흐르게 하여 몸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근육, 내장 및 신경의 조절,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의 촉진 등의 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은 누구나 심장으로부터 심전기가 발생하고 뇌로부터 뇌파가 발생하며, 신경과 근육에서 동작 전기가 발생한다. 즉, 신경 전류를 전신에 흐르게 하여 컨디션을 조정하거나, 근육과 내장, 신경의 조절 및 혈액 순환 신진대사의 촉진 등을 수행한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운동부족, 반복되는 일과로 해서 인체에 이상 신경 전류가 발생하여 근육관절염, 신경통 및 성인병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인 저주파 치료요법은 인체에 흐르는 신경 전류와 유사한 저주파 전류를 체내에 흐르게 하여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서 이상 신경 전류를 정상적으로 회복시켜 마비된 근육의 수축, 혈액순환 개선, 이완 운동을 시키거나 흥분된 신경을 진정시키며 통증을 제거한다. 또한, 인체의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피로를 풀어 주고 호르몬과 효소의 분비를 활발하게 촉진시킨다. 이 저주파 치료요법에 사용되는 저주파 발진기는 수∼수백Hz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며, 전기자극에 의해 마비근의 폐용성 위축을 예방하거나, 진통, 혈행개선을 위해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인은 인체의 이상 생체전위를 충ㆍ방전시켜 방법을 이용하여 이상 생체전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인체의 귀에 저주파 전기자극을 인가하여 이침효과를 얻음으로써 혈압을 낮출 수 있는 혈압강하기를 고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체와 접촉하는 충ㆍ방전회로와 인체의 귀에 접촉하는 저주파발생회로를 각각 마련하여 생체전위를 충ㆍ방전시켜 이상 생체전위를 방출시킴과 동시에 저주파를 인체의 귀에 인가하여 혈행을 개선시키는 복합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혈압을 강하시킬 수 있는 혈압강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안정화시키는 평활부로 이루어진 전원회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모드스위치로부터 입력된 모드전환신호에 의해 모드전환을 수행하고,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영상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일정 주기의 전기자극을 위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저주파발생신호를 출력시키고, 임의의 시간주기로하여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충ㆍ방전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회로; 생체전위의 충ㆍ방전상태, 배터리 잔량상태, 동작시간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마이컴회로로부터 출력된 저주파발생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캐소드단이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각각 게재시켜 임의의 전압비로 승압시키는 전압변환기로 이루어진 저주파발생회로; 상기 마이컴회로로부터 출력된 충ㆍ방전신호에 턴온/턴오프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상기 턴온/턴오프에 따라 충ㆍ방전이 이루어지는 제11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충ㆍ방전회로;를 포함하여 내재시킨 본체: 및 상기 저주파발생회로 및 충ㆍ방전회로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의 귀에 접속되는 집게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마이컴회로으로부터 출력된 부저신호를 입력받아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이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에 접속된 부저로 이루어진 경보회로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감지하여 해당 전압검출신호를 마이컴회로에 입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검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전압 검출회로를 더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압변환기로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70∼110 : 120∼170인 트랜스를 사용하거나, DC/DC 컨버터를 사용한다.
여기에, 상기 본체 임의의 회로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파지시 손가락과 접속되는 금속전극을 본체 외부에 형성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혈압강하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LCD에 현시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혈압강하기의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혈압강하기의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의 동작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로부터 출력되는 충ㆍ방전 신호와 저주파 신호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 초기사용과 사용종료직전의 파형을 각각 나타낸 파형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저주파발생회로에 사용되는 트랜스와 정전압IC와의 차이점을 출력파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3 : 집게잭
5 : 금속전극 7 : LCD
9 : 모드스위치 11 : 잭삽입구
100 : 전원회로 110 : 발진회로
120 : 마이컴회로 130 : 경보회로
140 : 배터리전압 검출회로 150 : 저주파발생회로
160 : 충ㆍ방전회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혈압강하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 외형에 있어서 큰 부품의 구성은, 내부회로를 보호하고 그 외부에 각각의 기능과 관련한 기능부들을 형성시키고 있는 본체(1)와, 이 본체(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체의 귀에 부착하는 집게잭(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좌측면에는 4개의 금속전극(5)이 설치되는데, 이 금속전극(5)은 사용자가 혈압강하기 본체(1)를 잡았을 때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감아쥘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금속전극(5)은 손가락을 통하여 인체에 축적된 이상 생체전위를 방전시키는 전극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전방으로는 혈압강하기의 상태 및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인 LCD(7)가 형성되어 있다. 이 LCD(7) 아래에는 혈압강하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드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상단으로는 혈압강하기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신호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집게잭(3)이 삽입 접속되는 잭삽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집게잭(3)은 상기 잭삽입구(11)에 삽입되는 잭(31)과, 이 잭(31)과 연결선(33)을 통해 접속되는 집게(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집게(35)는 양측의 귀에 부착하기 위해 2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기 위하여 전극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미세한 전류가 정확히 도전되도록 하는 동(銅)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LCD에 현시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LCD(7)의 구동은 모드스위치(9)가 눌려짐에 따라 작동되게 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회수에 따라 각기 다른 모드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의 제어동작 및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모드스위치(9)가 1회 눌려지게 되면, 전원공급과 동시에 혈압강하기의 초기화가 이루어진 후, 충ㆍ방전에 의한 생체전위방전 및 저주파 전기자극이 10분으로 설정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LCD(7)에 혈압강하기의 작동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시간표시영역(71)에는 작동시간 10분을 의미하는 '10min'이 출력되며, 이어서 시간이 경과되면서 숫자 10은 9, 8, ..., 1, 0으로 순차적으로 변경 표시되고, 배터리전압표시영역(73)에는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나타내기 위해 바형태로 디스플레이시키며, 혈압강하기의 전기적 신호가 전극들을 통하여 방전되는 방전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방전상태표시영역(75)에는 하트형상 및 그 내부의 펄스를 점멸시키고, 상기 방전상태를 차단하는 방전차단표시영역(77)에는 상기 방전상태표시영역(75)에 형성된 하트모양보다 작은 크기의 하트형상 및 그 내부의 펄스를 점멸시키게 된다.
한편, 모드스위치(9)가 2회 눌려지게 되면, 동작시간이 15분으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한 모드스위치가 1회 눌렸을 경우의 동작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모드스위치(9)가 3번 눌러지게 되면, 혈압강하기는 구동을 정지시켜 각 표시영역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오프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한 모드스위치(9)가 1회 및 2회 눌렸을 경우에 해당 동작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구동이 정지되어 모든 디스플레이 내용이 사라지게 된다. 이 때, 자동종료의 경우에는 종료 30초 전에는 주기적으로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혈압강하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는 전원회로(100), 발진회로(110), 마이컴회로(120),LCD(7), 경보회로(130), 배터리전압 검출회로(140), 저주파발생회로(150), 충ㆍ방전회로(1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원회로(100)는 LR03 1.5V 2개를 직렬로 연결한 배터리(BAT)와, 배터리(BAT)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안정화시키는 평활용 제1 캐패시터(C1)와, 제1 저항(R1)과 제2 캐패시터(C2)로 이루어져 리셋전원을 마이컴회로(120)에 공급하는 리셋부(1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캐패시터(C1)를 통해 안정된 직류전원은 마이컴회로(120)의 9번핀(VDD)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리센신호는 16번핀(RESET)을 통해 입력되게 된다.
상기 발진회로(110)는 제3 캐패시터(C3), 제4 캐패시터(C4), 크리스탈 발진기(Y1)로 구성되어 마이컴회로(120)에 발진주파수를 공급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용으로 32KHz를 사용한다.
상기 마이컴회로(120)은 상기한 각 회로에 신호를 입력받거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혈압강하기 전체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전원회로(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발진회로(110)로부터 공급된 32KHz 구동이 이루어지며, 모드스위치(9)로부터 입력된 해당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LCD(7) 구동을 위한 영상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경보회로(130)에 잔여시간 카운팅에 의한 부저신호를 출력하며, 임의로 정해진 해당 주기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저주파발생신호를 출력시키며, 임의로 정해진 해당 시간주기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충ㆍ방전신호를 출력시키며, 배터리(BAT) 잔량을 감시하는 배터리전압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저주파발생신호 및 충ㆍ방전신호의 주기를 조절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에 의한 스위칭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시간 카운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LCD(7)는 도 2에서 설명한 모드별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는 X축의 세그먼트전극과 Y축의 공통전극의 구동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액정을 이용한 통상의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한다.
상기 경보회로(130)는 마이컴회로(120)으로부터 출력된 부저신호에 의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이 제1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에 접속된 부저(BZ)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저(BZ)는 모드스위치(9)가 온될 경우에 부저음을 울리거나, 혈압강하기의 작동시간 종료 30초 전일 경우 주기적으로 부저음을 울리게 된다. 부저신호는 마이컴회로(120)의 24번핀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상기 배터리전압 검출회로(140)는 제1, 제2, 제3 전압검출부(141, 143, 145)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은 배터리(BAT)의 용량을 감지하며, 이들은 각각 2.9V, 2.5V 및 2.2V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VDD는 배터리(BAT)의 전압 상태를 검출한 후, 이를 각 전압검출부(141, 143, 145)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VDD에서 검출된 전압은 제1, 제2, 제3 전압검출부(141, 143, 145)로 보내지게 되며, 이때 배터리(BAT)의 전압이 2.9V, 2.5V, 2.2V보다 낮은 전압이 들어오면 0V에 해당하는 신호를 마이컴회로(120)의 25핀, 26핀, 27핀으로 보내지게 되며, 이어서 마이컴회로(120)은 상기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LCD(7)에 바형태로 표시되는 배터리전압표시영역(73)에 바의 개수를 통해 배터리(BAT)의 전압을 인지시킨다.
상기 저주파발생회로(150)는 마이컴회로(120)로부터 출력된 3V의 저주파발생신호에 의해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각 트랜지스터(Q2, Q3)의 컬렉터에 캐소드단이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각각 게재시켜 임의의 권선비 영역에 접속되는 트랜스(151)로 이루어져 있다. 이 트랜스(151)는 1차측과 2차측이 권선비 90 : 150의 비로 5V∼6V 저주파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 증폭된 저주파 신호를 집게로 전달하기 위해 잭삽입구(11)와 접속되게 된다.
상기 충ㆍ방전회로(160)는 마이컴회로(120) 20번핀에 접속되어 34초의 주기로 32초 동안 로우레벨 신호, 2초 동안 하이레벨 신호의 충ㆍ방전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4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턴온/턴오프에 따라 충ㆍ방전이 이루어지는 제11 캐패시터(C11)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제4 트랜지스터(Q4)에서 32초 동안 LOW 신호를 받아 제4 트랜지스터(Q4)가 OFF되어 정지상태를 유지, 2초 동안 HIGH 신호를 받아 제4 트랜지스터(Q4)가 ON되어 동작 상태 유지하게 된다. 즉, 제4 트랜지스터(Q4)가 정지상태시 제11 캐패시터(C11)에서 32초 동안 이상 생체전위가 충전되며, 동작상태시 제4 트랜지스터(Q4)를 통해 2초 동안 축적된 생체전위가 방전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혈압강하기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회로도는 도 3과 비교하여 저주파발생회로(150')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도 3의 트랜스(151) 대신 정전압IC(151') MAX681를 사용하고 있다. 이 MAX681은 DC/DC 컨버터(Converter)로서, 트랜스(151)에서의 불규칙한 저주파자극 신호를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는 도 8에서 트랜스(151)와 정전압IC(151')와의 비교를통해 쉽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3V의 주기적 저주파 신호는 MAX681 DC/DC 컨버터칩을 통해서 약 5V∼6V 저주파 신호를 증폭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의 작동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포함하여 이하에서 제시하는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드스위치(9)를 누르면(S1), 전원이 혈압강하기 회로전체에 공급됨과 동시에 마이컴회로(120)에서 초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2). 이 초기화과정에서 각 회로의 인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BAT)의 용량 체크 등의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이 초기화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제1 모드 실행신호를 마이컴회로(120)에서 출력시켜 셋팅된 제1 모드의 프로그램과정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S3). 즉, 충ㆍ방전회로(160)에서 34초를 주기로 하여 32초 동안 충전이 이루어지고, 2초 동안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저주파발생회로(150)에서는 저주파 발생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4). 이에 따라, 귀에 집게를 물려놓은 상태에서 인체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지게 된다. 여기서, 충ㆍ방전 신호 및 저주파 신호는 충ㆍ방전회로(160) 및 저주파발생회로(150)와, 집게잭(3), 인체의 귀 및 손가락과, 금속전극(5)이 폐회로를 형성하여 인체로 인가되는 것이다. 한편, LCD(7)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표시영역에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충ㆍ방전 및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모드스위치(9)가 눌려졌는가를 판별한다(S5). 모드스위치(9) 입력여부 판별결과, 모드스위치(9)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진행하게 되고, 모드스위치(9)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다음으로 제1 모드의 구동시간인 10분을 기준으로 하여 종료 30초전인가를 판별한다(S6). 종료 30초전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상기 단계 S4로 진행하여 충ㆍ방전 및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계속 수행하고, 종료 30초 전이라고 판별되면 종료 30초 동안 부저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킨다(S7). 이 부저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종료전임을 인지시키게 하고, 혈압강하기의 계속 사용여부를 선택하게 한다. 이와 같이, 부저음이 발생하고 있는 도중에도 모드스위치(9) 입력여부를 판별하여(S8) 모드스위치(9)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진행하게 되고, 모드스위치(9)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구동후 10분에 이르는 시점에서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구동을 정지시킨다(S9).
한편, 상기 단계 S5와 단계 S8에서 2번째로 눌려진 모드스위치 입력신호가 마이컴회로(120)에 입력되게 되면 마이컴회로(120)에서 제2 모드 실행신호를 출력시켜 셋팅된 제2 모드의 프로그램과정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S10). 즉, 충ㆍ방전회로(160)에서 34초를 주기로 하여 32초 동안 충전이 이루어지고, 2초 동안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저주파발생회로(150)에서는 저주파 발생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11). 이에 따라, 귀에 집게를 물려놓은 상태에서 인체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지게 된다. 이 과정은 제1 모드의 과정과 동일하며 차이점이 있다면 단지 구동시간에 차이가 있다.
한편, 충ㆍ방전 및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모드스위치(9)가 눌려졌는가를 판별한다(S12). 모드스위치(9) 입력여부 판별결과, 모드스위치(9)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3번째로 입력되는 스위치신호이므로 마이컴회로(120)에서 전원을 오프시켜 구동을 정지시킨다(S13). 한편, 모드스위치(9)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다음으로 제2 모드의 구동시간인 15분을 기준으로 하여 종료 30초전인가를 판별한다(S14). 종료 30초전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상기 단계 S11로 진행하여 충ㆍ방전 및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계속 수행하고, 종료 30초 전이라고 판별되면 종료 30초 동안 부저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킨다(S15). 이 부저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종료전임을 인지시키고 구동후 15분에 이르는 시점에서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구동을 정지시킨다(S16). 이 때, 제2 모드 실행부 종료를 알리는 부저음을 듣고서 모드스위치(9)를 누를 경우에는 3번째 모드스위치(9) 입력이 되므로 자동종료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으므로 굳이 모드스위치(9)의 입력여부를 판별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로부터 출력되는 충ㆍ방전 신호와 저주파 신호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ㆍ방전 신호와 저주파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므로 두 개의 파형으로 구분되어지게 된다.
충ㆍ방전 부분은 고혈압환자의 생체전위를 충전 또는 방전을 하는 부분이다. 파형의 T1 부분이 충전구간이며 충전시간 32초동안 환자의 생체전위를 축적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짧은 시간동안에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파형의 T2 부분이 방전구간이며, 다시 충ㆍ방전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이 파형에서는 충전전압이 약 100mV가 최고치로 나타나는데 만약 중증 환자일수록 전압(S0)은 높게 나타난다.
저주파자극 부분은 귀의 경혈점을 자극하는 부분으로 4초 간격으로 동작을 하게된다. 즉, 4초 동안은 자극을 하고 다음 4초에는 자극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파형은 zero line를 기준으로 하여, (+)구간(한쪽 귀)과 (-)구간(다른 한쪽 귀)이 거의 대칭을 이루는 교류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자극이 정상인에게는 심한 고통이 될 수도 있으나, 중증 고혈압환자는 그렇지 않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 초기사용과 사용종료직전의 파형을 각각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7a는 혈압강하기 사용직후의 파형이고, 도 7b는 사용후 종료 1분전 파형이다. 비교를 통해, 혈압강하기의 사용직후에는 고혈압환자의 생체전위(S1)가 높았으나 사용후 종료 1분전 파형에서는 생체전위(S2)가 급격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생체전위의 충ㆍ방전 및 저주파를 이용한 이침요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혈압을 낮추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저주파발생회로에 사용되는 트랜스와 정전압IC와의 차이점을 출력파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트랜스(151)를 이용할 경우에 출력되는 파형이고, 도 8b는 정전압IC(151')를 이용할 경우에 출력되는 파형이다. 트랜스(151)에 의한 출력파형은 트랜스(151)의 유도작용에 의한 잔류전압의 영향으로 주기적 이상전압이 발생하고 있으며, 트랜스(151)의 특성에 따라 유동적인 면도 있다. 이러한 이상전압은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장시간 사용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인체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트랜스(151)를 대신하여 정전압IC(151')인 DC/DC 컨버터를 사용하게 되면 일정한 크기의 출력전압을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류제한회로에 의하여 인체자극을 위한 전류에 의한 마이크로 쇼크를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혈압강하기는, 고혈압과 비례하여 상승하는 이상 생체전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저주파를 인체의 귀에 인가하여 혈행을 개선시킴으로써 복합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1기, 2기를 포함하는 중증 고혈압 환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형상이 파지에 용이하게 제조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혈압강하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모드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간편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배터리(BAT)와, 상기 배터리(BAT)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안정화시키는 평활부로 이루어진 전원회로(100);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110);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모드스위치(9)로부터 입력된 모드전환신호에 의해 모드전환을 수행하고,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영상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일정 주기의 전기자극을 위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저주파발생신호를 출력시키고, 임의의 시간주기로하여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충ㆍ방전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회로(120);
    생체전위의 충ㆍ방전상태, 배터리 잔량상태, 동작시간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
    상기 마이컴회로(120)로부터 출력된 저주파발생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각 트랜지스터(Q2, Q3)의 컬렉터에 캐소드단이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각각 게재시켜 임의의 전압비로 승압시키는 전압변환기로 이루어진 저주파발생회로(150);
    상기 마이컴회로(120)로부터 출력된 충ㆍ방전신호에 턴온/턴오프되는 제4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턴온/턴오프에 따라 충ㆍ방전이 이루어지는 제11 캐패시터(C11)로 이루어진 충ㆍ방전회로(160);를 포함하여 내재시킨 본체(1): 및
    상기 저주파발생회로(150) 및 충ㆍ방전회로(16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의 귀에 접속되는 집게잭(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강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회로(120)으로부터 출력된 부저신호를 입력받아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이 제1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에 접속된 부저(BZ)로 이루어진 경보회로(130)를 더 마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강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AT)의 용량을 감지하여 해당 전압검출신호를 마이컴회로(120)에 입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압검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전압 검출회로(140)를 더 마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강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변환기는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70∼110 : 120∼170인 트랜스(1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강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변환기는 DC/DC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강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임의의 회로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파지시 손가락과 접속되는 금속전극(5)을 본체 외부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강하기.
KR2020020005168U 2002-02-21 2002-02-21 혈압강하기 KR200276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68U KR200276503Y1 (ko) 2002-02-21 2002-02-21 혈압강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68U KR200276503Y1 (ko) 2002-02-21 2002-02-21 혈압강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503Y1 true KR200276503Y1 (ko) 2002-05-24

Family

ID=7311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168U KR200276503Y1 (ko) 2002-02-21 2002-02-21 혈압강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5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28B1 (ko) 2006-04-26 2007-11-28 주식회사 예림엘앤아이 인체의 특정부위 치료를 위한 저주파 마사지기
CN106823144A (zh) * 2017-03-21 2017-06-13 广州润悦生物科技有限公司 中低频治疗仪
KR20230047681A (ko) *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단일의 입력스위치를 가지는 성장판 복합 자극기의 제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28B1 (ko) 2006-04-26 2007-11-28 주식회사 예림엘앤아이 인체의 특정부위 치료를 위한 저주파 마사지기
CN106823144A (zh) * 2017-03-21 2017-06-13 广州润悦生物科技有限公司 中低频治疗仪
CN106823144B (zh) * 2017-03-21 2023-08-22 广州润悦生物科技有限公司 中低频治疗仪
KR20230047681A (ko) *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단일의 입력스위치를 가지는 성장판 복합 자극기의 제어장치
KR102560173B1 (ko) * 2021-10-01 2023-07-26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단일의 입력스위치를 가지는 성장판 복합 자극기의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380B2 (en)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with pulse control
US6675048B2 (en) Electro-medical device for use with biologics
US20100145410A1 (en) Microcurrent and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or for control of anxiety, insomnia, depression and pain
JPH0345740Y2 (ko)
JPH0367421B2 (ko)
US7991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timulate cell initiated nitric oxide (NO) activation, interstitial protein clearance, and angiogenesis
CN109475740B (zh) 电刺激治疗仪
CN102215908A (zh) 通过电处理减轻肌紧张的方法和设备
JP6837504B2 (ja) 電気治療装置
JP6488499B1 (ja) 電気刺激治療器
KR200276503Y1 (ko) 혈압강하기
KR100310305B1 (ko) 휴대형 전기 자극기
EP1911491A1 (en) Healthcare device for electrostimulation
KR20180101909A (ko) 경근골 에너지기기
KR200315605Y1 (ko) 경혈탐측형 혈압강하기
KR101396191B1 (ko)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JP7469745B2 (ja) 身体の運動機能障害を回復させる電流刺激装置
EP3883639B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applying frequency and peak voltage having inverse relationship
RU57606U1 (ru) Электронейростимулятор (варианты)
CN1065443C (zh) 乐曲仿生低频电子睡眠仪
KR200335308Y1 (ko) 휴대용 비만 관리 장치
Miskon et al. 2-channel defence Transcutaneous Electrical Stem Stimulator (DTES)
CN113769264A (zh) 一种直流低频电疗仪
WO2023053148A1 (en) Wearable device to provide simultaneous relief from menstrual pain and cramp discomfort using dual frequency
KR200279568Y1 (ko) 저주파 치료기기의 저주파 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