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494Y1 -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 Google Patents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494Y1
KR200276494Y1 KR2020020004906U KR20020004906U KR200276494Y1 KR 200276494 Y1 KR200276494 Y1 KR 200276494Y1 KR 2020020004906 U KR2020020004906 U KR 2020020004906U KR 20020004906 U KR20020004906 U KR 20020004906U KR 200276494 Y1 KR200276494 Y1 KR 200276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hort
output
pul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학자
조정순
Original Assignee
한학자
조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학자, 조정순 filed Critical 한학자
Priority to KR2020020004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4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494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선작용이 없는 양극(+)과 음극(-) 또는 다극(+, -, +, -, +, 등)의 맥동전류를 발생하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체의 비정상적인 부위를 찾아 농축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제거하고 조절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위 차의 조절을 통해 세포 조직을 정상적으로 재생시켜 각종 질병을 퇴치하고 예방하여 인간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비합선 양극(兩極) 전기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양극(兩極) 또는 다극을 사용하여, 치료범위를 확대하고 치료시간을 단축하며 환부 상태에 따른 양극 또는 다극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회로부와 펄스 발생 주파수를 조절하여 발진주파수신호를 양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 발생부가 각각의 극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펄스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극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출력단에 저항과 삼각파형 발생기 또는 펄스파형 발생기를 구비하는 양극 출력부와 작동 시간을 나타내어 작동시간을 표시하고 제어하며 알람기능이 있는 작동시간 제어부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들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어 다극을 구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ELECTROTHERAPY DEVICE CAPABLE OF USING TWO POLES SIMULTANEOUSLY WITHOUT SHORT}
본 고안은 전기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양극(+)과 음극(-) 또는 다극(+, -, +, -, +)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비합선은 치료기에서 유출되는 양극(+), 음극(-), 그리고 이들 양극(+)과 음극(-)이 동시에 여러개 적용되는 다극 중에서 어떤 극성끼리든 동시에 서로 접선 시켰을 때에도 합선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인체의 피부 조직에 양극(+)과 음극(-) 또는 다극을 동시에 사용하여도 합선 작용이 없으므로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인체 병변부위에는 대사산물로 생긴 불완전 상태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있는데 양이온은 양이온끼리 뭉쳐 증대되고 음이온은 음이온끼리 뭉쳐서 증대된다. 이들이 정상적인 혈류 흐름을 방해하여 어혈과 울혈의 원인이 되고, 영양물질과 산소 공급 등을 원활치 못하게 하여 모세혈관과 신경조직을 압박한다. 이러한 병변부위는 병균의 서식처가 되어 모든 병의 근원이 된다. 세포막 안과 밖에도 음이온과 양이온이 과다하게 쌓이면 전위 차가 높아지게 되고 긴장도가 높아져서 질병의 원인이 된다.
상기한 불완전한 상태의 이온들이 같은 극성끼리 뭉치게 되는 이유는 그들 자체가 필요로 하는 상대 즉, 전자나 양자를 얻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다. 이것은자기의 상대되는 극성을 얻기 전에는 그 자체가 불완전하므로 같은 극성끼리 뭉쳐 증대되고 자기의 상대 극성을 얻게된 후에는 같은 극성끼리는 밀어내는 물리화학 작용의 법칙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치료기에서 발생되는 전자, 양자는 인체의 병변부위의 불완전한 상태의 이온들과 이성성상(二性性相)적으로 수수(授受)작용을 통해 결합과 중화 및 용해를 촉진시켜 이온간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불완전한 상태의 이온간에 균형이 잡히면 질병 부위에 있는 염증성 산물의 용해가 촉진되고, 세포와 조직은 정상적으로 재생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치료기에서 발생되는 요소와 인체의 불완전한 상태의 이온들이 결합과 중화되는 과정에서 순간적인 중화열이 생기는데 그 때에 살균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인체 자체의 조절기능과 면역기능을 회복할 수 있으며 질병을 퇴치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전기치료기는 직류(DC), 교류(AC), 맥동전류(PC) 등을 활용하여 물리치료기(고주파, 중주파, 저주파) 등을 사용하여 왔는데, 종래의 전기치료기 자체에서 유출되는 양극(+)과 음극(-)은 서로가 친화적인 상대적 관계이므로 인체를 도체로 하여 합선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인체의 질병부위와는 수수관계를 갖지 못하고 전기의 도체 역할만 하게되어 질병의 원인 물질은 제거되지 못했다. 따라서 종래의 치료기로는 열이나 진동 및 자극에 의한 일시적인 물리적 효과 이상은 얻을 수 없었으며 오히려 인체에 위험을 주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단극(單極) 치료기가제시되었으나, 이는 전기의 양극(兩極) 중에서 단극만을 사용함으로 인체 내에 일방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오히려 인체 조직과 세포 내에 전위의 불균형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치료기들은 질병의 근원이 되는 이온의 불균형을 바로잡아 주지 못해 질병치유라는 소기의 목적을 이루기 어려웠다. 전기의 합선작용에 의한 전기적 순간쇼크와 신체조직의 전기화상 등으로인한 부작용이 발생되어 전기치료기를 기피하는 현상까지 있어서 질병치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전기치료기들의 치료효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극이나 다극을 사용하여도 서로간에 합선작용이 없어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극의 갯수를 최대한 늘려서 치료시간을 단축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인체조직과 세포막 안과 밖에 과다하게 편중되어 있는 질병의 원인 물질인 불완전 상태의 이온들을 결합하여 중화되게 함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질병의 근원을 제거하여 질병을 퇴치, 예방하여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합선 양극(兩極) 전기치료기의 개략도,
도 2(a) 내지 (c)는 본 고안에 따른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의 구동 회로도로서, 도 2(a)는 전원부, 도 2(b)는 펄스 발생부, 도 2(c)는 양극 출력부,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의 외관 구성 예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에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치료부의 일 구성 예시도,
도 3(c)는 본고안의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에 의한 인체의 질병 치료시의 상태도,
도 4는 3개 병렬 배열한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의 전체적인 구성로서, 도 4(a)는 병렬연결 회로의 개략도, 도 4(b)는 외관의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부 110, 120: 출력전압 조절부
20: 펄스 발생부 210, 220: 출력주파수 조절부
30: 양극 출력부 310, 320: 삼각파형 발생부
40: 작동시간 제어부 50: 치료부
50`: 치료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비합선 양극(兩極) 전기치료기는,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10)와, 펄스 발생 주파수를 조절하여 소정의 고전압 발진 주파신호를 양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 발생부(20)와, 상기 펄스 발생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극을 선택할 수 있는 양극 출력부(30)와, 작동 시간을 제어하고 알람기능이 있는 작동시간 제어부(40)로 이루어지는 전기치료기에서, 상기 전원회로부(10)와 펄스회로부(20)가 각 극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양극출력부(30)의 출력단에 저항과 삼각파형 또는 펄스파형 발생기를 가짐으로써 합선을 방지하고, (+)(-), (-)(-), (+)(+)의 두 극 선택이 동시에 가능하며, 상기 전원부(10), 펄스 발생부(20), 양극출력부(30)와 작동 시간 제어부(40)가 병렬로 다수개 연결됨으로써 극을 동시에 두개 이상 다수개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가 합선되지않는 주된 이유로는 상기 전원회로부(10)와 펄스회로부(20)가 각 극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양극 출력부(30)의 출력단의 한쪽 극에는 저항을 붙여 속도를 느리게 하며 다른 쪽 극에는 삼각파형 발생기 또는 펄스파형 발생기를 달아 출력파에 변화를 주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원부(10), 펄스 발생부(20), 양극출력부(30), 그리고 상기 양극 출력부(30)의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작동시간 제어부(40)로 이루어진 비합선 양극(兩極) 전기치료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상기 전원부(10) 회로 구성도로서, 110V/220V 전원선택스위치(SW1)와, 도 1 비합선 양극 전기 치료기의 출력단자(L1)로 연결되는 변압기(T1) 회로와, 이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는 또 다른 출력단자(L2)로 연결되는 변압기(T3)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단자(L1)으로 연결되는 회로에서, 변압기 (T1)의 1차측에는 전원스위치 (SW2), 퓨우즈 (F1)가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T1)의 2차측의 한 가지는 브릿지 다이오드(BD1), 콘덴서(C1, C2), 레귤레이터(IC1)를 연결하여 직류전원(Vcc1)이 출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압기(T1)의 2차측의 또 다른 가지는 브릿지 다이오드(BD2), 콘덴서(C3~C6), 정전압 집적소자(IC2), 트랜지스터 (TR1), 저항(R1~R5)의 연결로 직류전원(B+1)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콘덴서 C4, C5와 저항 R1, R2는 정전압용 집적소자(IC2)에 사용되는 사양이다.
상기 출력단자(L1)의 변압기(T1)회로와 병렬로 연결된, 출력단자(L2)로 연결되는 변압기(T3)회로는 출력단자(L1)의 변압기(T1)회로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2의 (b)는 펄스 발생부(20)의 회로도로서, OUT1을 출력으로 하는 회로는 저항 (R6, R7), 콘덴서(C7), 인버터(I1~I3), 그리고 가변저항기(VR2)의 상호 연결로 되어있고, OUT2을 출력으로 하는 회로는 저항 (R19, R20), 콘덴서(C15), 인버터 (I4~I6), 그리고 가변저항기(VR4)가 상호 연결된 구성이다.
도 2의 (c)는 (+)(-), (+)(+), (-)(-)와 같은 식으로 2극을 출력시킬 수 있는 양극 출력부(30)의 회로도로서, 상기 펄스 발생부(20)의 발진주파수 출력신호 (OUT1)가 입력단자(IN1)에 인가되고, 변압기(T2)의 1차측에는 다이오드(D1, D2), 저항(R8~R12), 콘덴서(C8) 그리고 전압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트랜지스터 (TR2, TR3)가 연결되며, 상기 변압기(T2) 2차측에는 저항(R13), 삼각파형 발생부 1(310)와 극 선택 스위치(SW3)가 연결되어 출력단자(L1)로 선택된 극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같은 방법으로 입력단자(IN2)에는 상기 펄스 발생부(20)의 발진 주파수 출력신호(OUT2)에서 나온 신호가 인가되고, 변압기(T4)의 1차측에는 다이오드(D3, D4), 저항(R21~R25), 콘덴서(C16) 그리고 전압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트랜지스터(TR5, TR6)가 연결되며, 상기 변압기(T4) 2차측에는 저항(R26), 삼각파형 발생부 2(320), 극 선택 스위치(SW5)가 연결되어 출력단자(L2)로 선택된 극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도 3(a)의 구성을 살펴보면, A는 전원입력단자, B는 도 2(a)의 전원선택스위치 (SW1)를 작동하여 110V나 220V 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며, E1, E2는 각각 도 2(a)의 SW2,SW4를 ON하면 전원이 들어오게되는 전원스위치이다.
F1, F2는 각각 도 2(a)의 출력전압조절부 1(110)의 가변저항(VR1)과 출력전압조절부 2(120)의 가변저항(VR3)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출력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며, G1, G2는 각각 도 2(b)의 펄스발생부(20)의 출력주파수 조절부 1(210)의 가변저항(VR2)과 출력주파수 조절부 2(220)의 가변저항(VR4)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300 Hz~500 Hz를 선택할 수 있는 출력 주기 조절기이다.
H1, H2는 0에서 60분까지 수동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의 작동 시간을 정할 수 있는 작동 시간 설정기이고, J는 상기 작동 설정 시간이 끝나는 것을 알려주는 알람이다. 그리고, K1~K2은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위한 양극(+)이나 음극(-)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상기 K1스위치를 예로 들어, K1스위치로 극을 선택함에 따라서 도 2(c) 양극 출력부(30)의 SW3이 작동하여 양극출력부(30)의 극이 선택된다. L1, L2는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위한 전압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고안의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에 적용될 수 있는 치료봉을 구비한 치료부의 일 구성 예시도로, 상기 치료부(50)는 출력단자(L1~L6)와 연결하여 두극을 동시에 인체에 접촉시켜 치료하기 쉽도록 2개의 둥근 치료봉(50`)을 갖추고 있다.
도 3(c)는 본고안의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에 의한 이온 조화에 의하여 인체의 질병이 치료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인체 내에 농축되어 있는 음이온에 치료부(50)에 구비되는 치료봉(50`)의 (+)전극을 접촉시키면 인체내의 농축된 음이온이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치료부(50)에서의 치료봉(50`)의 (-)전극을 접촉시키면 인체내에 농축되어 있는 양이온에 스며들어 상호 중화되어 질병을 치료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는 3개의 병렬구성한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의 개략도로, L1~ L6는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1~3)의 출력단자이다.
도 4(b)는 3개 병렬배열한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외관의 구성 예시도로, 도 3의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하나의 외관 구성예시도에서 더 확대된 것이다. A는 전원입력단자, B는 110 V/220 V 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며, E1~ E6는 비합선 양극 전기 치료기(1,2,3)의 각각의 출력단자(L1~ L6)회로에 전원이 들어오는 전원스위치이다. F1~ F6은 출력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며, G1~ G6는 출력 주기 조절 스위치이다.
H1~ H6은 출력의 작동 시간을 정하는 작동시간 설정기이고 J는 상기 작동 설정 시간이 끝나는 것을 알려주는 알람이다. 그리고, K1~K6은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위한 양극(+)이나 음극(-)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며, L1~L6은 비합선 다극 전기치료기를 위한 전압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0)는 전원 선택 스위치(SW1)에서 110V 또는 220V의 교류 전원을 선택한 후, 전원스위치(SW2, SW4)를 ON하면변압기(T1, T3)의 2차측에는 소정의 전원이 유기된다. 이 유기 전원은 기판전원 (Vcc1, Vcc2)을 제공하기 위해서 브릿지 다이오드 (BD1, BD3) 및 평활용 콘덴서(C1, C9)를 통해 정류되어 입력전원보다 낮지만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IC1, IC3)에 인가된다. 또한 변압기(T1, T3)의 2차측에는 유기된 상기 전원은 소정의 직류전원(B+1, B+2)을 출력하기 위해 브릿지 다이오드(BD2, BD4)를 지나 콘덴서(C3, C11)를 통하여 정전압 집적회로(IC2, IC4)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 TR4)를 가변시켜고 출력전압 조절부(110, 120)의 가변저항(VR1, VR3)을 조절하여 소정의 직류전원(B+1, B+2)을 출력시킨다. 상기 직류전원(B+1, B+2)은 도 2(c) 양극출력부(30)의 변압기(T2, T4)의 1차측에 공급된다.
도 2의 (b)는 펄스 발생부(20)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저항(R6, R7, R19, R20), 콘덴서(C7, C15), 인버터(I1~I6)에 의해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출력주파수 조절부(210, 220)의 가변 저항(VR2, VR4)을 조절하여 발생한 발진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된 상기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신호는 각각 출력단(OUT1, OUT2)을 통해 도 2의 (c)에 도시된 양극 출력부(30)의 입력단(IN1, IN2)에 인가된다.
상기의 양극 출력부(30)에 인가된 상기 발진주파수를 갖는 펄스신호는 다이오드(D1, D3)를 거쳐 파형 정형된 후 트랜지스터(TR2, TR3, TR5, TR6)에 의해 증폭되어 변압기(T2, T4)의 1차측에 가해진다. 상기 변압기(T2, T4)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양극(+)쪽의 저항(R13, R26)과 음극(-) 쪽의 삼각파형 발생부(310, 320)로 연결되고 양극 출력 선택 스위치(SW3, SW5)의 조작으로 극성이 선택되어 각 출력단자 (L1~L6)을 통해 출력된다.
도 4(a)는 상기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병렬로 3개를 배열한 것으로, 도 1의 전원 스위치(E1~ E6)를 ON하고 출력전압조절기(F1~ F6)와 출력주기조절기(G1~ G6), 극 선택 스위치(K1~K6), 작동 시간 설정기(H1~H6)를 조절하여서 다수개의 극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는 전원부와 펄스 발생부가 각 극마다 개별로 구비되며, 양극 출력부(30)의 극 선택 스위치(SW3, SW5) 앞의 각각의 (+)극에는 저항(R13, R26)이, 각각의 (-)극에는 삼각파형 발생부(310, 320)가 있어 어떤 극이 선택되어 출력되더라도 서로의 극간에 전압차와 출력파형의 시간차가 생기게되고 파형이 변화되어 서로 틀리기 때문에 종래의 전기치료기에서 단점으로 지적된 합선의 위험이 없다. 도 2(c)에서는 두개의 출력단의 (+)극 저항을, (-)극에 삼각파형 발생부를 연결한 것을 예로 보여주었지만, 그 배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두개의 출력단 각각의 (+)극에 삼각파형 발생부를, (-)극에 저항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출력단의 (+)극에 저항을, (-)극에 삼각파형 발생부를 배치하고, 다른 출력단의 (+)극에 삼각파형 발생부를, (-)극에 저항을 배치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극과 (-)극 바꿔서 구성할 수도 있다. 삼각파 또는 펄스파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 도 4(a)에서, 3개 병렬 배열한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실시예로 들었으나, 갯수가 제한된 것이 아니므로 그 크기가 허락하는 한도에서 3개 이상의 양극 전기치료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 변압기(T1)앞의 회로에서 병렬구성하였으나, 앞으로 더 연구하여 회로를 간소화시키면 비합선 양극 전지 치료기의 극 갯수가 늘어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극의 출력회로마다 전원부와 펄스 발생부를 따로 배치하고, 출력단에 저항과 삼각파 또는 펄스형 발생기를 구성함으로써 생기는 두 극의 시간차 및 파형의 변화를 이용하여, 종래의 전기 치료기에서 기대되었던 물리적 효과 뿐만 아니라 합선으로 인한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양극(兩極)을 사용하여, 전위조성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발병 요소를 제거하고 비정상적인 환부에 필요에 따라 양극 또는 다극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부위별, 질환별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량에 따라 가정에서는 출력 극 갯수가 2개인 비합선 양극 치료기를 사용할 수 있고, 병원같이 필요 사용량이 많은 곳일 경우 출력 극의 갯수가 2개 이상인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환자를 동시에 치료하고, 한명의 환자일지라도 질환의 여러 부분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어 종래의 치료시간을 몇 배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10)와, 펄스 발생 주파수를 조절하여 소정의 고전압 발진 주파신호를 양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 발생부(20)와, 상기 펄스 발생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극을 선택할 수 있는 양극 출력부(30)와, 작동 시간을 제어하고 표시하며 알람기능이 있는 작동시간 제어부 (40)로 이루어지는 전기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부(10)와 펄스 발생부(20)가 각각의 극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양극출력부(30)의 출력단에 저항과 삼각파형 또는 펄스파형 발생기 를 구비함으로써 합선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각 극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전원부(10), 펄스발생부(20)와 출력단에 저항과 삼각파형 발생기 또는 펄스파형 발생기를 구비한 양극 출력부(30)가 작동시간 제어부(40)와 함께 병렬로 다수개 연결됨으로써 다수개의 극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2020020004906U 2002-02-19 2002-02-19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200276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06U KR200276494Y1 (ko) 2002-02-19 2002-02-19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06U KR200276494Y1 (ko) 2002-02-19 2002-02-19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257A Division KR100483970B1 (ko) 2002-02-15 2002-02-15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494Y1 true KR200276494Y1 (ko) 2002-05-24

Family

ID=7311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906U KR200276494Y1 (ko) 2002-02-19 2002-02-19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4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102A (ko) * 2002-06-24 2004-01-03 박기권 상이주파수 분지출력형 다용도 치료기
KR100505212B1 (ko) * 2002-11-29 2005-08-03 한학자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102A (ko) * 2002-06-24 2004-01-03 박기권 상이주파수 분지출력형 다용도 치료기
KR100505212B1 (ko) * 2002-11-29 2005-08-03 한학자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61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био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ускорения заживления и облегчения болевых ощущений
US8983621B2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US20170056643A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using novel unbalanced biphasic waveform and novel electrode arrangement
US9220894B1 (en) Overshoot waveform in micro current therapy
KR20160143254A (ko) 다중 안전장치가 구비된 고주파 열 치료 및 저주파 자극 치료 겸용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KR100505212B1 (ko)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KR200276494Y1 (ko)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100483970B1 (ko)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100298759B1 (ko)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US7363088B2 (en) Human-body potential controlling electrotherapeutic device
US9889296B2 (en) Signal adjustment for electrotherapy
KR20190067547A (ko) 저주파 전기 자극 치료기
KR20030065264A (ko) 편차전압 출력 치료기
KR200325871Y1 (ko) 고주파 의료기 회로
US20160144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biphasic waveforms
US20160059020A1 (en) Battery pack for electrotherapy devices
RU2149040C1 (ru) Электростимулятор
KR20170055369A (ko) 저주파 전기 자극 효과를 갖는 고주파 치료기
KR20040000102A (ko) 상이주파수 분지출력형 다용도 치료기
KR200328964Y1 (ko) 위상 차이가 있는 전기 침들의 장치
CN116726393A (zh) 一种电荷平衡系统
RU20055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анальгезии
WO2023224479A1 (en) An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ystem for stimulating one or more nerves of a mammal with an electrical signal
SU1567212A1 (ru) Электростимул тор
RU1813002C (ru) Аппарат дл электр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