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63Y1 - 휴대용 바둑판 - Google Patents

휴대용 바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63Y1
KR200276263Y1 KR2020010040058U KR20010040058U KR200276263Y1 KR 200276263 Y1 KR200276263 Y1 KR 200276263Y1 KR 2020010040058 U KR2020010040058 U KR 2020010040058U KR 20010040058 U KR20010040058 U KR 20010040058U KR 200276263 Y1 KR200276263 Y1 KR 200276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checkerboard
support
recorder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이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규 filed Critical 이명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63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바둑돌을 삼각형 회동체에 부착하여 바둑판에 장치한 바둑판이 안출되었으나 바둑돌들 사이가 너무 멀게 되는 애로를 타개하지 못하여 실용화 하지 못하였었다.
본 고안은 회동체가 360도 회전을 120도씩 3단계로 분활 회동케 하는 탄봉구(彈捧具)를 회동체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종래의 애로를 타개 하고 바둑돌이 촘촘히 놓이게 하는 기술을 구성하였으므로 이를 휴대용 바둑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바둑판{omitted}
본 고안은 바둑돌을 출몰 시킬 수 있는 바둑판을 구성하여 동요하는 기차나 선박 또는 항공기 내에서 바둑을 둘 때 바둑돌이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아니하여 실내에서와 같이 바둑을 즐길 수 있으므로서 어디에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바둑을 둘 수 있는 휴대용 바둑판을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바둑판에 361개의 구멍을 뚫으고, 그 구멍에다 흑백의 바둑돌과 바둑판의 십자형 집(家)표를 삼각형 회동체의 삼면에 각각 설치하여 이를 회동 시키므로서 바둑판에서 바둑돌을 출몰 시키려는 고안이 나왔었으나 실용화 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삼각형 회동체를 축설한 횡축상에서 일회전을 3등분하여 120도씩 세번에 한바퀴를 회동하게 하는 탄설 장치로 정확히 120도 마다 정지시키는 탄지(彈持)작용을 시키는 장치를 바둑돌의 좌우에 나란히 설치하니까 바둑돌과 돌 사이가 넓게 벌어지므로 바둑돌 사이가 멀어져서 바둑돌 들이 놓인 상태가 엉성하고 섬사하여 기사들의 애용을 받지 못하며 바둑판이 공지의 실내용 바둑판 보다 현저하게 커지는 폐단이 있고, 그들 폐단을 해소할 기술이 개발되지 못하므로서 출몰식 바둑돌을 활용하지 못하고 그들 고안자들은 모두 도중하차 한 상태이고, 편리하게 구성된 휴대용 바둑판이 출현되기를 요망하는 상태이다.
본 고안은 삼각형 회동체의 좌,우 양면에는 흑돌과 백돌을 부착하고 상면에는 십자형 집표를 기록한 회동체를 횡축에 유삽하고 이것을 120도 회동하면 정지 시켰다가 다시 120도씩 회동하게 탄지하는 장치를 삼각형 회동체 내부에 장치하여 이러한 탄지 작용을 하는 장치가 바둑돌과 돌 사이를 멀게 구성할 수 밖에는 없게 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바둑판의 평면도
도 2 는 도1의 좌,하부 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 바둑판의 회동체를 확대 표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B-B'선 단면도
도 5 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바둑판의 회동체를 탄력 있게 치받쳐 주는 탄봉구(彈捧具)의 사시도
도 7은 동 탄봉구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2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9 는 바둑돌의 출몰작동 설명도
도 10은 회동체의 회동에 연결되는 계수기 회로 설명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가압구와 그 지지대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바둑판에 가압구를 설치한 형상의 평면도인 도13의 D-D'선 단면 확대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가압구를 설치한 본 고안 바둑판의 평면도도 14는 본 고안 바둑판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천 판 2 ; 집 표 3 ; 바둑돌
4 : 사각테 5 : 소천판 6 : 소천공
7 : 소격자 8 : 좌판 9 : 우판
10 : 차벽 11 : 횡축 12,13 : 삼각캠
14,14',14" : 회동체 15 : 흑돌 16 : 백돌
17 : 탄봉구 18 : 받침 19 : 지지편
20 : 피스턴 21 : 저판 22 : 실린더
23 : 스프링 24 : 지주 25 : 가압구
26 : 가압편 26' : 장입편 27,27' : 괘공
28,28' : 스프링 29,29' : 입주 30,30' : 고리
31,32 : 동판 33,34 : 접점 35 : 좌녹음기
26 : 좌계수기 37,38 : 접점 39 : 우녹음기
40 : 우계수기
A. 구 성
바둑판의 최상층의 면판을 천판(天板)(1)으로 호칭하며 이에 종적인 바둑밭19조에 횡적인 바둑밭19조를 교차지게 획(劃)하여 십자형의 집표(2)361개를 공지의 바둑판과 같이 표시하고 그 십자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바둑돌(3)의 크기만한 원을 획하고 그 원에 외접하는 사각테(4)를 획하여 그 테(4)의 선을 도려내면 상면에 십자형 집표(2) 하나가 표시된 정사각형 소천판(5)361개를 얻는다.
천판(1)에는 소천판(5)을 도려낸 구멍인 사각형 소천공(小天孔)(6)361개가 뚤리고 그 사이에 남은 부분인 소격자(小格子)(7)들이 창살같이 남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소천판(5)에 이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좌판(8)과 우판(9)을 정삼각형으로 도 3과 같이 접착한 중공형 삼각체의 내면 중간에 정삼각형 차벽(10)을 도 3과 같이 설치하여 내부를 좌우 양실로 분할하고 그 차벽(10)의 중심공에 횡축(11)을 유삽하며, 횡축(11)의 좌우 양측에 삼각캠(12)(13)의 중심공(12')(13')을 유삽하여 삼각캠(12)(13)의 내단을 차벽(10)의 좌우 양측면에 대고 소천판(5)과 좌우판(8)(9)들과 삼각캠(12)(13)의 삼각형 3면의 각도와 위상이 일치하게 고정시키어 회동체(14)를 구성하고 그 상면의 소천판(5)에는 십자형 집표(2)가 표시되어 있거니와 좌판(8)에는 흑돌(15)과 우판(9)에는 백돌(16)을 반구형 중공체로 하여 중심봉 하나를 돌설하고 그 선단의 소돌조를 소천판(5)의 이면의 적은 구멍에 꽂아서 고정시키는 식으로 각각 부착하였다.
위와 같이 횡축(11)에 유삽 상태로 축설된 삼각형 회동체(14)의 삼각캠은 그 의 좌우측 양외단을 삼각형 회동체(14)의 좌우 양측 외단과 일치 시키고 탄력성 있게 치받치는 탄봉구(彈捧具)(17)의 상단의 V자형 받침(18)의 좌우양편(片)을 지지편(19)보다 좌우로 각각 현저하게 연장시키어서 이것이 삼각형 회동체(14)의 내부좌우 양실의 공간에 깊숙히 진입하여 여기서 삼각캠의 하면을 탄력있게 치받치는 탄봉(彈捧)작용을 하게 구성한 것이며, 받침(18)의 지지편(19)의 하단의 피스턴(20)을 저반(21)에 돌설한 실린더(22)내에 스프링(23)을 넣고 그 위에 삽입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한 탄봉구(17)하나를 도 8에서와 같이 좌우양측 회동체(14)(14')사이에 설치하여 V자형 받침(18)의 좌편은 좌측 회동체(14)의 우측 삼각캠(13)을, 우편은 우측의 회전체(14')의 좌측 삼각캠(12)을 각각 치받치어서 120도 회동할 때마다 한번씩 하강하여 느췄다가 다시 탄봉하여 삼각형 회동체(14)의 어느 한면을 항상 천판(1)의 상면과 일치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도 8과 같이 회동체(14')(14")사이에는 지주(24)를 설치하여 횡축(11)을 여기에 축설하며 이렇게 탄봉구(17)와 지주(24)를 하나건너 하나씩 교호히 설치한다.
위와 같은 탄봉구의 작용은 삼각캠의 어느 한면만 가압하여도 그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제 2 실시예에서는 탄봉구(17)을 폐지하고 가압구(25)로 대용할 수 있다.즉 삼각캠(12)(13)의 상측 일면만 가압하게 구성한 가압구(25)는 가압편(26) 수개를 장입편(26')의 상연(上緣)에 도(11)과 같이 T자형으로 착설하고, 좌우양측의 괘공(27)(27')에 스프링(28)(28')의 상단을 걸어서 저반(21)에 돌설한 네개 일조로 된 입주(29)(29')들 사이에 장입편(26)을 접동되게 유삽한 하측에 고정한 고리(30)(30')에 각각 걸어서 가압구(25)를 하향 탄설하며, 이들의 가압편(26)의 좌우양편이 그 좌우 양측의 회동체(14)(14')의 삼각캠(12)(13)의 상면을 가압하여 회동체(14)(14') 중 어느 한쪽을 회동시킬 때 함께 늦춰졌다가 스프링(28)(28')의 탄력으로 다시 가압하여 삼각캠의 상면을 수평면으로 유지시키어서 회동체의 어느 한면을 천판(1)의 상면과 항상 일치하도록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부호(26")(26'")는 상하동 가이드 돌기이다.
본 고안 바둑판은 사석을 들어낼 수 없으므로 사석은 그 즉시 계수기에 자동으로 적산시킨다.
즉 도10에 있어서 회동체(14)의 흑돌과 백돌의 접경을 이루고 있는 하정점에 동판(31)(32)을 도 8과 같이 좌우에 각각 부착하고 회동체(14)가 도 10의 화살표 ㄴ과 같이 좌회동 할 때에 동판(31)이 그리는 가상궤도에 접점(33)(34)를 설치하여 이들의 회로를 좌녹음기(35)와 좌계수기(36)에 연결하고 회동체(14)가 화살표 R과 같이 우회동할 때에 동판(32)이 그리는 가상 궤도에 접점(37)(38)을 설치하여 그 회로를 우녹음기(39)와 우계수기(40)에 각각 연결하였다.
이상의 장치들은 기판(21)의 상면에 설치한 것이며, 그 상면에 소격자(7)들 사이에 소천공(6)이 361개 뚫려 있는 천판(1)을 밑에서 회동체(14)들의 소천판(5)들이 소천공(6)들에 각각 부합(符合)되게 치솟아 올라서 요철이 없는 평탄면에 바둑밭이 이루어지며 종횡으로 19 X 19 조가 그어진 도 1과 같은 천판(1)으로 된 본 고안 바둑판을 구성한 것이며, 절접 개장형으로 할 때는 횡축(11)들의 세로 방향인 N-S선으로 양분하여 절첩 개장이 가능토록 한다.
B. 작 용
본 고안 바둑판으로 바둑을 두려면 먼저 횡축(11)들의 양단에 대좌하여 자기가 치석(置石)코저 하는 십자형 집표(2)를 정하고 도 9에서 화살표 a와 같이 소천판(5)의 우변을 눌르면 그 좌변이 가상선 표시와 같이 들리므로 이때 화살표 b와 같이 우향으로 제치면 흑돌(15)이 소천판(5)의 자리에 오고 소천판(5)은 우측의 천판(1)밑으로 몰입되므로 여기에 흑한점을 치석한 것으로 된다.
상대는 백이며 그가 대좌한 자세에서 치석코저 하는 지점의 십자형 집표(2)의 우변을 전기와 같이 눌르면 그 좌변이 들려오르는데 이는 흑의 좌석에서 보면 우변이 들려 오르는 것이므로 도 9와는 정반대로 도 10의 가상선 표시 F와 같이 백돌(16)이 소천판(5)의 자리에 와서 여기 백한점을 치석한 것으로 되며, 이렇게 회동체(14)가 회동하면 탄봉구(17)가 일단 제지를 가하여 120도 회동 각도를 정확히 구획해 주는 탄봉(彈捧)작용을 한다.
이렇게 흑돌을 치석할 때는 도 10에서 동판(31)이 좌측 접점(33)(34)을 접속시키어 주므로 도 14에서 S1이 접속되어 S2를 거치어 좌 녹음기(35)에서 녹음된 치석음이 울려나온다.
치석음은 토막나무 바둑판에 치석하는 둔중한 치석음을 택하거나 또는 가야금이나 거문고 소리도 택할 수 있다.
돌을 따낼때는 S2를 S3에 교체해 놓고 치석할 때와 반대로 좌석에서 좌변을 눌러서 치석한 돌을 몰입 시키면 좌계수기(36)에 사석하나씩 차츰 적산되게 하였고, 우측 녹음기와 계수기 또한 그러하다.
위와 같이 본 고안 바둑판으로 바둑을 두려면 바둑판만 지참하면 어디에서 든지 바둑을 즐길 수 있는 휴대형 바둑판이다.
본 고안 바둑판은 바둑돌을 바둑판에 회동형으로 장치하여 출몰시키는 구성으로서 기차나 선박 및 항공기내등 동요하는 곳에서도 바둑돌이 굴러갈 우려가 없으므로 휴대용으로 보급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고 바닥판만 가지고 돌은 출몰시키는 묘미를 기사들에게 만끽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삼각형 회동체에 흑백의 바둑돌을 부착하여 바둑판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소천판(5)과 동일한 좌우판(8)(9)으로 중공 삼각형 회동체(14)를 만들고 그 내부 중간에 삼각형 차벽(10)을 설치하여 그 중앙공에 유삽한 횡축(11)의 양단에 삼각캠(12)(13)의 중심공(12')(13')을 각각 유삽하고, 그들의 삼각면과 회동체(14)의 삼각면의 위상과 각도가 일치되게 맞추어 삼각캠들의 내단을 차벽(10)의 좌우측면에 각각 고착하고 V자형 받침(18)의 좌우편이 회동체들의 내부공간에 진입되게 좌,우 회동체(14)(14')둘 사이에 탄봉구(17)하나를 설치하여 받침(18)의 V자형 좌편은 좌회동체(14)의 우측삼각캠(13)을 치받치고 우편은 우회동체(14')의 좌측 삼각캠(12)을 치받치게 하고 그 다음 회동체와의 사이에는 지주(24)를 설치하여 횡축(11)을 축설하여서 구성한 휴대용 바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장입편(26')의 상변에 가압편(26)수개를 ㅜ 자로 고정한 가압구(25)를 회전체(14)(14')사이에 설치하여 가압편(26)의 좌우양편이 좌우측 회전체의 삼각캠(12)(13)의 상면을 각각 가압하게 하여서 구성한 휴대용 바둑판.
  3.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체(14)의 하정점에 부착한 동판(31)이 좌회동하는 가상궤도에 접점(33)(34)을 설치하여 좌녹음기(35)와 좌계수기(36)의 회로에 연결하고 동판(22)이 우회동하는 가상 궤도에 접점(37)(38)을 설치하여 우녹음기(39)와 우계수기(40)의 회로에 연결하여서 구성한 휴대용 바둑판.
KR2020010040058U 2001-11-14 2001-12-24 휴대용 바둑판 KR2002762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5045 2001-11-14
KR2020010035045 2001-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63Y1 true KR200276263Y1 (ko) 2002-05-22

Family

ID=7307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058U KR200276263Y1 (ko) 2001-11-14 2001-12-24 휴대용 바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400A1 (en) * 2004-11-04 2006-05-11 Yoon Chan Hwang Portable rotating paduk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400A1 (en) * 2004-11-04 2006-05-11 Yoon Chan Hwang Portable rotating paduk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085C (zh) 战略游戏器具
US9421452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moving members
KR200276263Y1 (ko) 휴대용 바둑판
CN106363692B (zh) 一种钻孔设备
CA2005683A1 (en) Portable game apparatus
CN215609196U (zh) 一种羽毛球球头开孔设备
CN109731322A (zh) 魔方块
EP1588746A1 (en) Structure for table game
WO2020113800A1 (zh) 翻转魔尺
USD520570S1 (en) Board game
CN107820145A (zh) 一种收放音组合机
CN212369567U (zh) 一种吊桥组件玩具
US1726115A (en) Game
KR200169640Y1 (ko) 퍼즐
CN213844690U (zh) 一种便于工程造价用的展示装置
CN209843043U (zh) 一种规模化畜禽养殖业的清洁生产模式沙盘模型
CN220110388U (zh) 一种用于独臂残疾人的扑克牌辅具
CN212818048U (zh) 一种便于收纳的益智拼图玩具
CN2332434Y (zh) 高尔夫球杆飞球线设定瞄准器
CN206965094U (zh) 一种战争游戏设备
CN211357685U (zh) 一种多用围棋
CN211486499U (zh) 一种定位准确的磁吸式计划执行能力训练套筒棋
CN201832385U (zh) 加长型乒乓球台
CN208320000U (zh) 一种大工作台玩具
JPS6041997Y2 (ja) さいころゲ−ム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