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82Y1 - 통기성 발열시트 - Google Patents

통기성 발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82Y1
KR200276182Y1 KR2020020005483U KR20020005483U KR200276182Y1 KR 200276182 Y1 KR200276182 Y1 KR 200276182Y1 KR 2020020005483 U KR2020020005483 U KR 2020020005483U KR 20020005483 U KR20020005483 U KR 20020005483U KR 200276182 Y1 KR200276182 Y1 KR 200276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ray
heat generating
he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웅
Original Assignee
김행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웅 filed Critical 김행웅
Priority to KR2020020005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82Y1/ko

Links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기성 발열 시트에 관한 것으로, 각종 온실 등에서 사용되는 발열 시트의 사각 격자 형태에 상하로 가로 세로 방향의 긴 돌기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사각 홈들의 내부에 각각 배수용 구멍을 형성하여 트레이(모종판)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배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발열 코일이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발열코일이 발열하여 발열시트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의 식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 발열 시트에 있어서, 발열시트(100)에 가로 세로 방향의 돌기부(101)를 형성함과 함께 각 사각홈의 격자 하부에 배수용 구멍(102)을 형성하여 트레이(20)가 발열시트(100)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 발열시트(100)위에 돌출된 돌기부(101)에 의해 발열시트(100)에 밀착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공간을 두고 위치되므로 트레이(20)의 통기성이 양호해지게 되며, 각 격자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용 구멍(102)을 통하여 트레이(20)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 배출되므로 배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발열 시트{Permeability Heating Seat}
본 고안은 통기성 발열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재 배사나 각종 온실 등의 시트로 적용됨에 있어 발열 시트의 사각 격자 형태에 상하로 돌기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사각홈 들의 하부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 트레이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발열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의 최적 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비닐 하우스나 시설재배사에는 수분의 공급, 배수, 적정온도, 적정 광량을 유지해주어야 한다.
동계에는 비닐 하우스나 시설 재배사 주위의 온도가 저온이므로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닐 하우스나 시설 재배사의 경우 그 위치가 최저온으로 급강하될 수 있는 산간지역 또는 강풍에 직접 노출되는 들판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의 여부가 식물의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닐 하우스나 시설 재배사 등지에서는 난로 등의 각종 난방기구를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바, 난로 등의 난방기구는 실내 온도는 상승시키더라도 지면의 온도를 식물의 뿌리 깊이 정도로 상승시키지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지면상에 난로 등의 난방기구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온기가 비닐하우스의 천장방향으로 이동되고, 냉기는 비닐 하우스 내의 지면부로 이동되므로, 지면의 일정 깊이 이하까지 온기를 전달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온기가 전달된다고 할 지라도, 그 온기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온기보다 적은 량이므로 보다 효율적인 난방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하단에 발열 코일이 내장된 발열시트를 매장하고, 그 발열 시트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대지의 온도를 일정 온도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선보이고 있으나, 코일이 전기장판과 같이 일자 코일을 'S' 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대지에 매장하므로 그 일부분이 단선되면 단선부 후단으로는 전원 투입이 차단되어 발열하지 않게 된다.
상기 발열시트의 경우 그 발열 시트로 전원을 투입하기 위하여 발열 시트 소정부분에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바, 그 커넥터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면 전원 단락의 우려가 매우 높게 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발열시트의 내용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격자형태의 발열시트(10)의 상단에 트레이(모종판)(20)를 올려놓고 발열시트(1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발열시트(10)에 내장된 발열코일로부터 열이 발생되어 발열시트(10)위에 놓여진 트레이(20)내의 모종의 성장이 촉진되었다.
또한, 상기 트레이(20)의 각 홈부 하부에는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어 모종에 물을 주게 되면 물이 배수공(21)을 통하여 배수되었으며, 도면에서 22는 트레이 받침대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트레이(20)가 발열시트(10)에 밀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트레이(20)에만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발열 시트(10)에는 배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트레이(20)의 배수공(21)을 통하여 배수된 물이 발열 시트(10)에 그대로 머무르게 되므로 발열시트(10)내의 발열코일에 영향을 주게 되고, 또한 트레이(20)와 발열시트(10)가 밀착 위치됨에 따라 통기성이 저하됨과 함께 식물의 생장 발육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열 시트의 사각 격자 형태에 상하로 가로 세로 방향의 긴 돌기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사각홈 들의 하부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 트레이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발열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수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통기성 발열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트레이와 발열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통기성 발열 시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발열시트 20:트레이
21:배수공 30,40:표층
101:돌기부 102:구멍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부에 연질의 PVC 재질로 이루어진 표층이 용융 압착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의 소정부에는 외부 전선과 내부 전선과의 전원 커넥팅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 격자형태의 발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트가, 각 격자 상하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각 격자간에 형성되는 사각홈 하부에 통기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 배수용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통기성 발열 시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에 연질의 PVC 재질로 이루어진 표층이 용융 압착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의 소정부에는 외부 전선과 내부 전선과의 전원 커넥팅을 위한 커넥터가 형성되는 사각 격자 형태의 발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트(100)의 격자 상하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각 긴 돌기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각 사각 격자의 하부에는 통기성 향상을 위한 배수용 구멍(10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단, 상기 격자간 가로 세로의 길이는 10cm가 바람직하고, 돌기부(101)의 높이는 예컨대, 상부 돌기부(101)의 경우 대략 1∼3mm 정도가 바람직하며, 돌기부(101)의 폭은 2∼5mm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용 구멍(102)의 지름의 크기는 1cm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 발열시트(100)가 사각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모세망 구조로 발열 코일이 설치되므로 전원 인가시 상기 발열코일이 발열하여 이러한 발열시트(100)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20)에 심어진 모종의 성장을 촉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트레이(20)가 상기 발열시트(100)상부에 위치될 경우 발열시트(100)위에 돌출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부(101)에 의해 발열시트(100)에 밀착되게 위치되지 않고 상하로 어느 정도의 공간을 두고 위치되므로 이러한 돌기부(101)들을 통하여 상하로 통기가 원활해져 통기성이 양호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격자에는 하부에 배수용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20)의 배수공을 통하여 흘러나오는 물이 발열시트(100)에 머무르지 않고 이러한 발열시트(100)의 구멍(102)들을 통하여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배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통기성 발열 시트는 단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 발열 시트는 시설재배사나 각종 온실 등의 시트로 적용됨에 있어 발열 시트의 사각 격자 형태에 상하로 돌기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사각 홈들의 내부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 트레이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에 연질의 PVC 재질로 이루어진 표층이 용융 압착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의 소정부에는 외부 전선과 내부 전선과의 전원 커넥팅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 사각격자형태의 발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트가, 각각의 사각 격자 상하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각 사각 격자간에 형성되는 사각홈 하부에 통기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 배수용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발열 시트.
KR2020020005483U 2002-02-25 2002-02-25 통기성 발열시트 KR200276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83U KR200276182Y1 (ko) 2002-02-25 2002-02-25 통기성 발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83U KR200276182Y1 (ko) 2002-02-25 2002-02-25 통기성 발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82Y1 true KR200276182Y1 (ko) 2002-05-18

Family

ID=7308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83U KR200276182Y1 (ko) 2002-02-25 2002-02-25 통기성 발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713B2 (ja) 屋外用緑化装置及び屋外用緑化システム
KR101718682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 시스템
JP2015002726A (ja) 寒冷地用の植物栽培ハウス
KR20150004096A (ko) 식물의 근권 난방시스템
KR101597988B1 (ko) 자연 대류식 지중발열유닛 및 농업용 대류식 난방장치
KR200276182Y1 (ko) 통기성 발열시트
JP4417146B2 (ja) 人工地盤上での緑化方法および緑化構造物並びにそこで用いる保水排水基盤材
CN205431264U (zh) 太阳能植物工厂温室
JP2002327556A (ja) 植物を利用した自然冷却用壁の構造
KR100234560B1 (ko) 온실내 지중온도 조절장치 및 방법
KR101363041B1 (ko) 에너지 절약형 비닐하우스
CN208657476U (zh) 寒地日光田园温室
JPH0811B2 (ja) 建造物等の空間側面にて植物を育成する植栽ボックス
KR101742979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을 위한 재배통
KR19990064674A (ko) 비닐하우스의 지중 난방 및 지중 관개 공법(灌漑 工法)
CN217336662U (zh) 一种草莓大棚种植用供暖装置
KR101508949B1 (ko)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의 시공방법
KR101508950B1 (ko)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5122910U (zh) 用于插掣于一盆栽的智能灌溉棒
JP4257130B2 (ja) ガーデニング用緑化システム
KR200233821Y1 (ko) 비닐하우스 터널상내 난방장치
JPS59143531A (ja) 植物用土壌温め器
TWI760949B (zh) 智能灌溉棒
JP2005304331A (ja) ヒーター付きプランター
JP2003339254A (ja) ビニールハウス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