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066Y1 -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066Y1
KR200276066Y1 KR2020020006030U KR20020006030U KR200276066Y1 KR 200276066 Y1 KR200276066 Y1 KR 200276066Y1 KR 2020020006030 U KR2020020006030 U KR 2020020006030U KR 20020006030 U KR20020006030 U KR 20020006030U KR 200276066 Y1 KR200276066 Y1 KR 200276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ap
battery
switch terminal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권
김석추
Original Assignee
강남권
김석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권, 김석추 filed Critical 강남권
Priority to KR2020020006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066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가 인가될 때 연속적으로 점멸(點滅)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램프와, 상기 몸체 내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전원으로 이용되는 밧데리가 수납되며 제 1 캡에 의해 개폐되는 밧데리수납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램프 및 상기 밧데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단자와, 상기 스위치단자가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다수 개의 제 1 관통구를 갖는 제 2 캡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 2 캡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캡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자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도전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 관통구가 상기 스위치단자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탄성과 다공성을 갖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통전매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명장치는 수동 뿐만 아니라 조난자가 물에 빠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광이 설정치 보다 밝은 주간에 램프과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밧데리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방전된 밧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다수 번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명동의의 조명장치{Light with life jacket}
본 고안은 바다 등의 수중에서 조난시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명동의(救命胴衣)에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섬광을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사고 발생시 호수, 강물 또는 바다물 등에 익사(溺死)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명동의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선박 사고시 사망의 원인은 익사 뿐만 아니라 체온의 저하로 인한 쇼크사가 있다. 상기에서 조난자 체온의 저하로 인한 쇼크사는 구조가 지연되는 경우에 조난자의 체온을 물에 빼앗기므로 발생된다. 그러므로, 선박 사고 발생시에는 조난자의 체온이 저하되기 전에 신속한 구조가 필요하다.
그러나, 넓은 바다에서 야간 또는 악천후 등의 어둠으로 인하여 사물을 구분하기 어렵고 시야 거리가 짧아지면 수색 활동이 어려워 조난자의 구조가 지연되는 경우에 발생되기 쉽다. 그러므로, 구명동의에 연속적으로 점멸(點滅)하여 섬광을 발생하므로써 조난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구난 조명등, 즉, 조명장치가 부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전원으로 사용되는 밧데리가 밀봉되게 내장되며, 또한, 조난자가 물에 빠지면 스위치를 '온(on)'되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램프가 섬광을 발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물에 빠진 조난자가 의식을 잃어을 경우에 스위치를 '온'시킬 수가 없어 작동되지 않으며, 또한, 어둠이 걷혀 주위가 밝아도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으면 계속해서 작동하므로 밧데리가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밧데리가 밀봉되게 내장되어 밧데리의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밧데리가 방전되면 조명장치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를 수동으로 '온'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될 뿐만 아니라 물에 빠지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간에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밧데리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전된 밧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다수 번 사용할 수 있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가 인가될 때 연속적으로 점멸(點滅)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램프와, 상기 몸체 내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전원으로 이용되는 밧데리가 수납되며 제 1 캡에 의해 개폐되는 밧데리수납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램프 및 상기 밧데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단자와, 상기 스위치단자가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다수 개의 제 1 관통구를 갖는 제 2 캡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 2 캡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캡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자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도전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 관통구가 상기 스위치단자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탄성과 다공성을 갖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통전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 광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가설정치 보다 밝을 때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설정치 보다 어두울 때만 작동되도록 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밧데리가 교체 가능하는 것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캡의 높이를 수동으로 낮아지도록 조절하여 상기 도전판이 상기 스위치단자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킨다.
상기에서 제 1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되며 상기 통전매체에 흡수 및 유지되는 물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자 사이에 전기가 자동적으로 흐르는 것에 의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몸체 13 : 램프
15 : 광센서 17 : 보호캡
19 : 밧데리수납구 21 : 밧데리
23 : 제 1 캡 25 : 하우징
27 : 스위치단자 29 : 도전판
31 : 통전매체 33 : 제 2 캡
35, 37 : 제 1 및 제 2 관통구 39 : 연결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몸체(11), 램프(13), 광센서(15), 보호캡(17), 밧데리수납구(19), 제 1 캡(23), 하우징(25), 스위치단자(27), 도전판(29), 통전매체(31), 제 2 캡(33) 및 연결구(39)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램프(13)는 몸체(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가 인가될 때 연속적으로 점멸(點滅)하여 섬광을 발생한다.
광센서(15)는 몸체(11)의 램프(13)가 설치된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 광의 밝기를 감지한다. 상기에서 광센서(15)는 감지된 주변 광의 밝기가 설정치 보다 밝으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주간(晝間)에는 램프(13)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며, 설정치보다 어두우면, 예를 들면, 야간 또는 악천후에만 램프(13)가 작동되도록 한다.
보호캡(17)은 몸체(11) 상부에 램프(13) 및 광센서(15)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보호캡(17)은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램프(13)에서 발생되는 섬광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하며 광센서(15)가 외부로 부터 주변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밧데리수납구(19)는 램프(13)의 전원으로 이용되는 밧데리(21)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몸체(11) 내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밧데리(21)는 전선(20) 등에 의해 램프(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캡(23)은 밧데리수납구(19)의 입구를 개폐하여 수납된 밧데리(21)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밧데리수납구(19)는 제 1 캡(23)에 의해 개폐되므로 방전된 밧데리(21)의 교체가 가능하다.
하우징(25)은 내부에 램프(13) 및 밧데리(2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스위치단자(27)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도전판(29)이 설치된 제 2 캡(33)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덮혀진다. 상기에서 제 2 캡(33)은 하우징(25)에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므로 스위치단자(27)와 도전판(29)이 접촉 또는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전판(29)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스위치단자(27)와 접촉되어 이 2개의 스위치단자(27)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우징(25)의 내부의 스위치단자(27)와 도전판(29) 사이에 스펀지(sponge)와 같이 탄성과 다공성을 갖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통전매체(3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통전매체(31)는 스위치단자(27)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관통구(31)를 가져 이스위치단자(31)에 끼워진다. 상기에서 통전매체(31)는 탄성을 가지고 제 1 관통구(31)를 통해 스위치단자(31)에 끼워지므로 제 2 캡(33)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수동 스위칭하여 하우징(25)에 높이가 낮게 결합할 때 스위치단자(27)와 도전판(29)이 접촉된다. 또한, 통전매체(31)는 다공성이므로 물이 공급되면 흡수 및 유지하고, 통전매체(31)에 흡수 및 유지된 물은 스위치단자(27)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램프(13)가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제 2 캡(33)은 상부에 다수 개의 제 2 관통구(37)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관통구(37)는 하우징(25)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연결구(39)는 핀(pin)으로 이루어져 상술한 구성의 조명장치를 구명동의에 연결 고정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구명동의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한 조난자의 목덜미 부분 또는 등의 상부에 위치되게 부착된다. 상기에서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램프(13) 및 광센서(15)가 상부로 향하고 제 1 및 제 2 캡(23)(33)은 물속에 잠기도록 부착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선박 사고가 발생되면 조난자가 구명정으로 옮겨 타거나 물에 빠질 수 있다. 상기에서 조난자가 조명장치가 부착된 구명동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명정으로 옮겨 탄 후 야간 또는 악천후에 의해 주변이 어두우면 제 2 캡(33)을 하우징(25)에 낮은 높이로 결합되게 수동으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도전판(29)이 절연 상태인통전매체(31)를 압축시키므로 제 1 관통구(35)를 통해 노출되는 스위치단자(27)와 접촉된다. 그러므로, 스위치단자(27)가 도전판(29)에 의해 '온' 상태가 되도록 스위칭(switching)되어 램프(15)와 밧데리(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에 의해, 램프(15)는 섬광을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조명장치가 부착된 구명동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에 빠져 조난되면 제 2 캡(33)에 형성된 제 2 관통구(37)를 통해 하우징(25)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에서 하우징(25) 내부로 유입된 물은 다공성의 통전매체(31)에 흡수 및 유지되는 데, 통전매체(31)에 흡수 및 유지되는 물은 스위치단자(27)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구명동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에 빠지면 조난자가 정신을 잃어도 제 2 관통구(37)를 통해 물이 하우징(25) 내부로 유입되며, 이 물은 통전매체(31)에 흡수 및 유지되어 스위치단자(27) 사이가 자동적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조난자가 정신을 잃어 수동으로 작동시키지 않아도 물에 빠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램프(15)는 섬광을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상기에서 통전매체(31)에 흡수 및 유지되는 물은 스위치단자(27) 사이에 전기를 흐르게 할 뿐만 아니라 일정하게 흐르도록 하여 램프(13)가 안정되게 작동되도록 한다. 즉, 통전매체(31)가 없다면 하우징(25) 내부의 물이 있어도 물결에 의해 스위치단자(27) 사이에 전기를 연결 또는 차단하므로 램프(13)의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나, 통전매체(31)는 흡수된 물에 의해 스위치단자(27) 사이에 전기를 일정하게 흐르도록 하므로 램프(13)가 안정되게 작동된다.
상기에서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칭되는 경우에도맑은 날의 주간(晝間)과 같이 광센서(15)에 의해 감지된 주변 광의 밝기가 설정치 보다 밝으면 램프(13)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밧데리(19)의 소모를 방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구명동의의 조명장치는 수동 뿐만 아니라 조난자가 물에 빠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광이 설정치 보다 밝은 주간에 램프과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밧데리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방전된 밧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다수 번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가 인가될 때 연속적으로 점멸(點滅)하여 섬광을 발생하는 램프와,
    상기 몸체 내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전원으로 이용되는 밧데리가 수납되며 제 1 캡에 의해 개폐되는 밧데리수납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램프 및 상기 밧데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단자와,
    상기 스위치단자가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다수 개의 제 1 관통구를 갖는 제 2 캡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 2 캡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캡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자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도전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 관통구가 상기 스위치단자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탄성과 다공성을 갖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통전매체를 포함하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 광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가 설정치 보다 밝을 때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설정치 보다 어두울 때만 작동되도록 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가 교체 가능한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의 높이를 수동으로 낮아지도록 조절하여 상기 도전판이 상기 스위치단자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키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되며 상기 통전매체에 흡수 및 유지되는 물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자 사이에 전기가 자동적으로 흐르는 것에 의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키는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KR2020020006030U 2002-02-28 2002-02-28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KR200276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30U KR200276066Y1 (ko) 2002-02-28 2002-02-28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30U KR200276066Y1 (ko) 2002-02-28 2002-02-28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066Y1 true KR200276066Y1 (ko) 2002-05-18

Family

ID=7311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30U KR200276066Y1 (ko) 2002-02-28 2002-02-28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0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9986A (zh) * 2020-12-02 2021-03-19 江苏鼎祥船舶装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救生衣灯
CN115303450A (zh) * 2022-09-05 2022-11-08 吉林省德天诺安全科技有限公司 充气救生衣的电子控制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9986A (zh) * 2020-12-02 2021-03-19 江苏鼎祥船舶装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救生衣灯
CN115303450A (zh) * 2022-09-05 2022-11-08 吉林省德天诺安全科技有限公司 充气救生衣的电子控制装置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6218A (en) Portable flashing signal light
US8618940B2 (en) Water activated safety light and flotation device using
EP2172703A1 (en) Emergency light device for marine environments
US20230094370A1 (en) Dive mask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CA2730013C (en) Environmentally protected switch for water activated devices
US20240140568A1 (en) Visual distress signal device
GB2165977A (en) Naval rescue optical signalling device
KR20080090604A (ko) 개인 휴대용 구명정
US20070153507A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with water activated light
KR200276066Y1 (ko) 구명동의의 조명장치
CN101402395B (zh) 水上超高亮度发光搜救控制器
US5237491A (en) Personal rescue light
US2300795A (en) Distress buoy and the like
KR200401221Y1 (ko) 구명 튜브
KR20190125552A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구명조끼
KR200462660Y1 (ko) 자동으로 동작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한 구명동의
KR100685724B1 (ko) 구명 튜브
TWI645438B (zh) 水下自動啟動裝置
JP2000344185A (ja) 水中救命灯
KR102061314B1 (ko) 발광체가 구비된 구명모자
KR200432023Y1 (ko) 구명환
KR200397051Y1 (ko) 구명 조끼
KR20070095471A (ko) 구명 조끼
JP2000062687A (ja) 救命用ライト
WO2004028896A1 (en) Marking light device for life preservers and survival cra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