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00Y1 -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 Google Patents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900Y1
KR200275900Y1 KR2019980021403U KR19980021403U KR200275900Y1 KR 200275900 Y1 KR200275900 Y1 KR 200275900Y1 KR 2019980021403 U KR2019980021403 U KR 2019980021403U KR 19980021403 U KR19980021403 U KR 19980021403U KR 200275900 Y1 KR200275900 Y1 KR 200275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pivot
reinforcement
screw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439U (ko
Inventor
조현식
Original Assignee
조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식 filed Critical 조현식
Priority to KR2019980021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90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900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의 상단 일측과 하단 일측에 형성된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문틀의 피봇부에 체결되는 피봇부를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에 위아래로 배열된 다수개의 타원형 나사관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보강대의 후방에는 나사결합공을 구비하는 이송판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판에 본고안 방화문의 피봇부가 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문틀과 방화문이 잘 맞지 않을 경우 피봇부의 나사를 풀게되면 보강대에 밀착되어 있던 이송판이 헐거워지면서 피봇부가 보강대의 나사관통공 천공지름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송이 가능하게 되어, 피봇부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게되고 따라서 문틀에 맞지 않았던 방화문도 재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방화문을 폐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피봇부의 이송이 가능한 방화문
본 고안은 사무실이나 아파트에 사용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봇부의 이송이 가능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의 방화문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봇부(10)가 방화문(1)에 용접된 보강대(101)의 나사결합공(102)에 나사(20)에 의해 결합되므로 한번 결합된 피봇부(10)는 방화문(1)에서 좌우로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일단 출하된 방화문은 현장에서 문틀에 설치하고자 할 때 문틀과 맞지않거나, 틈이 너무 벌어지더라도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결국 문틀에 맞지않는 방화문은 폐기처분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방화문은 나사결합공(102)의 위치가 결정되어 한번 보강대(101)에 천공되고나면 당연히 피봇부(10)는 나사결합공(102)에 결합될 수 밖에 없어, 추후 피봇부(10)의 위치를 옮기기 위해서는 결국 보강대(101)를 방화문(10)으로 부터 떼어내 위치를 옮긴 후 다시 용접하거나, 보강대(101)에 나사결합공(102)을 새롭게 천공할 수 밖에 없는데 이미 제작된 방화문을 상기와 같이 현장에서 수리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므로 결국 문틀에 맞지않는 방화문은 폐기처분할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방화문처럼 피봇부를 방화문에 고정된 보강대에 직접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고, 피봇부가 타원형의 나사관통공을 천공된 보강대의 후방에 이송가능토록 형성된 이송판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나사만 풀면 보강대에 밀착되어 있던 이송판이 헐거워지면서 피봇부는 보강대의 나사관통공 천공지름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방화문의 피봇부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재조정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방화문이 문틀에 맞지않을 경우 나사를 풀어 피봇부의 위치를 조정한다음, 다시 문틀에 설치하므로써 예전에는 문틀에 맞지 않아 폐기하였던 방화문도 재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종래 방화문의 피봇부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화문 10:피봇(Pivot)부
11: 결착판 12: 나사공
13: 돌출판 14: 측
20: 나사 30: 커버
40: 보강대 41: 나사관통공
50: 이송판 51: 나사결합공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방화문(1)과, 상기 방화문의 상단 일측과 하단 일측에 형성된 보강대(40)와, 상기 보강대에 나사(20)에 의해 결합되며, 미도시된 문틀 피봇부에 체결되는 피봇부(10)를 구비하는 종래의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40)에 위아래로 배열된 다수개의 타원형 나사관통공(41)을 천공하고, 상기 보강대의 후방에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고 나사결합공(51)이 천공된 이송판(50)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이송판에 피봇부(10)가 나사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피봇부(10)의 나사공(12)에 나사(2)를 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나사는 보강대(40)의 나사관통공(41)을 통과하여 이송판(50)의 나사결합공(51)에 나사결합 되어 이송판(50)이 보강대(40)의 배면에 밀착하면서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피봇부(10)의 결착판(11)도 당연히 보강대(40)의 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나사(20)를 풀게되면 피봇부(10)의 결착판(11)과 이송판(50)이 헐거워지면서 피봇부(10)는 보강대(40)의 나사관통공(41)의 천공지름범위 내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돌출판(13)의 상부중심에 형성된 축(14)의 위치도 피봇부(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방화문(1)이 문틀에 맞지 않을 경우, 예를들면 방화문이 문틀에 너무 꼭끼어 문이 닫혀지지 않거나, 방화문과 문틀의 사이가 너무 벌어져 미관상 좋지 못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피봇부(10)의 위치를 현장에서 간단히 조정하여 문틀에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방화문의 피봇부를 문틀의 피봇부에 결합시킴에 있어 작업자의 의도대로 방화문 피봇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할 수 있으므로 방화문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화문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고안 도면상에 도시된 피봇부(10)는 방화문(1)의 상단에 설치되는 숫피봇부만을 도시한 것으로, 미도시된 방화문의 하단에는 암피봇부가 형성되어진다. 그러나 숫피봇부와 암피봇부의 차이는 축(14)의 유무에 따른 차이만 있을 뿐 결국 상기 방화문의 피봇부가 결합되는 문틀의 피봇부 역시 방화문의 피봇부와 대응되는 형태끼리 결합되어진다. 즉 방화문의 숫피봇부는 문틀의 암피봇부에, 방화문의 암피봇부는 문틀의 숫피봇부에 서로 반대의 형태끼리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보강대(40)의 나사관통공(41)은 나사(20)의 결합위치가 다른 방화문의 암피봇부와 숫피봇부에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 이열로 배열하였다.
본 고안은 피봇부가 타원형의 나사관통공을 구비하는 보강대의 후방에 형성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이송판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나사를 풀면 이송판이 헐거워지면서 피봇부가 보강대의 나사관통공 천공지름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송이 가능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방화문을 설치시 방화문이 문틀과 잘 맞지않는다 하더라도 나사를 풀어 피봇부의 위치만 조정하면 문틀에 방화문을 맞출 수 있으므로 방화문의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폐기되던 방화문을 재설치할 수 있어 방화문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방화문(1)과, 상기 방화문의 상단 일측과 하단 일측에 형성된 보강대(40)와, 상기 보강대에 나사(20)에 의해 결합되며, 미도시된 문틀 피봇부에 체결되는 피봇부(10)를 구비하는 종래의 방화문(1)이 있어서 다수개의 타원형 나사관통공(41)이 위아래로 배열되어 천공된 보강대(40)는 양단부가 절곡된 상태로 방화문(1)의 일단에 고징되어지며, 상기 보강대(40)의 전방에는 피봇부(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강대(40)의 후방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나사결합공(51)을 구비하는 이송판(50)을 형성하되 상기 이송판(50)에 피봇부(10)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부의 이송이 가능한 방화문.
KR2019980021403U 1998-11-02 1998-11-02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KR200275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403U KR200275900Y1 (ko) 1998-11-02 1998-11-02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403U KR200275900Y1 (ko) 1998-11-02 1998-11-02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39U KR20000009439U (ko) 2000-06-05
KR200275900Y1 true KR200275900Y1 (ko) 2002-11-22

Family

ID=6952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403U KR200275900Y1 (ko) 1998-11-02 1998-11-02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9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54B1 (ko) 2012-01-13 2013-04-03 손창민 방화문의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54B1 (ko) 2012-01-13 2013-04-03 손창민 방화문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39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9946A (en) Adjustable hinge
US8353639B2 (en) Turnbuckle lock
US20080256994A1 (en) Multi-Point Door Lock and Offset Extension Bolt Assembly
US5283929A (en) Hinge
US5806144A (en) Device for a door hinge structure
CA2339100A1 (en) Adjustable interconnected lock
US20030177607A1 (en) Hinge
JP2008540985A (ja) 冷却装置および/または冷凍装置
KR200275900Y1 (ko)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US6485067B1 (en) Sliding rod closure for a cabinet door hinged on a switch cabinet body
CN1383241A (zh) 固定在开关柜框架腿上的配件
CN100424315C (zh) 隐蔽门家具固定方法以及组件
US5933919A (en) Adjustable door hinge
CA2547983A1 (en) Side rail end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CA2530635C (en) Control roller mechanism-activator
US6070299A (en) Furniture hinge
KR200205342Y1 (ko) 트랙터용 로터리장착대의 폭조절장치
KR200275899Y1 (ko) 방화문용힌지
KR200309593Y1 (ko) 냉장고 도어의 상부 힌지 조립체
EP0953704A1 (en) Hinge for casements in general and for outdoor casements in particular
EP0706246B1 (de) Dem Benutzer zugeneigtes Tableau für Aufzüge
KR200187437Y1 (ko) 도어용 피봇 힌지
AU716393B3 (en) Adjustable bracket assembly
JP2581345Y2 (ja) サッシ材の連結構造
KR200259603Y1 (ko) 가구문회전조절장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