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08Y1 - 회전식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회전식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708Y1
KR200275708Y1 KR2020020004781U KR20020004781U KR200275708Y1 KR 200275708 Y1 KR200275708 Y1 KR 200275708Y1 KR 2020020004781 U KR2020020004781 U KR 2020020004781U KR 20020004781 U KR20020004781 U KR 20020004781U KR 200275708 Y1 KR200275708 Y1 KR 200275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se
shaft
nozzle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종환
Original Assignee
추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종환 filed Critical 추종환
Priority to KR2020020004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70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소, 원예등 시설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호스와 연결된 분사 노즐부 와 호스간의 꼬임발생시 조절이 용이한 회전식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시설하우스 내에 설치된 분사노즐에서 고압 분무되는 노즐은 물압 또는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길게 직렬로 연결된 호스와 노즐의 연결부가 틀어지면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면 호스와 연결부를 각각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며 바로잡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문제된 노즐부를 바로잡으면 또 다른 연결부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노즐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기기 매우 어렵고 또한 많은 부품 사용으로 인해 설치가 쉽지 않았으며 이로 인한 분사노즐과 호스의 연결부가 새거나 엉뚱한 지점으로 물 즉 액체 및 기체가 분사되는 등의 결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축 샤프트(10)와 노즐본체(9)가 구비되고 축 샤프트(10)의 일측 단부는 호스(1b)가 삽입되도록 호스삽입부(3b)와 볼트산(4c)이 성형되며 랜치고정을 위한 육각렌치고정부(15)와 오링삽입홈(13b)이 두개 성형되고 노즐본체(9)가 삽입되는 축 샤프트(10)의 가운데 지점에는 십자형으로 뚫어진 통공부(14)가 판공되고 두개의 오링삽입홈(13a)과 볼트산(4b)이 성형되어 볼트(5)의 내측에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노즐본체(9)는 육각형으로서 가운데는 축샤프트 삽입구(11)가 원형으로 뚫어지고 육각의 각 면마다 노즐삽입구(12)를 판공하여 하나(단구)또는 둘(쌍구)내지 V자형으로 노즐삽입구(12)를 판공하여 노즐(16)을 각기 용도에 따라서 분사되는 각도에 맞춰 노즐(16)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서, 호스와 호스사이에 결착되는 분사노즐부는 체결이 쉽고 용이하게 구성되며 호스 및 연결부의 꼬임과는 상관없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각기 용도에 따라 단구, 쌍구 및 V자형,의 각도로 노즐삽입구가 성형된 노즐본체와 노즐본체에 삽입되는 축샤프트 및 오링의 결속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분사노즐{omitted}
본 고안은 채소, 원예등 시설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호스와 연결된 분사 노즐부 와 호스간의 꼬임발생시 조절이 용이한 회전식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재배작물에 관개용수 또는 약, 액상비료 및 각종 액체 및 기체로된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작물 재배용 액체 및 기체의 약액을 공급하는 분사노즐의 꼬임방지에 관한 설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 분무기에서 고압으로 조성된 액체 또는 기체로 호스를 통하여 노즐로 이송되어 분사되는데 다수의 분사노즐이 직렬로 설치되어 있어 수압으로 인한 호스와 노즐의 연결부가 틀어지면서 분사되어야할 지점을 벗어나는 노즐 꼬임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노즐꼬임현상에 손쉽게 대처하여 조절하기가 용이하며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채소나 원예하우스 등에서 재배되는 작물들은 실내온도와 급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성장속도 및 출하시기를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관엽식물인 상추나 배추등의 채소류는 생장에 필요한 적정량의 재배수 공급을 필요로 하고, 이 재배수 공급은 통상 분사노즐이 구비된 파이프를 땅속이나 또는 재배물 상방에 설치하여 성장에 필요한 일정량의 물을 분사하여 사용한다
종래에는 시설하우스 내에 설치된 분사노즐에서 고압 분무되는 노즐은 물압또는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길게 직렬로 연결된 호스와 노즐의 연결부가 틀어지면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면 호스와 연결부를 각각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며 바로잡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문제된 노즐부를 바로잡으면 또 다른 연결부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노즐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기기 매우 어렵고 또한 많은 부품 사용으로 인해 설치가 쉽지 않았으며 이로 인한 분사노즐과 호스의 연결부가 새거나 엉뚱한 지점으로 물 즉 액체 및 기체가 분사되는 등의 결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고안은 분사노즐부와 호스간의 연결부에 꼬임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성할 때 호스와 호스 사이에 결착되는 분사노즐부는 체결이 쉽고 용이하게 구성되며 호스 및 연결부의 꼬임과는 상관없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각기 용도에 따라 단구, 쌍구 및 V자형,의 각도로 노즐삽입구가 성형된 노즐본체와 노즐본체에 삽입되는 축샤프트 및 오링의 결속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물이송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의 분사되는 과정에서 연결부의 꼬임현상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가 구비된 노즐본체와 축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 도 1a의 B 부분 확대도.
도 2b는 본 고안 도 2a의 A - A 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2c는 본 고안 도 1a의 A부분과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장치가 시설되어 노즐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호스 2a, 2b: 체결너트
3a, 3b: 호스삽입 4a, 4b, 4c: 볼트산
5: 볼트 6: 구멍
7: 너트산 8a, 8b: 오링
9: 노즐본체 10: 축 샤프트
11: 축샤프트 삽입구 12: 노즐삽입구
13a, 13b: 오링삽입홈 14: 통공부
15: 육각렌치고정부 16: 노즐
17: 액체및기체 18: 회전표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 도 1a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 도 2a의 A - A 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 도 1a의 A부분과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3a 및 3b는 본 고안의 단면도와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장치가 시설되어 노즐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크게 A부분과 B부분 그리고 C부분으로 나누어 볼 때 A부분과 C부분은 호스(1a)(1b)와 호스삽입부(3a)(3b)가 체결너트(2a)(2b)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부분은 호스(1a)를 호스삽입부(3a)에 삽입하고 체결너트(2a)로 결속하게 된다 이때 체결너트(2a)의 내측 너트산(7)에 볼트산(4a)이 체결되고. C부분은 전기한 바와 같이 호스(1b)가 호스삽입부(3b)에 삽이되고 체결너트(2b)에 의하여 고정 체결된다.
그리고 B 부분은 전술한 A부분과 C부분의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 매개체로서 축 샤프트(10)와 노즐본체(9)가 구비된다 축 샤프트(10)의 일측 단부는 호스(1b)가 삽입되도록 호스삽입부(3b)와 볼트산(4c)이 성형되고 랜치로 잡을수 있도록 육각렌치고정부(15)와 오링삽입홈(13b)이 두 개 성형되고 노즐본체(9)가 삽입되는 축 샤프트(10)의 가운데 지점에는 십자형으로 뚫어진 통공부(14)가 판공되고 연이어 오링삽입홈(13a)과 볼트산(4b)이 성형되어 볼트(5)의 내측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오링(8a)(8b) 및 노즐본체(9)가 마련되는데 노즐본체(9)는 육각형으로 다각을 이루고 가운데는 축샤프트 삽입구(11)가 원형으로 뚫어진 모양이며 육각의 각 면마다 노즐삽입구(12)를 판공할 수 있는데 하나 또는 둘 내지 V자형으로 노즐삽입구(12)를 판공하여 노즐(16)을 각기 용도에 따라서 분사되는 각도에 맞춰 노즐(16)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노즐본체(9)의 축샤프트 삽입구(11)로 누수되는 물(17)을 차단하기 위하여 오링(8a)(8b)가 각각 한쌍씩 오링삽입홈(13a)(13b)에 끼워 지도록 구성된다.
도 2a는 본 고안 도 1a의 B 부분 확대도 내지 도 2b는 본 고안 도 2a의 A - A 선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축 샤프트(10)의 구멍(6)을 통하여 물(17)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노즐본체(9)의 노즐(16)을 통하여 분사 될 수 있도록 오링삽입홈(13a)(13b)사이에 십자형의 통공부(14)를 뚫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는 본 고안 도 1a의 A부분과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호스(1a)(1b)가 호스삽입부(3a)(3b)에 삽입되어 체결너트(2a)(2b)로 고정되어 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본해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3a와,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 호스(1a)(1b)와 체결너트(2a)(2b)는 도시하지 않은상태임)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장치가 시설되어 노즐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4a는 노즐본체(9)에 하나의 노즐(16)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구노즐.
도 4b는 노즐본체(9)에 양측면에 두개의 노즐(16)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하도록 구성된 쌍구노즐.
도 4c는 노즐본체(9)에 두개의 노즐(16)을 결속하되 V자형으로 결속하여 분사하도록 구성된 V자형쌍구노즐로서 각각의 분사각도에 맞춰 사용 할 수 있도록 노즐본체(9)의 육각면에 노즐삽입구(12)를 성형하고 본 고안의 목적인 꼬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분사각도의 조절을 위하여 노즐본체(9)를 회전표시(18)와 같이 회전하여 분사각을 조정하므로 필요한 부분에 적절하게 분사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제조된 회전식 분사노즐은 호스간 연결부의 꼬임 발생시 간단하게 조절하여 분사하도록 하므로서 뿌리식물이나 관엽식물 등 시설하우스에 사용하여 온도 수분 영양제 및 약액등을 골고루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호스와 노즐부의 연결부분의 꼬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분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고 조립이 쉽고 부품이 다순하여 수압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으며 특히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각도와 방향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정한 지점에 분사할 수 있으며 또한 노즐의 적용 수(개수) 와 방향조절 및 노즐간의 간격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장치에 비해 그 길이를 충분히 연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일한 압력으로도 더 넓은 지역에 관수시설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배작물의 종류에 따라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적당량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액체 및 기체를 이송하는 호스(1a)(1b)의 연결부의 꼬임발생시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것에 있어서, 축 샤프트(10)와 노즐본체(9)가 구비되고 축 샤프트(10)의 일측 단부는 호스(1b)가 삽입되도록 호스삽입부(3b)와 볼트산(4c)이 성형되며 랜치고정을 위한 육각렌치고정부(15)와 오링삽입홈(13b)이 두개 성형되고 노즐본체(9)가 삽입되는 축 샤프트(10)의 가운데 지점에는 십자형으로 뚫어진 통공부(14)가 판공되고 두개의 오링삽입홈(13a)과 볼트산(4b)이 성형되어 볼트(5)의 내측에 체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회전식 분사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링(8a)(8b) 및 노즐본체(9)가 마련되고 노즐본체(9)는 육각형으로서 가운데는 축샤프트 삽입구(11)가 원형으로 뚫어지고 육각의 각 면마다 노즐삽입구(12)를 판공하여 하나(단구)또는 둘(쌍구)내지 V자형으로 노즐삽입구(12)를 판공하여 노즐(16)을 각기 용도에 따라서 분사되는 각도에 맞춰 노즐(16)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회전식 분사노즐.
KR2020020004781U 2002-02-07 2002-02-07 회전식 분사노즐 KR200275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81U KR200275708Y1 (ko) 2002-02-07 2002-02-07 회전식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81U KR200275708Y1 (ko) 2002-02-07 2002-02-07 회전식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708Y1 true KR200275708Y1 (ko) 2002-05-13

Family

ID=7311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81U KR200275708Y1 (ko) 2002-02-07 2002-02-07 회전식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7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671B1 (ko) 2012-08-23 2014-03-28 김의환 분사관의 회전장치
KR101381182B1 (ko) 2012-08-24 2014-04-07 주식회사경농 살포기구 고정용 연결구
KR101520419B1 (ko) * 2014-12-03 2015-05-14 주식회사 에코미스티 파이프 분무노즐 연결 어셈블리
KR20190020236A (ko) * 2017-08-18 2019-02-28 형정문 하우스용 분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671B1 (ko) 2012-08-23 2014-03-28 김의환 분사관의 회전장치
KR101381182B1 (ko) 2012-08-24 2014-04-07 주식회사경농 살포기구 고정용 연결구
KR101520419B1 (ko) * 2014-12-03 2015-05-14 주식회사 에코미스티 파이프 분무노즐 연결 어셈블리
KR20190020236A (ko) * 2017-08-18 2019-02-28 형정문 하우스용 분사장치
KR101991362B1 (ko) 2017-08-18 2019-06-21 김재근 하우스용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6233A (en) Irrigation apparatus
US5158231A (en) Mini-sprinkler stake assembly and mini-sprinkler unit and deflector therefore
US6901698B2 (en)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US4017958A (en) Irrigation apparatus
US3361363A (en) Watering device
US20160255780A1 (en)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KR200275708Y1 (ko) 회전식 분사노즐
US7614569B2 (en) Stream nozzle
US4085895A (en) Adjustable spray device
JP3197682U (ja) 植物栽培補助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パイプ、パイプ用バルブ
US3630236A (en) Continuous mini-flow irrigation device
JP3614422B2 (ja) 潅水装置
Hla et al. Introduction to micro-irrigation
KR200469036Y1 (ko) 작물의 점적 관수장치
US4359297A (en) Dike irrigation
CN210226436U (zh) 一种智能灌溉用滴灌管道
Singh et al. Micro-irrigation
US20230040694A1 (en) Root irrigation system
CN219628548U (zh) 一种埋地式压力补偿滴灌养护结构
JP3243563B1 (ja) 果樹等への潅水用装置
KR200222901Y1 (ko) 다기능 농약 분사기
CN220630493U (zh) 一种苹果树苗用喷灌装置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KR20200106803A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클러
KR10099954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