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389Y1 -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 Google Patents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89Y1
KR200275389Y1 KR2020020005394U KR20020005394U KR200275389Y1 KR 200275389 Y1 KR200275389 Y1 KR 200275389Y1 KR 2020020005394 U KR2020020005394 U KR 2020020005394U KR 20020005394 U KR20020005394 U KR 20020005394U KR 200275389 Y1 KR200275389 Y1 KR 200275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pair
corkscrew
housing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김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준 filed Critical 김성준
Priority to KR2020020005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8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인병의 개구부에 마련된 코르크마개를 오픈시키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오프너본체와; 상기 오프너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코르크마개에 매입가능한 스크루부와; 일단이 상기 오프너본체의 타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하며, 상호 접촉될 경우 상기 오프너본체와 상기 스크루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상호 이격될 경우 상기 스크루부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로 활용되면서도 적어도 스크루부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도록 한 코르크마개용 오프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코르크마개용 오프너{Cork opener}
본 고안은,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너하우징이 일체로 마련된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음료나 술과 같은 액체가 담겨진 병의 개구부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있다. 마개는 손으로 비틀어서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오픈할 수 있는 것과, 철 재질로 이루어져 별도의 오프너가 필요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 외에도 와인을 수용하는 와인병의 개구부에는 코르크마개가 마련되어 있다. 코르크마개는 와인병에 수용된 와인의 맛과 향을 신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와인병의 개구부에 압입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없이는 코르크마개를 분리해낼 수 없다.
종래의 코르크마개용 오프너는 회전하면서 코르크마개에 매입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단부에 마련되어 코르크마개로 매입되는 스크루부를 갖는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 스크루부가 코르크마개에 매입될 수 있도록 한다. 코르크마개에 스크루부가 어느 정도 매입되면 손잡이를 당겨 와인병으로부터 코르크마개가 뽑힐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있어서는, 별도의 하우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스크루부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루부에 먼지가 달라붙는 등 그 청결을 유지시킬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오프너에 오프너하우징을 일체로 마련하여 오프너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루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오프너를 사용할 경우 오프너하우징이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로 활용되면서도 적어도 스크루부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도록 한 코르크마개용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의 사시도,
도 2는 오프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프너 12 : 오프너본체
13 : 단차부 14 : 스크루부
16 : 오프너하우징 16a : 스토퍼
17 : 힌지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와인병의 개구부에 마련된 코르크마개를 오픈시키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있어서, 오프너본체와; 상기 오프너본체의 일측에마련되어 상기 코르크마개에 매입가능한 스크루부와; 일단이 상기 오프너본체의 타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하며, 상호 접촉될 경우 상기 오프너본체와 상기 스크루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상호 이격될 경우 상기 스크루부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프너본체의 타측에는 계단형상의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단차부에 걸림유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와 상기 오프너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힌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오프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코르크마개용 오프너(10)는 예를 들어, 와인이 수용되어 있는 와인병(W)의 개구부에 압입되어 있는 코르크마개(C)를 오픈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코르크마개용 오프너(10)는, 오프너본체(12)와, 오프너본체(12)의 일측에 마련되어 코르크마개(C)에 매입가능한 스크루부(14)와, 손잡이로 활용되는 한편 오프너본체(12)와 스크루부(14)를 일체로 감싸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갖는다.
오프너본체(1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오프너(10)의 전체적인 중량을낮추기 위해 나무재질로 제조된다. 그러나, 원통형상 외에도 사각형상이나 기타 다른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나무재질 외에도 플라스틱이나 철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프너본체(12)의 일측에는 스크루부(14)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계단형상의 단차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루부(14)는 코르크마개(C)에 용이하게 매입될 수 있도록 그 선단으로부터 오프너본체(1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 역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러한 형상 외에도 철사를 고리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꼬아 스크루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의 일단과 단차부(13)에는 힌지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은 그 일단에 마련된 힌지부(17)를 축으로 타측이 상호 접근되거나 이격회동할 수 있다. 힌지부(17)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단차부(13)에 헐겁지 않게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은 내부가 빈 긴 직사각통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분리한 형상을 이룬다. 힌지부(17)에 의해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상호 접근되어 접촉할 경우, 직사각통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에 오프너본체(12)와 스크루부(14)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상호 접촉될 경우에는 오프너본체(12)와 스크루부(14)는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으므로 먼지 및 이물이 스크루부(14)에 달라붙어 스크루부(14)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같은 상태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10)를 이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상태가 된다.
힌지부(17)에 의해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상호 이격회동할 경우, 스크루부(14)의 축선에 가로로 배치되어 오프너(10)를 사용하는데 손잡이로 활용된다. 따라서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손잡이로 활용하려면 기존의 오프너(10)와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의 일단에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단차부(13)에 걸림유지되는 스토퍼(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힌지부(17)를 축으로 하여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상호 이격회동시키면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에 형성된 스토퍼(16a)가 단차부(13)의 단턱에 걸림유지됨으로써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루부(14)가 코르크마개(C)에 매입되었을 때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손잡이로 하여 코르크마개(C)를 당겨 와인병(W)으로부터 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코르크마개용 오프너(10)를 이용할 경우에는 먼저, 힌지부(17)에 의해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상호 이격회동시킨 후, 회전시키면서 스크루부(14)가 코르크마개(C)에 매입되도록 한다.
코르크마개(C)에 스크루부(14)가 어느 정도 매입되면, 상호 접촉된 단차부(13)와 스토퍼(16a)의 지지력에 기초하여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손잡이로 한 후, 와인병(W)으로부터 코르크마개(C)를 당겨 뽑는다.
만일, 오프너(1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자 한다면, 힌지부(17)에 의해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상호 접근시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그 내부에 오프너본체(12)와 스크루부(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을 오프너(10)에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오프너(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적어도 스크루부(14) 영역을 차폐하고 오프너(10)를 사용할 경우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힌지부(17)에 의해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상호 접근하여 접촉될 경우,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의 타측에 후크와 후크걸림턱을 형성한다면 임의로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16)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로 활용되면서도 적어도 스크루부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도록 한 코르크마개용 오프너가 제공된다.

Claims (3)

  1. 와인병의 개구부에 마련된 코르크마개를 오픈시키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에 있어서,
    오프너본체와;
    상기 오프너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코르크마개에 매입가능한 스크루부와;
    일단이 상기 오프너본체의 타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회동가능하며, 상호 접촉될 경우 상기 오프너본체와 상기 스크루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상호 이격될 경우 상기 스크루부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본체의 타측에는 계단형상의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한 쌍의 오프너하우징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단차부에 걸림유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오프너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힌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KR2020020005394U 2002-02-23 2002-02-23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KR200275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94U KR200275389Y1 (ko) 2002-02-23 2002-02-23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94U KR200275389Y1 (ko) 2002-02-23 2002-02-23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89Y1 true KR200275389Y1 (ko) 2002-05-11

Family

ID=7307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394U KR200275389Y1 (ko) 2002-02-23 2002-02-23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254B1 (ko) * 2017-05-24 2019-01-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르크 마개 오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254B1 (ko) * 2017-05-24 2019-01-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르크 마개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226B2 (en) Disposable ampoule openers
AU699842B2 (en) Portable corkscrew with accessory to shear the caps on the neck of bottles
US20060043052A1 (en) Bottle closure
US20140020512A1 (en) Sommelier's corkscrew
CA1330709C (en) Champagne bottle opener
US4729267A (en) Champagne bottle opener
KR200275389Y1 (ko) 코르크마개용 오프너
US20050287045A1 (en) Easy-to-open glass ampoule and device
US4659024A (en) Ampul opening device
GB2279646A (en) Tool for breaking a vacuum in a preserving jar closed with a screw cap
EP1157964B1 (en) Corkscrew
KR101260230B1 (ko)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US6295894B1 (en) Beverage package with incorporated bottle cap opener
JPH0110396Y2 (ko)
US20140331599A1 (en) Disposable ampoule opener assembly
KR100523094B1 (ko) 병따개
KR200421382Y1 (ko) 튜브타입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20937Y1 (ko) 병뚜껑 부착 형 병따개
KR200391158Y1 (ko) 회전형 병마개 오프너
EP0325011A1 (en) Champagne bottle opener
JP2004099112A5 (ko)
JPH0449117Y2 (ko)
FR2581980A1 (fr) Dispositif pour enlever les bouchons a vis
RU2171775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бутылок, укупоренных пробками
KR200318838Y1 (ko)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