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135Y1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Google Patents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135Y1 KR200275135Y1 KR2020010031679U KR20010031679U KR200275135Y1 KR 200275135 Y1 KR200275135 Y1 KR 200275135Y1 KR 2020010031679 U KR2020010031679 U KR 2020010031679U KR 20010031679 U KR20010031679 U KR 20010031679U KR 200275135 Y1 KR200275135 Y1 KR 2002751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everage cup
- beverage
- cup portion
- disposab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두 가지 내용물을 담기 위해 3단으로 구성된 일회용 용기에 관한 고안으로
최하단부로서 음료를 담기위한 음료컵부;와, 최상단부로서 제2의 내용물을 담기위한 것으로, 바닥면과 윗면이 뚫려있는 옆면만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료컵부의 지름보다는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 용기부;와, 상기 음료컵부와 상기 용기부 사이에 위치하되 바닥면과 윗면이 뚫려있는 옆면만으로 구성되며, 옆면의 위쪽 끝단은 상기 음료컵부에 접착 결합되고 아래쪽 끝단부는 상기 용기부에 접착 결합되며, 상기 음료컵부와 용기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twist) 옆면이 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구겨져 빨대를 꼽을 수 있을 정도의 구멍만 남긴채 음료컵부에 담겨있는 음료와 용기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패스트푸드(fast food) 산업이 점점 발달하고 있고, 그 다양성이나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 미국을 위시로한 패스트푸드 물결은 이념의 벽도 깨뜨리고 러시아, 중국등 사회주의 국가에 까지도 깊숙하게 파고들고있다.
이제 현대인에게 있어 패스트푸드는 생활의 일 부분으로서 완전히 정착되었으며, 이에따라 패스트푸드 시장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고만 있다.
이와 같은 거대한 시장을 선점하고 독점하기 위해 세계 유수의 패스트푸드 업체들은 패스트푸드 음식 자체의 맛과 개성을 개발하기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이에 못지않게 기발한 용기 개발에도 엄청난 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부분의 패스트푸드점에서는 음료와 기타 음식류(치킨 등)를 서로 별개의 용기에 담아 팔고 있다. 따라서 음료와 치킨을 동시에 먹고자 하는 경우, 양손에 하나씩 들어야 한다. 물론 테이블에 앉아서 먹는 경우라면 큰 문제가 없겠으나 패스트푸드의 특성상 많은 소비자들은 걸어가면서 먹는 경우가 많으므로 양손에 하나씩 음식을 들어야 한다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와같은 필요성에 의해 일부 고안가들에 의해 두가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그 일례로 음료 패트병 2개의 바닥면을 서로 맞붙여 각각 다른 음료를 담는다던가, 가늘고 긴 목을 가진 와인 잔처럼 긴 목을 구비한 용기를 준비하고 그 목에 넣었다 빼었다 할 수 있는 또 다른 용기를 결합하는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구조는 실용성상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성공하지 못했다.
한편 조금 진보된 연구결과로서 일반 음료컵내에 치킨등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를 삽입하되, 상기 용기의 한쪽 가장자리에 빨대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된 구조가 제시되었다. 상기 구조는 실제 패스트푸드점에서 사용 가능한 구조로서 매우 탁월하지만 그러나 이 구조에도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별도의 플라스틱 용기를 제작해야 한다는 경제적 문제점과, 정신없이 바쁜 패스트푸드점에서 음료컵과 상기 플라스틱 용기를 옆에다 쌓아놓고 작업을 해야한다는 작업공간상의 문제와 작업의 번거로움이 문제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용기가 없이 하나의 용기로서 두가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용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용기의 외형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의한 일회용 용기의 위아래 부분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운데 부분이 구겨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완전히 구겨진 상태의 일회용 용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수단의 일 실시예이다.
본 고안은 두 가지 내용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로서 3단으로 구성된다.
그 구체적 구성을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최하단부로서 음료를 담기위한 음료컵부(1)와,
최상단부로서 제2의 내용물을 담기위한 것으로, 바닥면과 윗면이 뚫려있는 옆면만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료컵부의 지름보다는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 용기부(2)와,
상기 음료컵부(1)와 상기 용기부(2) 사이에 위치하되 바닥면과 윗면이 뚫려있는 옆면만으로 구성되며, 옆면의 위쪽 끝단은 상기 음료컵부에 접착 결합되고 아래쪽 끝단부는 상기 용기부에 접착 결합되며, 상기 음료컵부와 용기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twist) 옆면이 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구겨져 빨대를 꼽을 수 있을 정도의 구멍(6)만 남긴채 음료컵부에 담겨있는 음료와 용기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는 음료컵부와 용기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twist) 옆면이 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구겨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3 은 완전히 구겨진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가운데에 빨대(6)가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부(3)의 재질은 종이 또는 비닐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비닐류로는 일반 비닐, 패트(PET) 등이 가능하며, 용기부를 음료컵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잘 구겨지면서도 터지지 않는 특성과, 어느 정도의 열에 견딜 수 있는 특성만을 만족시키면 어떤 물질이든 가능하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부를 음료컵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빨대 구멍만 남고 위(용기부)와 아래(음료컵부)가 완전히 분리되며, 아래에는 음료를 담고, 위에는 치킨이나 팝콘, 튀김류 등을 담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용기에 있어 상기 음료컵부(1)의 내부면상에는 방수처리막(미 도시)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를 음료컵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후(twist) 아래로 눌렀을 때 상기 용기부와 음료컵부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용기부와 음료컵부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필요한 이유는 용기부(2)와 음료컵부(1)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구겨진 분리부(3)가 풀려져 위로 올라온다면 자칫 용기부(2)에 있는 내용물이 엎지러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목적의 결합수단의 일 실시예로서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결합수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결합수단을 일회용 용기에 결합한 일 실시예로는(도 1,2,3 참조), 상기 용기부중 하단 바깥면상의 대칭되는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걸이부를 돌출시켜 형성하며(도 4 에는 2개의 걸이부를 예시함), 상기 음료컵부중 상단 바깥면상의 상기 걸이부에 대응되는 위치상에는 상기 걸이부와 결합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부를 돌출시켜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일 실시예만을 예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부와 음료컵부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결합수단도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용기는 두가지 내용물을 하나로 담아 판매하고자하는 모든 패스트푸드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소비자들도 보다 간편하게 두가지 음식물을 즐길 수 있으므로 그 수요는 가히 폭발적이라 예측된다.
Claims (4)
- 두 가지 내용물을 담기 위해 3단으로 구성된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최하단부로서 음료를 담기위한 음료컵부;최상단부로서 제2의 내용물을 담기위한 것으로, 바닥면과 윗면이 뚫려있는 옆면만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료컵부의 지름보다는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 용기부;상기 음료컵부와 상기 용기부 사이에 위치하되 바닥면과 윗면이 뚫려있는 옆면만으로 구성되며, 옆면의 위쪽 끝단은 상기 음료컵부에 접착 결합되고 아래쪽 끝단부는 상기 용기부에 접착 결합되며, 상기 음료컵부와 용기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twist) 옆면이 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구겨져 빨대를 꼽을 수 있을 정도의 구멍만 남긴채 음료컵부에 담겨있는 음료와 용기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부의 내부면상에는 방수처리막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재질은 종이 또는 비닐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를 음료컵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후(twist) 아래로 눌렀을 때 상기 용기부와 음료컵부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상기 용기부중 하단 바깥면상의 대칭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이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음료컵부중 상단 바깥면상의 상기 걸이부에 대응되는 위치상에는 상기 걸이부와 결합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1679U KR200275135Y1 (ko) | 2001-10-17 | 2001-10-17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1679U KR200275135Y1 (ko) | 2001-10-17 | 2001-10-17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3930A Division KR20030033142A (ko) | 2001-10-17 | 2001-10-17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135Y1 true KR200275135Y1 (ko) | 2002-05-13 |
Family
ID=7311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1679U KR200275135Y1 (ko) | 2001-10-17 | 2001-10-17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135Y1 (ko) |
-
2001
- 2001-10-17 KR KR2020010031679U patent/KR2002751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27829A (en) | Display carton and blank therefor | |
US20010001674A1 (en) | Microwavable meal kit and food packaging system | |
US6261616B1 (en) | Microwavable meal kit and food packaging system | |
US20010035417A1 (en) | Resealable cup-shaped beverage container | |
US20160143467A1 (en) | Air Purging Lid | |
CA2900584A1 (en) | Food container with a support for drinks | |
KR200275135Y1 (ko)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
KR20030033142A (ko)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 | |
WO2016032061A1 (ko) |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 |
AU2004274379A1 (en) | Food containers | |
KR20090009093U (ko) |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 |
AU2012100248A4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30037526A (ko) | 두가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의 제조방법 | |
KR100541265B1 (ko) |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 |
KR200359540Y1 (ko) | 식품용기 | |
CN215664427U (zh) | 一种可置于吸管杯上的包装盒 | |
KR20090024900A (ko) |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 |
KR200309337Y1 (ko) | 식품 분할 저장용기 | |
US20240017893A1 (en) | Container lid and related methods | |
KR200288316Y1 (ko) | 식품용기 | |
KR200226849Y1 (ko) | 컵 | |
KR20090008896U (ko) |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 |
JP2004244095A (ja) | ボトル類用トレー状容器 | |
KR200395130Y1 (ko) | 테이크아웃 일회용 용기 | |
JP7617619B2 (ja) | 中皿付き食品用包装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