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037Y1 - Conveyor - Google Patents

Convey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037Y1
KR200275037Y1 KR2020020005019U KR20020005019U KR200275037Y1 KR 200275037 Y1 KR200275037 Y1 KR 200275037Y1 KR 2020020005019 U KR2020020005019 U KR 2020020005019U KR 20020005019 U KR20020005019 U KR 20020005019U KR 200275037 Y1 KR200275037 Y1 KR 200275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conveyor
wheel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0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삼환
Original Assignee
민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삼환 filed Critical 민삼환
Priority to KR2020020005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03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037Y1/en

Links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물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와; 제 1수동식 컨베이어와 제 2수동식 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휠과, 휠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동력식 컨베이어와; 프레임에 대해 상기 휠을 승강시켜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보다 더 돌출시키거나 또는 더 낮추어주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승강수단은, 휠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프레임에 지지시키되, 일단은 프레임에 피봇지지되는 고정단이며, 타단은 고정단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도록 프레임에 지지되는 자유단으로 된 지지축들과, 지지축들의 자유단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도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지지축의 자유단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에어튜브와, 에어튜브에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펌프와, 에어튜브에 공기가 도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튜브의 공기출입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수동식 또는 동력식 컨베이어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물품을 소망하는 지점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를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동력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물품을 먼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yor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to support and transport the article; A motorized conveyor comprising a fram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anual conveyor and the second manual conveyor, a plurality of wheel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rame,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wheels; And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wheel relative to the frame to further protrude or lower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In particular, the elevating means is a support shaft which supports the wheel to the frame in a rotatable state, one end of which is a fixed end pivotally supported on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so as to rot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end. And an air tube dispos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and the frame and expanded or contracted by air introduced or discharged to move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up and down, an air pump for blowing air into the air tubes, and an air tube. It consists of a solenoid valve that opens or closes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tube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 tube. This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 manual or power conveyor as need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transport the goods to the desired point.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goods can be transported to a long distance by using the power of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ne aligned state.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CONVEYOR}Conveyor Unit {CONVEYOR}

본 고안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수동식 컨베이어로 또는 동력식 컨베이어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물품을 소망하는 지점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or apparatus that can be used as a manual conveyor or a power conveyor as needed to smoothly transport goods to a desired point.

수동식 롤러 컨베이어는 물품의 운반거리가 비교적 짧을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롤러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수동식 롤러 컨베이어는 상부에 올려진 물품을 인력으로 밀어 이동시키거나 또는 경사를 두고 배치하여 물품 자체의 무게로 이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수동식 롤러 컨베이어는 부피가 크고 폭이 넓은 물품을 운반할 경우에, 폭방향으로 여러개 배치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또는 물품을 원거리로 운반할 경우에는, 일렬로 정렬시켜 사용하기도 한다.Manual roller conveyors are mainly used when the transport distance of articles is relatively short, and have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side by side. Such a manual roller conveyor pushes an article mounted on the top by gravity or arranges it at an inclination so as to move at the weight of the article itself. In addition, the manual roller conveyor may be used to arrange a plurality of article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ransporting a bulky and wide items, or may be used in a line when transporting the goods at a long distance.

한편, 이와 같은 수동식 롤러 컨베이어는 운반되는 물품의 부피가 비교적 크고 무거울 경우, 예를 들어 골판지 더미 등과 같은 경우, 큰 부피와 무게로 인해 인력으로 밀어 이동시키더라도 소망하는 지점까지 물품을 운반시킬 수 없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물품을 원거리로 운반하고자 롤러 컨베이어를 일렬로 정렬시켜 사용할 경우, 먼 운반 거리로 인하여 물품을 소망하는 지점까지 운반시킬 수 없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manual roller conveyor can not move the goods to the desired point even if the volume of the material to be transported is relatively large and heavy, for example, cardboard piles, etc. The disadvantages are pointed out. Particularly, when roller conveyors are used in a line to transport goods at a long distance, it is pointed out that they cannot be transported to a desired point due to the long distanc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수동식 컨베이어로 또는 동력식 컨베이어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컨베이어상에 배치된 물품을 인력으로 또는 자동으로 소망하는 지점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the purpose of which can be used as a manual conveyor or a power conveyor as needed, so that the article placed on the conveyor by manpower or automatically desired It is to provide a conveyor device configured to smoothly transport to a poi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동력식 컨베이어의 작동도이다.4 is an operation of the motorized conveyo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20: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 12, 22: 프레임10, 20: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 12, 22: frame

14, 24: 롤러 16, 26: 지지다리14, 24: roller 16, 26: support leg

30: 동력식 컨베이어 40: 프레임30: powered conveyor 40: frame

42: 메인 프레임 43: 제 1지지플레이트42: main frame 43: first support plate

44: 제 2지지플레이트 45: 서브 프레임44: second support plate 45: sub-frame

50: 휠 컨베이어 유닛 52: 지지축50: wheel conveyor unit 52: support shaft

52a: 고정단 52b: 자유단52a: fixed end 52b: free end

54: 휠 54a: 허브54: Wheel 54a: Hub

54b: 제 1체인휠 54c: 제 2체인휠54b: first chain wheel 54c: second chain wheel

54d: 제 1체인 54e: 제 2체인54d: first chain 54e: second chain

56: 구동모터 60: 에어튜브56: drive motor 60: air tube

60a: 공기출입통로 62: 에어펌프60a: air access passage 62: air pump

64: 솔레노이드 밸브 70: 제 1커버64: solenoid valve 70: first cover

72: 제 2커버72: second cov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와; 상기 제 1수동식 컨베이어와 제 2수동식 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휠과, 상기 휠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동력식 컨베이어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휠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보다 더 돌출시키거나 또는 더 낮추어주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to support and transport an article; A motorized conveyor comprising a fram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anual conveyor and the second manual conveyor, a plurality of wheels rotatably installed in a line along the frame,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wheels; And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wheel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to further protrude or lower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휠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에 지지시키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지지되는 고정단이며, 타단은 상기 고정단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자유단으로 된 지지축들과, 상기 지지축들의 자유단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도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지지축의 자유단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가 도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튜브의 공기출입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levating means is supported to the frame by supporting the wheel in a rotatable state, one end is a fixed end pivotally supported on the frame, the other end is rota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end An air tube arrang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and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and the frame and expanded or contracted by air introduced or discharged to move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up and down; And an air pump for blowing air into the air tube, and a solenoid valve for opening or closing the air access passage of the air tube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 tub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들과, 이들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식 컨베이어(3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First,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s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a motorized conveyor (30) installed between.

이를 차례로 살펴보면,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로서, 마주보는 한쌍의 프레임(12, 22)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이들 프레임(12, 22)의 사이에는 다수의 롤러(14, 24)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다. 프레임(12, 22)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14, 24)들은 회전하면서 상부에 지지된 물품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프레임(12, 22)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6, 26)가 설치된다. 복수의 지지다리(16, 26)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12, 22)을 지면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지지다리(16, 26)는 프레임(12, 22)에 나사결합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 (12, 22)에 대한 지지다리(16, 26)의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12, 22)과 지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urn,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are roller conveyors as shown in FIG. 1, each having a pair of facing frames 12 and 22, and these frames 12 and 22 respectively. Between the plurality of rollers 14, 24 are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ollers 14, 24 installed in the frames 12, 22 rotate in one direction moving the article supported there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6 and 26 are installed below the frames 12 and 22.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6 and 26 are supported on the ground to fix the frames 12 and 22 to the ground. Here, the support legs 16 and 26 are screwed to the frames 12 and 22, thereby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legs 16 and 26 relative to the frames 12 and 22.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들은 나란하게배치된 상태에서 상면에 올려진 부피가 크거나 넓은 물품, 예를 들어 골판지 더미 등을 수동으로 운반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nually carry bulky or wide articles, for example, piles of corrugated cardboar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in a side-by-side state.

한편,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는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동력식 컨베이어(30)를 갖는다. 동력식 컨베이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과, 프레임(40)에 설치되는 휠 컨베이어 유닛(50)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wered conveyo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 (10, 20). The motorized conveyor 30 is composed of a frame 40 and a wheel conveyor unit 50 installed in the frame 40, as shown in FIG.

프레임(40)은 메인 프레임(42)과, 메인 프레임(42)의 일측에 고정되는 서브 프레임(45)으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1지지플레이트(43)와 제 2지지플레이트(44)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제 1지지플레이트(43)와 제 2지지플레이트(44)에는 동축을 이루며 정렬되는 축구멍(43a, 44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43a, 44a)들은 제 1지지플레이트(43)와 제 2지지플레이트(44)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The frame 40 is composed of a main frame 42 and a sub frame 45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42. The main frame 42 has a first support plate 43 and a second support plate 44 which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plate 4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4 are coaxial. Shaft holes 43a and 44a are forme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shaft holes 43a and 44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4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4.

서브 프레임(4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지지플레이트(44)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수평지지부(45a)와, 수평지지부(45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메인 프레임(42)의 제 2지지플레이트(44)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지지부(45b)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ub-frame 45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44. The sub-frame 45 is vertically bent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5a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5a to form the main frame 42. It consists of a vertical support (45b)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plate (44).

한편, 프레임(40)에는 메인 프레임(42)의 밑면을 가로지르는 지지빔(46)이 설치되는데, 이 지지빔(46)의 양단에는 한쌍의 지지다리(48)가 설치되며, 이 지지다리(48)는 지면에 지지되어 프레임(40)을 지면에 고정시킨다. 지지다리(48)는 지지빔(46)에 나사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프레임(40)과 지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지지빔(4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42)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ame 46 is provided on the frame 40 across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42, a pair of support legs 48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46, the support leg ( 48 is supported on the ground to fix the frame 40 to the ground. Support leg 48 is screwed to the support beam 46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40 and the ground as needed.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beams 46 are provided in plural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main frame 42.

다시, 도 2를 살펴보면, 동력식 컨베이어(30)의 메인 프레임(42)에는 휠 컨베이어 유닛(50)이 설치된다. 휠 컨베이어 유닛(50)은, 제 1 및 제 2지지플레이트 (43, 44)의 축구멍(43a, 44a)에 양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지지축(52)들과, 지지축 (52)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휠(54)과, 어느 하나의 휠(54)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6)와, 구동되는 휠(54)의 동력을 인접하는 다른 휠(54)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연동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54)의 허브(54a)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 1체인휠(54b) 및 제 2체인휠(54c)과, 인접하는 두 개의 휠(54)의 제 1체인휠(54b)과 제 1체인휠(54b)을 번갈아 감아 연결하는 제 1체인(54d)과, 제 1체인(54d)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인접하는 두 개의 휠(54)의 제 2체인휠(54c)과 제 2체인휠(54c)을 감아 연결하는 제 2체인(54e)으로 구성된다.Again, referring to FIG. 2, a wheel conveyor unit 50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42 of the motorized conveyor 30. The wheel conveyor unit 5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52 fitted at both ends in the shaft holes 43a and 44a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43 and 44, and the support shafts 52, respectively. A plurality of wheels 54 rotatably installed, a drive motor 56 for driving any one wheel 54, and the power of the driven wheel 54 is transmitted to another adjacent wheel 54 to rotate. It consists of interlocking means. In particular, the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chain wheel 54b and a second chain wheel 54c integrally installed in the hub 54a of the wheel 54 as shown in FIG. 1, and two adjacent wheels 54. Of the first chain 54d and alternating winding of the first chain wheel 54b and the first chain wheel 54b of (), and of two adjacent wheels 54 not connected by the first chain 54d. The second chain wheel 54c and the second chain wheel 54c are wound together to connect the second chain 54e.

한편, 구동모터(56)는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어느 하나의 휠(54)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 동력전달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6)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체인휠(56a)과, 휠(54)에 설치되는 제 1체인휠(54b)과, 구동체인휠(56a)과 제 1체인휠(54b)을 감아연결하는 체인(56b)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otor 56 is configured to drive any one of the wheels 54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a drive installed i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56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chain wheel 56a, a first chain wheel 54b provided on the wheel 54, and a chain 56b winding and connecting the drive chain wheel 56a and the first chain wheel 54b.

이와 같은 구성의 휠 컨베이어 유닛(50)은 구동모터(56)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부에 배치된 물품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wheel conveyor unit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erves to move the article disposed thereon while being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56.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동력식 컨베이어(30)에는 휠 컨베이어 유닛(50)의 휠(54)을 상,하로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승강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5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52)의 일단을 프레임(4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에어튜브(60)로서 상기 지지축(52)의 타단을 상부와 하부로 회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and 3 again, the motorized conveyo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means capable of simultaneously lifting the wheel 54 of the wheel conveyor unit 50 up and down. 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means rotatably installs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52 for supporting the wheel 54 with respect to the frame 40, and then supports the support shaft 52 as an air tube 60. It is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by rotat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승강수단은 지지축(52)을 갖는다. 지지축(52)은 그 일단이 프레임(40)에 피봇지지 되는 고정단(52a)이며, 그 타단이 상기 고정단(52a)에 대해 회동되는 자유단(52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축(52)의 타단을 자유단 (52b)으로 구성하기 위해 지지축(52)을 지지하는 제 2지지플레이트(44)의 축구멍 (44a)을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롯으로 구성하였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lifting means has a support shaft (52). The support shaft 52 is a fixed end 52a whose one end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ame 40,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free end 52b which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end 52a. Here, in order to configur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haft 52 as the free end 52b, the shaft hole 44a of the second support plate 44 supporting the support shaft 52 was formed as a slot formed vertically long.

그리고 승강수단은 지지축(52)의 자유단(52b)과 서브 프레임(45)의 수평지지부(45a)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튜브(60)를 갖는다. 에어튜브(60)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공기출입통로(60a)를 갖추고 있으며, 도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거나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수축되면서 지지축(52)의 자유단(52b)을 상,하로 승강시킨다. 여기서, 에어튜브(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45)의 수평지지부(45a)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다수의 지지축(52)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The lifting means has an air tube 60 disposed between the free end 52b of the support shaft 52 and the horizontal support 45a of the subframe 45. The air tube 60 has an air access passage 60a through which air can enter and exit, and the free end 52b of the support shaft 52 is contracted by the air that is expanded or discharged by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therein. Lift up and down. Here, the air tube 60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45a of the sub-frame 45, as shown in Figure 3 is of course configured to lift the plurality of support shafts 52 at the same time.

그리고 승강수단은 에어튜브(6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62)를 구비하며, 아울러 에어튜브(60)의 공기출입통로(60a)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4)를 갖추고 있다. 특히, 솔레노이드밸브(64)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위치에 의해 제어되어 에어튜브(60)에 공기를 도입시키거나 또는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n air pump 62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tube 60, and a solenoid valve 64 for opening or closing the air access passage 60a of the air tube 60. In particular, the solenoid valve 64 is controlled by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to serve to introduce or discharge air into the air tube 60.

이러한 승강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튜브(60)를 팽창시켜 지지축(52)을 상부로 회동시킴으로써 지지축(52)에 지지된 휠(54)을 양옆의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의 상면보다 더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튜브(60)를 수축시켜 지지축(52)을 하부로 회동시킴으로써 지지축(52)에 지지된 휠(54)을 양옆의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보다 아래로 더 낮추는 역할을 한다. 결국, 승강수단은 휠 컨베이어 유닛(50)의 휠(54)을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 보다 더 높여주거나 또는 더 낮추어 줌으로써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를 필요에 따라 수동식으로도 또는 동력식으로 사용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4, the lifting means expands the air tube 60 and pivots the support shaft 52 upward, thereby allowing the wheels 54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52 to be first and second manually. It serves to protrude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10, 2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air tube 60 is contracted to rotate the support shaft 52 downward so that the wheels 54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52 may be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on both sides. 10, 20) to lower down. As a result, the elevating means raises the wheel 54 of the wheel conveyor unit 50 higher or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either manually or as necessary. Make it power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동력식 컨베이어(30)의 상부에는 프레임(40)의 양쪽을 덮는 제 1커버(70)와 제 2커버(72)가 설치된다. 특히, 제 1커버(70)는 지지축 (52)의 자유단(52b)과 에어튜브(60)를 덮을 수 있도록 서브 프레임(45)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커버(72)는 지지축(52)의 고정단(52a)과 연동수단을 덮을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42)에 고정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first cover 70 and the second cover 72 covering both sides of the frame 4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torized conveyor 30. In particular, the first cover 70 is fixed to the subframe 45 so as to cover the free end 52b of the support shaft 52 and the air tube 60. The second cover 72 is fixed to the main frame 42 so as to cover the fixed end 52a of the support shaft 52 and the interlocking means.

다음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컨베이어장치를 수동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4)를 작동시켜 에어튜브(60)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그러면, 에어튜브(60)는 서서히 수축되면서 지지축(52)의 자유단(52b)을 하강시켜 휠(54)의 위치를 양옆의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보다 낮추어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의 롤러(14, 24) 위에 물품을 올려 놓고 이를 인력으로 밀어 줌으로써 소망하는 지점까지 상기 물품을 수동으로 운반한다.Next,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First, when using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ally, by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64 to discharge the air of the air tube (60). Then, the air tube 60 is gradually contracted to lower the free end 52b of the support shaft 52 to lower the position of the wheel 54 than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on both sides. In this state, the article is placed on the rollers 14 and 24 of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and the article is manually transported to the desired point by pushing it with attraction.

그리고 본 고안의 컨베이어장치를 동력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에어펌프(62)를 작동시켜 에어튜브(60)에 공기를 주입시킨다. 그러면, 에어튜브 (60)는 서서히 팽창되면서 지지축(52)의 자유단(52b)을 상승시키게 되고, 지지축 (52)의 자유단(52b)이 상승됨에 따라 이에 지지된 휠(54)의 상면 높이가 양옆의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보다 더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10, 20)의 롤러(14, 24) 위에 물품을 올려 놓으면, 올려진 물품은 휠 컨베이어 유닛(50)의 휠(54)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소망하는 지점까지 운반될 수 있는 것이다.And if you want to use the convey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ower, first operate the air pump 62 to inject air into the air tube (60). Then, the air tube 60 is gradually expanded to raise the free end 52b of the support shaft 52, and as the free end 52b of the support shaft 52 is raised, The top surface is projected more than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on both sides. When the article is placed on the rollers 14 and 24 of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10 and 20 in this state, the raised article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wheel 54 of the wheel conveyor unit 50.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desired point.

한편,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를 동력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를 일렬로 정렬시켜서 물품을 원거리로 운반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y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type, it can be useful to align the convey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ne to convey the goods at a long distan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는 필요에 따라 수동식 컨베이어로 또는 동력식 컨베이어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물품을 소망하는 지점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를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동력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물품을 먼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manual conveyor or a power conveyor as needed, so that bulky or heavy items can be smoothly transported to a desired point.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goods can be transported to a long distance by using the power of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igned in a lin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 사이에 동력식 휠 컨베이어를 배치시켜 필요에 따라 수동식 컨베이어로 또는 동력식 컨베이어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물품을 소망하는 지점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컨베이어 장치를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동력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물품을 먼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manual conveyor or a motorized conveyor as needed by placing a motorized wheel conveyor between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Large or heavy items can be transported smoothly to the desired point.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goods can be transported to a long distance by using the power of the convey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ne aligned state.

Claims (3)

물품을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와;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disposed side by side at intervals to support and transport the article; 상기 제 1수동식 컨베이어와 제 2수동식 컨베이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휠과, 상기 휠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동력식 컨베이어와;A motorized conveyor comprising a fram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anual conveyor and the second manual conveyor, a plurality of wheels rotatably installed in a line along the frame,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wheels;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휠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제 1 및 제 2수동식 컨베이어보다 더 돌출시키거나 또는 더 낮추어주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An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or lowering the wheel with respect to the frame to protrude or lower the first and second manual conveyo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fting means, 상기 휠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에 지지시키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지지되는 고정단이며, 타단은 상기 고정단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자유단으로 된 지지축들과, 상기 지지축들의 자유단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도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지지축의 자유단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가 도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튜브의 공기출입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The wheel is supported in the rotatable state and supported on the frame, one end of which is a fixed end pivotally supported on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free end supported by the frame so as to rot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end. And an air tube dispos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and the frame and expanded or contracted by air introduced or discharged to move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shafts up and down, and an air pump for blowing air into the air tubes. And a solenoid valve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air access passage of the air tube so that air may be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어느 하나의 휠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다른 휠들은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휠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motor is configured to drive only one wheel, the other wheels are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 by the interlocking means,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휠의 허브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 1체인휠 및 제 2체인휠과, 인접하는 두개의 휠의 제 1체인휠들을 번갈아 감아 연결하는 제 1체인과, 상기 제 1체인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인접하는 두 개의 휠의 제 2체인휠들을 감아 연결하는 제 2체인으로 구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The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chain wheel and a second chain wheel integrally installed at the hub of the wheel, a first chain alternately winding the first chain wheels of two adjacent wheels, and the first chain. Convey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chain for winding the second chain wheels of two adjacent adjacent wheels connected.
KR2020020005019U 2002-02-20 2002-02-20 Conveyor KR20027503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019U KR200275037Y1 (en) 2002-02-20 2002-02-20 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019U KR200275037Y1 (en) 2002-02-20 2002-02-20 Convey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037Y1 true KR200275037Y1 (en) 2002-05-09

Family

ID=7311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019U KR200275037Y1 (en) 2002-02-20 2002-02-20 Convey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03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1321A (en) Openable container base
EP22314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conveyor belt rollers
KR20100135057A (en) Movable conveyor for produce
CA2310866A1 (en) Non-personnel lifting device
KR20030069453A (en) System for loading board
KR20070015742A (en) Conveyor system
KR200275037Y1 (en) Conveyor
KR200275035Y1 (en) Conveyor
US2956697A (en) Unstacking machine
KR20040022733A (en) A burden lifting carrier with rotate-function
JP2004155569A (en) Handling facility for platelike body
CN110817451B (en) Goods mobile device and container hacking machine
KR100504321B1 (en) Badge Automatic Granulator of Mushroom Cultivator
US20060182619A1 (en) Lift and movement system for shelving
ES2320691T3 (en) APPLIANCE FOR LOADING / UNLOADING CERAMIC PRODUCTS TO / OF ROLLER STORAGE BOXES.
KR200335269Y1 (en) Badge Automatic Granulator of Mushroom Cultivator
KR20060025352A (en) Equipment for loading
KR101985306B1 (en) Stcking apparatus for sandwich panel
JPH0520400Y2 (en)
CN218809174U (en) Automatic loading system provided with jacking conveying mechanism
JPH0834522A (en) Shifting method and device for folding container
CN220809440U (en) Indoor small-size brick transport vechicle of building
CN214687034U (en) Plywood assembly platform with no drive roller
US20220411200A1 (en) Product transportation system with product presentation device
CN210364618U (en) Carton changes t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