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36Y1 -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 Google Patents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36Y1
KR200274936Y1 KR2020020003834U KR20020003834U KR200274936Y1 KR 200274936 Y1 KR200274936 Y1 KR 200274936Y1 KR 2020020003834 U KR2020020003834 U KR 2020020003834U KR 20020003834 U KR20020003834 U KR 20020003834U KR 200274936 Y1 KR200274936 Y1 KR 200274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rrier
handle
infants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예
Priority to KR2020020003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36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및 영아를 재우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만곡형 곡면부가 형성된 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별도의 핸들을 장착하고, 핸들의 회전부에는 유모차와의 고정수단과 핸들회전 고정수단을 형성하며, 몸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별도의 안전밸트를 형성하되, 안전밸트의 일측에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밸트의 길이가 조정되게 함으로서,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회전되는 핸들에 의해 요람으로 사용하거나, 휴대용 바구니 및 차량용 안전시트는 물론, 유모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면서도, 지면에서 흔들리지 않는 고정형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성이 매우 향상되면서도, 여행이나 장거리 외출시에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모든 필요용품들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multipurpose carrier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 및 영아를 재우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각도로 위치 변경되는 핸들과, 몸체 하부 저면의 곡면부 및 핸들 하부의 장착구에 의한 유모차와의 결합이 가능하여, 캐리어를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하거나 바닥에서 요람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차의 시트에 안전하게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통상의 유모차에도 장착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간편하면서도 그 사용범위가 매우 다양한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이다.
유아 및 영아는 이동시나 수면시 특히 안전에 주의하여야 하므로 잠을 자거나 이동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캐리어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캐리어는 유아 및 영아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휴대 및 운반성이 용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전기한 캐리어 이외에도 요람이라든지 휴대용 아기바구니 또는 차량용 안전시트 등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다양한 기능 및 형탸를 갖고 있는 유모차이다.
여기서, 전기한 요람은 실내에서 유아 및 영아를 재우기 위한 것으로 저면이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요람을 상하로 흔들면 그 완곡형상의 곡면부에 의해 요람이 부드럽게 흔들리면서 유아 및 영아의 수면을 돕는 것이며,
아기바구니는 보호자가 손으로 바구니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서, 유모차나 별도의 캐리어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이동이 자유로운 것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자에 들어 유아 및 영아는 반드시 차량용 안전시트에 앉힌 상태에서만이 차량의 운행이 허용됨에 따라 유아 및 영아가 있는 각 가정마다 별도의 안전시트를 구매하여 이를 차량의 시트에 올려 놓은 후 안전밸트에 의해 이를 고정하므로 차량의 충돌 및 급출발, 급제동시 유아 및 어린이가 바닥으로 떨어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차량용 안전시트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안전시트는 가정내에 유아 및 영아가 있으면서 외출 및 이동이 잦은 현대인의 가정에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캐리어 이외에도 보다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을 갖는 유아 및 영아용 기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대부분의 유아 및 영아용 용품들은 모두 각각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통상적으로 하나의 가정내에는 요람은 물론 아기바구니, 차량용 안전시트 등을 모두 각각으로 구매하여 비치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보관 및 운반은 물론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장거리 여행을 하게 되는 경우 전기한 모든 용품들을 모두 준비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하나라도 빠트리게 되면 유아 및 영아를 돌보기가 매우 번거롭게 되는 것이며, 특히 안전시트는 반드시 지참하여야 하는 반면, 차량에 의한 이동후에는 거의 사용치 않는 것이므로 수고에 비해 효용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저면에 만곡형 곡면부가 형성된 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별도의 핸들을 장착하고, 핸들의 회전부에는 유모차와의 고정수단과 핸들회전 고정수단을 형성하며, 몸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별도의 안전밸트를 형성하되, 안전밸트의 일측은 별도의 밸트고정수단에 의해 길이 조정되게 함으로서,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요람으로 사용하거나, 휴대용 바구니 및 차량용 안전시트는 물론, 유모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면서도, 지면에서 흔들리지 않는 고정형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휴대 및 보관성이 매우 향상되면서도,
여행이나 장거리 외출시에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모든 필요용품들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다용도 캐리어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수단으로는 캐리어 핸들을 회전시킴은 물론 일정각도에서 위치고정되게 하는 핸들 고정수단과, 유모차에 형성된 돌출턱에 본 고안 캐리어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유모차 고정수단과, 본 고안 캐리어를 사용하는 유아 및 영아의 신체를 캐리어로부터 고정하기 위한 안전밸트 및 그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캐리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캐리어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캐리어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캐리어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캐리어의 밸트 고정수단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캐리어의 핸들 확대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 캐리어 핸들의 작동도로서,
도 7a는 핸들의 각도 조정 위치도
도 7b는 핸들의 각도에 따라 본 고안 캐리어가 요람으로 사용되는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 캐리어의 내측에 쿠션시트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캐리어의 쿠션시트에 절첩식 차양을 설치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캐리어를 유모차에 장착하기 전의 분리도
도 11은 본 고안 캐리어를 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12a 및 도 12e는 본 고안 캐리어가 유모차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과정도로서,
도 12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의 단면도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의 레버를 전개시킨 상태도
도 12c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에 유모차 돌출구를 삽입하는 상태도
도 12d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에 유모차 돌출구가 삽입되는 과정도
도 12e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에 유모차 돌출구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 캐리어를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경사면 2 : 몸체
3 : 핸들 4 : 곡면부
5 : 승강로드 6 : 스프링
7 : 경사노브
10,10' : 내관 11,11' : 돌출턱
12,12' : 걸림홈
20,20' : 외관 21 : 회전판
22 : 작동레버 23 : 요홈
24 : 걸림부 25,25' : 걸림턱
26 : 작동편 27 : 스프링
28 : 돌출부 29 : 절곡부
30,30' : 밸트공 31 : 밸트고정편
32 : 밸트고정수단 33,33' : 밸트
34,34' : 밸트결합구 35 : 브라켓
36 : 스프링 37 : 개폐레버
38 : 누름구
40 : 돌출고리 41,41' : 돌출고리
50 : 차량용 밸트 51 : 유모차
52 : 돌출턱 53,53' : 밸트인출공
54 : 쿠션시트 55 : 합단추
56 : 차양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다용도 캐리어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다용도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함몰된 중앙으로부터 양측 상향의 경사면(1)(1')을 형성한 몸체(2)와, 몸체(2)의 상부 양측에 힌지 고정된 핸들(3)을 형성하되, 몸체(2)의 양측에는 관체상의 내관(10)(10')을 일정길이 돌출형성하고, 핸들(3)의 양측 하단에는 전기한 내관(10)(10')을 덮어 씌우는 외관(20)(20')을 형성하여, 몸체(2)의 내관(10)(10') 및 핸들(3)의 외관(20)(20')이 상호 결합되어 핸들(3)이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몸체(2)의 저면을 만곡형 곡면부(4)로 형성하여 유아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그 몸체를 상하로 흔들면 그 곡면부(4)에 의해 몸체(2)가 흔들거리며 요람으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전기한 몸체(2)의 내관(10)(10')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분할된 돌출턱(11)(11')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일정간격의 걸림홈(12)(12')이 형성되게 하며, 핸들(3)의 내부공간에는 승강로드(5)를 내입하여 승강로드(5)의 하단이 전기한 내관(10)(10')의 걸림홈(12)에 삽입되게 하고, 승강로드(5)의 상단은 스프링(6)에 의해 탄지되게 하며, 승강로드(5)의 상측에는 핸들(3)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승강노브(7)와 결합되게 함으로서 그 승강로드(5)의 작동에 의해 핸들(3)이 회전 또는 고정되게 하여 핸들(3)의 고정각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용도로서 활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핸들(3)의 외관(20)(20') 내측에 위치한 내관(10)(10')의 내부에는 별도의 회전판(21)을 결합하되, 회전판(21)에는 전기한 내관(10)(10')의 커버역활을 하는 외관(20)(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레버(22)와, 요홈(23)에 의한 걸림부(24)와, 다단의 걸림턱(25)(25')을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스프링(27')에 의해 탄지되게 하며,
회전판(21)에 형성된 요홈(23)에 의한 걸림부(24) 타측에는 대향된 별도의 작동편(26)을 스프링(27)에 의해 탄지하되, 작동편(26)의 일단에는 돌출부(28)를형성하고 타단에는 절곡부(29)를 형성하여,
회전판(21)의 걸림부(24)와 작동편(26)의 돌출부(28)가 상호 대향되게 하고, 스프링(27) 탄지된 작동편(26)의 절곡부(29)에는 회전판(21)의 걸림턱(25)(25')이 계지되어 고정되게 함으로서, 유모차(51)에 형성된 별도의 돌출턱(52)에 그 몸체(2) 및 핸들(3)를 장착 결합하여, 유모차(51)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몸체(2)의 일측 경사면(1)에는 다수의 밸트공(30)(30')을 형성하고, 타측 경사면(1')에는 밸트고정편(31) 및 밸트고정수단(32)을 형성하여, 밸트고정편(31)과 밸트공(30)(30')으로부터 인출된 밸트(33)(33')가 공지의 밸트결합구(34)(34')에 의해 상호 결합되게 하고, 밸트공(30)(30')으로 부터 인출된 밸트(33)의 타측단은 전기한 밸트고정수단(32)에 의해 길이조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몸체(2)의 일측 경사면(1) 하부에는 길이상의 돌출고리(40)를 일체로 형성하고, 몸체(2)의 타측 경사면(1')의 외부 양측에는 또다른 길이상의 돌출고리(41)(41')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의해 차량용 밸트(50)가 유도 고정되게 함으로서, 차량용 밸트(50)에 의해 본 고안 캐리어를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전하게 차량용 안전시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밸트고정수단(32)은, 몸체(2)와 고정된 브라켓(35)과 그 브라켓(35)에 스프링(36) 탄지된 개폐레버(37) 및 개폐레버(37)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기한 브라켓(35)과 당접되는 누름구(38)로 형성하여 그 밸트고정수단(32)에 의해밸트(33)의 길이가 조정되게 함으로서 본 고안 캐리어를 이용하는 유아 및 영아가 캐리어 밖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캐리어는 몸체(2)의 상측 내부면에 별도의 쿠션시트(54)를 씌워 고정하되, 전기한 밸트(33)(33')가 쿠션시트(54)에 형성된 밸트인출공(53)(53')을 이용하여 쿠션시트(54)의 상부로 노출되게 하여 유아 및 영아가 보다 안락한 상태에서 잠을 자거나 이동되게 하는 것이며,
전기한 쿠션시트(54)의 일측에는 별도의 합단추(55)를 형성하여, 이와 대응되는 합단추를 갖는 차양(56)에 의해 쿠션시트(54)의 일측 즉, 캐리어의 일측에 차양막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다용도 캐리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1')을 갖는 몸체(2)와 몸체(2)에 결합되어 회전가능케 결합된 핸들(3)로 구성된 것으로서, 그 핸들(3)의 고정 위치에 따라 요람으로 사용되게 하거나, 파지용 바구니 또는 지면에 위치 고정되는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에 장착하여 함께 이동하거나 차량용 시트에 올려놓고 별도의 차량용 안전밸트에 의해 그 캐리어를 고정하는 유아용 안전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몸체(2)의 경사면(1)(1')은, 일측 경사면(1)에는 유아 및 영아의 등이 밀착되게 하고, 타측 경사면(1')에는 유아 및 영아의 다리가 걸쳐지게 함으로서 유아 및 영아의 보다 편안한 자세를 갖게 하여 장거리 이동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하며 이동중의 수면시에도 보다 안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캐리어는 몸체(2)의 내부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밸트(33)(33') 및 밸트결합구(34)(34')의 상호 계합에 의해 캐리어 내부의 유아가 흔들리거나 캐리어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며, 별도의 밸트고정수단(32)에 의해 일측의 밸트(33) 길이를 임의대로 조정가능하므로 유아 및 영아의 신체크기에 따라 가장 적절한 길이의 밸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밸트(33)는 몸체(2)의 상부로부터 밸트공(30)(30')을 통해 몸체(2)의 저면으로 삽입되고 몸체(2)의 저면을 가로질러 몸체(2)의 일측 경사면(1')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다른 밸트(33')는 일측 경사면(1')의 밸트고정편(31)을 통해 몸체(2)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인데, 그 일측 경사면(1')에 형성된 밸트고정수단(32)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브라켓(35)에 스프링(36) 탄지된 개폐레버(37)로 구성된 것이어서, 개폐레버(37)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면 스프링(36)에 의해 하향 압압되어 있던 개폐레버(37)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개폐레버(37)의 상승작용과 동시에 개폐레버(37) 하부의 누름구(38)가 함께 상승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누름구(38)에 의해 눌려 위치 고정되어 있던 밸트(33)는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인위적인 힘에 의해 그 밸트(33)를 잡아당기거나집어넣어 밸트(33)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정한 다음 그 개폐레버(37)를 놓게 되면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레버(37) 및 누름구(38)를 하강시켜 그 누름구(38)에 의해 밸트(33)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함으로서 이후부터는 밸트(33)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밸트(33)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37) 및 누름구(38)를 들어올려 밸트(33)의 길이를 조정하여야 하지만, 몸체(2)의 상부로 노출된 밸트(33)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작동레버(37) 및 누름구(38)를 들어올릴 필요없이 그 밸트(33) 만을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그 누름구(38)의 형성방향이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상으로 위치되어 있으므로, 밸트(33)가 외측으로는 잡아당겨지는 반면 내측으로의 진입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밸트(33)의 길이를 보다 짧게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밸트(33)의 길이를 길게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한 바와 같이 밸트고정수단(32)에 의해 위치고정된 밸트(33)의 길이를 임의대로 조정하여 몸체(2)의 일측 경사면(1)의 밸트공(30)(30')으로 노출되는 밸트(33) 및 몸체(2)의 타측 경사면(1')에 고정되어 있는 밸트(33')를 각 단부의 밸트결합구(34)(34')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하면 유아 및 영아의 신체가 본 고안 캐리어에 밀착되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몸체와 핸들간의 회전결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작동관계를 기술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캐리어의 핸들(3)은, 핸들(3)의 일측으로 노출된 승강노브(7)를 상승시키면 그 핸들(3) 내부의 승강로드(5)가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승강로드(5)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던 몸체(2) 내관(10)(10')의 걸림홈(12)(12')으로부터 그 승강로드(5)가 이탈하므로 핸들(3)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몸체(2) 내관(10)(10')의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의 돌출턱(1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턱(11)(11')의 이격간격에 의해 그 내관(10)(10')의 내부의 돌출턱(11)(11')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다수의 분할된 걸림홈(12)(12')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3)의 내부에 내장되어 그 하부의 내관(10)(10')측으로 돌출된 승강로드(5)는 그 승강로드(5)의 단부가 전기한 내관(10)(10')의 걸림홈(12)(1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내관(10)(10')의 돌출턱(11)(11')에 걸려 핸들(3)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승강노브(7)의 상승작용에 의해 승강로드(5)를 상승시키면 그 내관(10)(10')의 걸림홈(12)(12')으로부터 승강로드(5)의 하단이 이탈되므로 핸들(3)의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승강로드(5)의 상부에는 별도의 스프링(6)이 내장되어 있어 그 스프링(6)에 의해 승강로드(5)가 항상 하향의 압압력을 갖게 하므로 승강로드(5)의 하단이 몸체(2) 내관(10)(10')의 걸림홈(12)(1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그 승강노브(7)를 상승시키기 전에는 승강로드(5)의 하둔부가 그 걸림홈(12)(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되는 핸들(3)은 도 7a의 도시와 같이 핸들(3)이 수직인 상태와 수평에 가까운 상태 및 지면에 맞닿는 상태로 분할되어 각각 위치 고정되는 것이며, 핸들(3)이 수직인 상태에서는 그 핸들(3)을 파지한 상태로 아기 바구니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는 도 7b의 도시와 같이 요람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몸체(2)의 저면에 형성된 곡면부(4)에 의해 그 몸체(2) 또는 핸들(3)을 상하로 자연스럽게 흔들어주면 몸체(2)가 종래의 요람과 같이 흔들거리면서 유아 및 영아가 보다 안락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핸들(3)이 지면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몸체(2)의 저면에 곡면부(4)가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핸들(3)의 일측이 지면에 닿아 있으므로 몸체(2)가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고정형의 침대와 같이 또다른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기능 및 용도로 사용되는 본 고안 캐리어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그 몸체(2)의 상부 내측에 별도의 쿠션시트(54)를 씌워 이에 의해 보다 편안함 및 안락함을 부여하게 되는데, 그 쿠션시트(54)에는 전기한 밸트(33)(33')가 쿠션시트(54)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별도의 밸트인출공(53)(53')을 형성함으로서, 이에 의해 쿠션 및 안락감이 증대되면서도 안전밸트의 사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쿠션시트(54)의 양측단에 별도의 합단추(55)를 형성하여 이에 절첩 가능한 차양(56)를 결합함으로서, 그 차양에 의해 캐리어의 일측에 차양막이 형성되게 함은 물론 합단추(55)에 의해 쿠션시트(54)와 차양(56)을 힌지결합하고 있으므로 그 차양(56)을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절첩식 차양(56)을 몸체(2)의 일측으로 회전 절곡하여 그 차양(56)이 접힌 상태가 되게 하므로 햇빛이 따갑거나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또는 우천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캐리어는 전기한 바와 같이 그 캐리어의 단독적인 사용이 아닌 유모차와 함께 결합사용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동거리가 비교적 멀거나 손으로 파지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유아 및 영아가 잠든 상태에서 통상의 캐리어로부터 유모차로 옮겨 재울 때에는 잠이 깨거나 기온변화에 의해 감기 등이 걸릴 수 있으므로 이럴때에는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 전체를 유모차에 옮겨 장착하여 유모차와 함께 이동하므로 보다 캐리어의 휴대 및 이동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유아 및 영아에게도 지속적으로 체온이 유지된 상태를 제공하므로 보다 잠을 깨지 않으면서도 안락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 캐리어의 핸들(3) 하단에 형성된 외관(20)(20')의 내측의 내관(10)(10') 내부에는 별도의 회전판(21)에 의한 걸림부(24) 및 작동편(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판(21)의 걸림부(24) 및 작동편(26)은 유모차(51)에 미리 형성된 돌출턱(52)과 상호 계합되는 것이므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유모차(51)와 캐리어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11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캐리어를 유모차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시켜, 유모차(51)의 돌출턱(52)이 그 핸들(3) 하부의 외관(20)(20') 내부로 삽입되면 유모차의 상부에 본 고안 캐리어가 장착 고정되는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a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캐리어의 몸체(2)의 내관(10)(10') 내부에는 회전가능한 회전판(21)과 스프링(27) 탄지된 작동편(26)이 내장되어 있고, 그 회전판(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한 내관(10)(10')의 커버역활을 하는 외관(20)(20')의 외측으로 작동레버(22)가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그 작동레버(22)를 회전시키면 내관(10)(10') 내부의 회전판(2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캐리어를 유모차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12b의 도시와 같이 작동레버(22)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위치고정되게 하되, 작동레버(22)는 그 내측의 회전판(21)이 회전되면서 회전판(21)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25)(25')에 작동편(26)의 절곡부(29)가 삽입되면서 위치 고정되는 것이며, 회전판(21)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판(21)을 탄지하고 있던 스프링(27')이 압축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동레버(22)를 회전시켜 회전판(21)을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몸체(2)를 들어올려 유모차(51)의 돌출턱(52)에 그 핸들(3) 하부의 외관(20)(20')을 위치시키고, 도 12c의 도시와 같이 하부로 그 캐리어를 하강시키면 유모차(51)의 돌출턱(52)이 먼저 작동편(26)의 돌출부(28)을 건드리며 내측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며, 작동편(26)의 돌출부(28)가 내측으로 밀리며 그 작동편(26)이 회전되므로 작동편(26)의 타측 절곡부(29)가 회전되며 그 회전판(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며, 회전판(21)으로부터 작동편(26)의 절곡부(29)가 이탈됨과 동시에 그회전판(21)은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해 도 12d의 도시와 같이 빠르게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며, 도 12e의 도시와 같이 몸체(2)를 완전히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회전판(21)의 걸림부(24)와 작동편(26)의 돌출부(28)에 의해 유모차(51)의 돌출턱(52)이 이탈되지 않게 파지하게 되므로 유모차(51)에 본 고안 캐리어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캐리어는 좌우 양측에만 유모차(51)의 돌출턱(52)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나, 유모차(51)에 형성된 각종 프레임 및 손잡이 등에 의해 캐리어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그 캐리어가 전후로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문제점이 없으므로 안전한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캐리어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차량에 의한 이동시에 차량용 시트에 올려져 그 차량용 밸트(50)에 의해 고정된 안전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차량용 밸트(50)을 잡아당겨 이를 본 고안 캐리어의 몸체(2)에 걸어 고정하되, 차량용 밸트(50)를 몸체(2)의 일측 돌출고리(50)와 양측 돌출고리(41)(41')에 걸쳐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그 차량용 밸트(50)를 걸어 고정하면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돌출고리(40)(41)(41')는 차량용 밸트(50)의 정확한 걸림 형태를 유도하거나, 차량의 급제동 및 충돌 사고시에도 그 캐리어 몸체(2)가 차량용 밸트(50)로부터 미끌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고정된 본 고안 캐리어는 차량의 전진 방향과는 반대로 유아및 영아가 위치하게 되는 뒤보기의 형태가 되는 것이므로, 급제동 및 충돌시에 유아 및 영아의 신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캐리어는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핸드 캐리어는 물론 요람 및 지면고정 침대로의 다양한 변경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이동시에는 유모차에 장착하여 함께 이동하거나 차량용 안전시트로의 변경 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 및 목적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는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요람으로 사용하거나, 휴대용 바구니 및 차량용 안전시트는 물론, 유모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면서도, 지면에서 흔들리지 않는 고정형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휴대 및 보관성이 매우 향상되면서도, 여행이나 장거리 외출시에 하나의 캐리어만으로도 모든 필요용품들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함몰된 중앙으로부터 양측 상향의 경사면(1)(1')을 형성한 몸체(2)와, 몸체(2)의 상부 양측에 힌지 고정된 핸들(3)을 형성하되, 핸들(3)이 위치한 몸체(2)의 양측에는 관체상의 내관(10)(10')을 일정길이 돌출형성하고, 핸들(3)의 양측 하단에는 전기한 내관(10)(10')을 덮어 씌우는 외관(20)(20')을 형성하여, 그 몸체(2)의 내관(10)(10') 및 핸들(3)의 외관(20)(20')이 상호 결합되어 핸들(3)이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의 저면을 만곡형 곡면부(4)로 형성하여 이를 요람으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의 내관(10)(10')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분할된 돌출턱(11)(11')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일정간격의 걸림홈(12)(12')이 형성되게 하며, 핸들(3)의 내부공간에는 승강로드(5)를 내입하여 승강로드(5)의 하단이 전기한 내관(10)(10')의 걸림홈(12)에 삽입되게 하고, 승강로드(5)의 상단은 스프링(6)에 의해 탄지되게 하며, 승강로드(5)의 상측에는 핸들(3)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승강노브(7)와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4.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의 상측에는 별도의 쿠션시트(54)를 씌워 탄력성을갖게 하되, 쿠션시트(54)에는 다수의 밸트인출공(53)(53')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5. 제 4항에 있어서, 쿠션시트(54)의 일측에는 별도의 합단추(55)를 형성하여, 이에 전기한 합단추(55)와 대응되는 합단추를 갖는 공지의 절첩식 차양(56)이 착탈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6.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의 내관(10)(10') 내부에는 별도의 회전판(21)을 결합하되, 회전판(21)에는 전기한 내관(10)(10')의 커버역활을 하는 외관(20)(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레버(22)와, 요홈(23)에 의한 걸림부(24)와, 다단의 걸림턱(25)(25')을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스프링(27')에 의해 탄지되게 하며,
    회전판(21)의 걸림부(24) 타측에는 대향된 별도의 작동편(26)을 스프링(27)에 의해 탄지하되, 작동편(26)의 일단에는 돌출부(28)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절곡부(29)를 형성하여,
    회전판(21)의 걸림부(24)와 작동편(26)의 돌출부(28)가 상호 대향되게 하고, 스프링(27) 탄지된 작동편(26)의 절곡부(29)에는 회전판(21)의 걸림턱(25)(25')이 계지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7.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의 일측 경사면(1)에는 다수의 밸트공(30)(30')을 형성하고, 타측 경사면(1')에는 밸트고정편(31) 및 밸트고정수단(32)을 형성하여,밸트고정편(31)과 밸트공(30)(30')으로부터 인출된 밸트(33)(33')가 공지의 밸트결합구(34)(34')에 의해 상호 결합되게 하고, 밸트공(30)(30')으로 부터 인출된 밸트(33)의 타측단은 전기한 밸트고정수단(32)에 의해 길이조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8.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의 일측 경사면(1) 하부에는 길이상의 돌출고리(40)를 일체로 형성하고, 몸체(2)의 타측 경사면(1')의 외부 양측에는 또다른 길이상의 돌출고리(41)(41')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의해 차량용 밸트(50)가 유도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9. 제 7항에 있어서, 밸트고정수단(32)은, 몸체(2)와 고정된 브라켓(35)과 그 브라켓(35)에 스프링(36) 탄지된 개폐레버(37) 및 개폐레버(37)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기한 브라켓(35)과 당접되는 누름구(38)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KR2020020003834U 2002-02-06 2002-02-06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KR200274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34U KR200274936Y1 (ko) 2002-02-06 2002-02-06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34U KR200274936Y1 (ko) 2002-02-06 2002-02-06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36Y1 true KR200274936Y1 (ko) 2002-05-13

Family

ID=7311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834U KR200274936Y1 (ko) 2002-02-06 2002-02-06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725B1 (ko) * 2011-03-08 2011-12-23 배종훈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2312486B1 (ko) * 2019-12-31 2021-10-14 최승용 유아용 스마트 침대
KR20220046076A (ko) * 2020-10-07 2022-04-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아기 바구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725B1 (ko) * 2011-03-08 2011-12-23 배종훈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2312486B1 (ko) * 2019-12-31 2021-10-14 최승용 유아용 스마트 침대
KR20220046076A (ko) * 2020-10-07 2022-04-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아기 바구니
KR102418484B1 (ko) 2020-10-07 2022-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아기 바구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2142A1 (en) Z-foldable stroller and accessories
US6067676A (en) Playyard with a door
US7181788B2 (en) Mattress hugging bed rail
US8182033B2 (en) Child restraint systems
US7329192B2 (en) Infant swing with vibration
EP0258826A2 (en) Self-supporting/maintaining mechanism of baby carriage
US20020016991A1 (en) Collapsible play yard
US20020002741A1 (en) Baby bouncer/bassinet
US20070235966A1 (en) Stroller with Removable Arm Bar
WO2018009971A1 (en) Z-foldable stroller and accessories
US6952847B1 (en)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US20140215712A1 (en) Child sleep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sleep angle
KR102372031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0274936Y1 (ko)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CN209898878U (zh) 一种可折叠的床边床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CN110001737A (zh) 婴儿推车架
CN210116539U (zh) 一种儿童推车加长支架
KR200474112Y1 (ko) 유아용 캐리어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KR102415226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20240041225A1 (en) Convertible soothing infant seat
CN220147191U (zh) 提篮拆换系统
CN219115540U (zh) 一种手推儿童车座椅调节装置
KR101007823B1 (ko) 자전거 겸용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