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683Y1 -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683Y1
KR200274683Y1 KR2020020003713U KR20020003713U KR200274683Y1 KR 200274683 Y1 KR200274683 Y1 KR 200274683Y1 KR 2020020003713 U KR2020020003713 U KR 2020020003713U KR 20020003713 U KR20020003713 U KR 20020003713U KR 200274683 Y1 KR200274683 Y1 KR 200274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er body
space
inner body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각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명각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각, 김규형 filed Critical 김명각
Priority to KR2020020003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683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 안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여 화초에 자주 물을 줄 필요가 없어지고 빗물이 저장되어 역시 인공적으로 화초에 자주 물을 줄 필요가 없으며, 물을 매우 적게 주는 동절기에는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어 화초의 동사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본 고안은, 외부 몸체(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세로면 아래쪽에는 수 개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내부 몸체(20)가 외부 몸체(10)의 안에 동심으로 조립되어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의 사이에 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상기 공간부(A)에 물이 고이거나 혹은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A double constructed Flowerpot}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 안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여 화초에 자주 물을 줄 필요가 없어지고 빗물이 저장되어 역시 인공적으로 화초에 자주 물을 줄 필요가 없으며, 물을 매우 적게 주는 동절기에는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어 화초의 동사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통상의 화분은 도1을 참조하여 볼 때 외부 몸체(10) 하나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물론 내부 몸체(20)에서와 같이 바닥에 공기 구멍(26)이 형성되어 있어서 화초가 숨을 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화분은 화초에 물을 주면 상기의 공기 구멍을 통해 배수가 되고 화분 안에는 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공간은 없다. 따라서 봄과 여름, 초가을에 걸쳐서 자주 물을 주어야 하는데 자칫 물 줄 때를 놓치면 화초가 말라서 죽게 되거나 생장에 큰 장애를 유발시킨다. 한편, 장기간의 출장 또는 여행 등의 이유로 집을 비우거나 할 경우에는 화초의 물주기를 이웃에게 부탁하거나 가까운 꽃집 등에 부탁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생각만큼 쉽지가 않은 실정이어서 화초의 물주기 때문에 화초를 죽여버리는 예가 많다.
그리고 물을 적게 주는 동절기에는 물주기에 대한 걱정은 다소 덜 수는 있겠으나 화초의 뿌리가 얼어서 고사되는 예가 발생되어 동절기에는 신경을 써서 화초를 돌보아야 하지만 매우 분주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볼 때 이 역시 그리 쉬운 일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중의 구조를 형성하여 물을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시킨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을 제공하여 종래 화분에서 비롯된 문제를 해결코저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외부 몸체(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세로면 아래쪽에는 수 개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내부 몸체(20)가 외부 몸체(10)의 안에 동심으로 조립되어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의 사이에 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상기 공간부(A)에 물이 고이거나 혹은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며, 특히 내부 몸체(20)는, 바깥쪽 끝 부분에 나사가 형성된 연장관(22)이 외부 몸체(10)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관(12)의 안으로 삽입되고 외부 몸체의 바닥쪽으로부터 조립되는 너트(40)에 의해 외부 몸체(10)와 견고히 조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외부 몸체의 돌출단(12) 윗면과 내무 몸체의 바닥면 사이에 오-링(30)이 조립되도록 하여 너트(40)에 의해 내부 몸체가 외부 몸체와 견고히 조립됨으로서 공간부(A) 안에 고인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 몸체 12: 돌출단
20: 내부 몸체 22: 연장관
24: 나사 26: 공기 구멍
28: 미세 구멍 30: 오-링
40: 너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를 살펴보면, 외부 몸체(10)의 안쪽에는 위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단(12)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단(12)의 안쪽에는 내부 몸체(20)의 연장관(22)이 삽입되면서 외부 몸체의 바닥쪽에서 너트(40)가 상기 연장관(22)의 나사(24)에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는 동심에서 서로 견고히 조립되고 이로써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의 사이에는 공간부(A)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내부 몸체의 세로면 하방에는 도면과 같이 수 개 정도의 미세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는 공기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몸체의 돌출단(12)과 내부 몸체의 바닥면 사이어는 오-링(30)이 조립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내부 몸체의 안에는 화초가 심어질 것이고 화초의 생장을 위해 당연히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기적으로 화초에 물을 주기가 쉽지 않지만, 일단 물을 내부 몸체 안의 화초 뿌리에 적당량 공급하고 난다음, 상기 공간부(A) 안에 물을 채워 넣는다. 이 물은 오-링(30)의 수밀작용에 의해 외부로 새지 않으며 내부 몸체의 미세 구멍(28)을 통해 서서히 그리고 조금씩 화초의 뿌리로 공급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공간부(A) 안에 고인 물이 거의 바닥에 이르게 되면 다시 공간부 안에 물을 채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본 고안의 화분은 화초에 물을 주기가 매우 쉽고 또한 물을 공급해야 하는 시기도 자동적으로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미세 구멍(28)의 직경은 0.5mm 이하로 미세하며 형성되는 개수도 수 개 정도이므로 미세 구멍(28)을 통하여 공간부 안에 있던 물이 일시적으로 화초의 뿌리로 공급되는 일은 없고 매우 서서히 뿌리로 공급이 되므로 화초는 물 부족 현상에 의하여 고사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화분을 실내에 두면 공간부 안에 고인 물이 자연스럽게 증발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 주는 기능도 얻을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발생됨과 아울러 화초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주사기를 사용할 필요없이 공간부 안에 고인 물에 영양제를 타 주기만 하면 서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는 일거양득의 작용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물을 자주 주지 않는 동절기에 화초 뿌리의 동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화분을 전부 실내로 옮기거나 양지바른 곳으로 전부 이동을 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난방장치를 하여 주어야 하는 등 비경제적이고 귀찮은 일을 해야 하지만, 본 고안의 화분은 공간부(A) 안에 통상의 양질 단열재를 채워주면 부리가 동사하는 예가 없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화분이 실외에 있어야 할 경우, 비가 오면 빗물이 공간부안에 고이게 되고 이 빗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천천히 소량씩 뿌리로 공급되어 화초를 건강하게 생장토록 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도 관리 차원에서 크게 편리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화분이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물주기 문제가 간단히 해결되어 관리 차원에서 매우 손쉽고 편리함은 물론 화초를 고사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유용하고 물주기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절기에는 단열재를 충진시켜 뿌리가 얼지 않도록 함으로서 역시 화초를 죽이는 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관리 문제가 크게 용이해지고 나아가 동절기에 화초의 보온 문제를 위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화초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등 경제적인 면과 관리적인 면에서 유용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외부 몸체(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세로면 아래쪽에는 수 개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내부 몸체(20)가 외부 몸체(10)의 안에 동심으로 조립되어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의 사이에 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상기 공간부(A)에 물이 고이거나 혹은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몸체(20)는, 바깥쪽 끝 부분에 나사가 형성된 연장관(22)이 외부 몸체(10)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관(12)의 안으로 삽입되고 외부 몸체의 바닥쪽으로부터 조립되는 너트(40)에 의해 외부 몸체(10)와 견고히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 몸체의 돌출단(12) 윗면과 내무 몸체의 바닥면 사이에 오-링(30)이 조립되도록 하여 너트(40)에 의해 내부 몸체가 외부 몸체와 견고히 조립됨으로서 공간부(A) 안에 고인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KR2020020003713U 2002-02-05 2002-02-05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KR200274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13U KR200274683Y1 (ko) 2002-02-05 2002-02-05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13U KR200274683Y1 (ko) 2002-02-05 2002-02-05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683Y1 true KR200274683Y1 (ko) 2002-05-04

Family

ID=7311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713U KR200274683Y1 (ko) 2002-02-05 2002-02-05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6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713B2 (ja) 屋外用緑化装置及び屋外用緑化システム
KR100933307B1 (ko) 물주머니 기능을 갖는 인공석부 및 인공석부화분
KR101085417B1 (ko) 자동급수 이끼화분
JPH1023835A (ja) 水耕栽培用鉢
KR200274683Y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화분
KR200278159Y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화분
US6701666B1 (en) System for domestic cultivation of exotic plants including in-ground irrigation and aeration system
JP2008253210A (ja) 壁面緑化装置
KR20220076908A (ko) 물보관형 석분재
KR20070025395A (ko) 열선이 구비된 화분
KR20150060228A (ko) 식물재배를 위한 저면관수용 심지
GB2118415A (en) Decorative flower pot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CN2414614Y (zh) 一种壁孔套盆
JP2000152721A (ja) 植木鉢
CN104160887A (zh) 集雨储水式花盆及种植方法
JP2000152725A (ja) 植木鉢
CN220965718U (zh) 一种组合式花盆
CN213427374U (zh) 盆栽保水毯
CN2640228Y (zh) 双层套盆
CN212813018U (zh) 一种便于移栽的存水型水泥花盆
JP3084717U (ja) 植木鉢
KR100798142B1 (ko) 수경재배용 화분
CN2708637Y (zh) 自动给水花盆
CN206993817U (zh) 新型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