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654Y1 -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 Google Patents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654Y1
KR200274654Y1 KR2020020002296U KR20020002296U KR200274654Y1 KR 200274654 Y1 KR200274654 Y1 KR 200274654Y1 KR 2020020002296 U KR2020020002296 U KR 2020020002296U KR 20020002296 U KR20020002296 U KR 20020002296U KR 200274654 Y1 KR200274654 Y1 KR 200274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prevent
skin
rain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민제
유영희
Original Assignee
배민제
유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제, 유영희 filed Critical 배민제
Priority to KR2020020002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654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층에 내피층으로 부착시킴으로서, 부직포의 흡습성으로 인하여 내부층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복이 젖거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활동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우의 내부에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하여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시 오한이나 추위를 막을 수 있으며, 내피층의 위사와 경사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내피의 연속적인 박리현상을 막을 수 있고, 찢어짐에 대한 강도가 크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A rainewear of sticking non-woven fabric}
본 고안은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통상의 우의용 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에 부직포를 내피로 하여 부착시킴으로서, 내부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막아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의와 피복 또는 우의와 피부가 서로 붙지 않아 활동성이 좋으며, 우의의 내피를 이루는 올의 연속적인 박리현상이 적고, 찢어짐에 대한 강도가 크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우의라 함은 방수를 목적으로 제작된 의류의 일종을 말하며, 우천시 의복 위에 걸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그밖에도 해상작업, 양어, 양식, 양축장, 화공양품 취급소와 같은 작업용 우의, 등산이나 낚시와 같은 레저용 우의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우의는 일반적으로 방수성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지층의 내부면, 즉 피부나 의복이 접촉되는 내부면에는 수지류나 면류의 원사들이 위사와 경사가 규칙적인 상태로 부착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우의는 수지층에 부착된 원사들의 접착성이 좋지 못하여 원사들의 박리현상이 일어나거나 쉽게 찢어지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원단을 중간층으로 하고, 내·외부면에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원단의 원사들의 박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우의들이 최근에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우의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고로 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우의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코팅층(100)과, 상기 외부코팅층(100)의 하면에 부착된 원단층(200)과, 상기 원단(2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의복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내부코팅층(300)로 나뉘어져 있다.
먼저 외부코팅층(100)의 경우는 폴리비닐알콜(PVC)나 폴리우레탄(PU)과 같은합성수지를 코팅시켜 우의의 외부로 부터 내부로의 물의 침투를 막는 방수막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원단층(200)의 경우에는 나일론 타프타(Nylon taffeta), 옥스포드(Oxpord),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이루어진 원사들이 위사와 경사가 규칙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의 추위로 부터 방어할 수 있도록 보온효과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코팅층(300)은 의복이나 신체의 피부와 직접 접촉된는 부위로 외부코팅층(100)과 동일한 수지를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우의의 방수성을 높이는 동시에 원단층의 원사들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우의는 외부코팅층(100)과 내부코팅층(300)에 의해 방수성에 있어서는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우의에 계속적인 물의 접촉이 일어나게 되면 우의의 내부코팅층(300)에 습기가 생긴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우의를 착용하고 지속적으로 비를 맞거나 장시간 물과 함께 작업을 하게 되면, 우의의 외부와 내부의 기온이 서로 달라 기온이 높은 내부에서 공기중 물방울이 우의 내부코팅층(300)에 달라붙어 습기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의의 내부코팅층(300)에 습기가 발생되면 우의와 피복이 젖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낮은 기온이 내부코팅층(300)과 젖은 피복을 통해서 인체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인체에서 느끼는 체감온도가 하강하면서 오한과 추위를 느끼게 한다.
특히, 일시적으로 사용할 때나 기온이 따뜻한 지역에서 단시간 사용할 때에는 별로 불편함이 없으나, 옥외에서 장시간 착용해야 하는 교통경찰, 야외작업자, 양식업자나 일교차의 기온변화가 많고 기온이 비교적 낮은 지역에서 반드시 우의를 착용하여야 하는 사용자들은 우의와 피부가 젖을 때 밀착되어 행동이 불편해지고, 방한기능이 없어 피부를 따뜻하게 보온하지 못하여 감기와 같은 질병에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우의를 착용하게 되면, 원단층(200)의 원사들이 위사와 경사가 규칙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찢어지게 된다.
도 2a 내지 2b는 종래 사용되는 우의의 찢어진 상태를 보여준 사진이다.
상기 도 2a 내지 2b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못이나 날카로운 물질에 의해 우의가 손상되면, 위사와 경사가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길게 찢어지게 되어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피에 망사류를 부착하여 통기성을 유지시키고 피부나 의복이 우의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또는 내피층에 보온성을 갖는 원단층을 더 구성시켜 내부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막음으로서 보온성을 높이는 기술들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로 제조된 우의에 있어서도 외부면이 일단 젖게 되면 내피면에 반드시 습기가 생기므로 망사나 보온성 원단층이 부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장시간 사용시에는 소기의 효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우의의 내구성에 있어서도 특별한 개선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우의의 내피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막아 의복이 젖거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활동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시 오한이나 추위를 막을 수 있으며, 내피의 박리현상과 찢어짐 현상을 막아 우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우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내지 2b는 도 1의 우의가 찢어진 상태를 보여준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4b는 도 3의 우의가 찢어진 상태를 보여준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피
20 ; 내피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수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피층(10)과,
원사들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어 피부나 의복에 접촉되는 내피층(20)으로 이루어진 우의에 있어서,
상기 내피층(20)이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우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우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수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층(10)과, 상기 외피층(10)의 피부나 의복에접촉되는 일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내피층(20)이 부착되어 있다.
외피층(10)의 경우에는 방수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콜(PVC)나 폴리우레탄(PU)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의 침투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수막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내피층(20)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섬유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인데, 상기와 같은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내피층(20)은 흡습성이 좋아 내부층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복이 젖거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활동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우의 내부에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하여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시 오한이나 추위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부직포는 일반 섬유와 같이 감촉이 좋아 착용감이 좋고, 위사와 경사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내피(20)의 연속적인 박리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찢어짐에 대한 강도가 크다.
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의 우의의 찢어진 상태를 보여준 사진이다.
상기 도 4a 내지 4b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의 경우 못이나 날카로운 물질에 의하여 손상되더라도, 부직포의 위사와 경사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길이방향으로 찢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사용시 그 자리에서 쉽게 보수가 가능하고, 보수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높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의의 내피(20)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레이온(Rayon)의 혼합 또는 단독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면 좀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 혼합 및 단독으로된 부직포는 다른 부직포에 비하여 고융점이므로, 우의를 서로 접지시키거나 봉합시키기 위한 고주파접착시 부직포를 용융시키지 않고 수지층이 녹았다가 고화시키면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부직포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접지부위나 봉합부위의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일회용 우의 뿐만 아니라 해상작업, 양어, 양식, 양축장, 화공양품 취급소와 같이 장시간 착용해야 하는 작업용 우의에서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등산이나 낚시와 같은 레저용 우의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 및 종속항의 기본적인 개념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우의는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층에 부직포를 내피층으로 부착시킴으로서, 부직포의 흡습성으로 인하여 내부층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복이 젖거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활동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우의 내부에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하여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시 오한이나 추위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부직포는 일반 섬유와 같이 감촉이 좋아 착용감이 좋고, 위사와 경사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내피의 연속적인 박리현상을 막을 수 있고, 찢어짐에 대한 강도가 크기 때문에 우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방수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피층(10)과,
    원사들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어 피부나 의복에 접촉되는 내피층(20)으로 이루어진 우의에 있어서,
    상기 내피층(20)이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KR2020020002296U 2002-01-24 2002-01-24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KR200274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96U KR200274654Y1 (ko) 2002-01-24 2002-01-24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96U KR200274654Y1 (ko) 2002-01-24 2002-01-24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654Y1 true KR200274654Y1 (ko) 2002-05-08

Family

ID=7307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96U KR200274654Y1 (ko) 2002-01-24 2002-01-24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6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363B1 (ko) 2017-04-07 2018-08-06 윤산유 보온 및 방수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363B1 (ko) 2017-04-07 2018-08-06 윤산유 보온 및 방수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4808A1 (en) Cooled pet garment
US6009560A (en) Perforated reflective trim for use with garments
RU2543602C2 (ru) Войлок из сверх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полимер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A1306176C (en) Waterproof sweat-transmitting clothing insulation
CA2199794C (en) Mesh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US6539898B2 (en) Protective screen for horse blanket
US20080127395A1 (en) Front closure for reversible outerwear
US20180184737A1 (en) Article of warmth with inner replaceable thermally insulating panels
JPS6312679A (ja) すき間部の保護および防水方法
US20050159056A1 (en) Stitchless waterproof insulated products
HUE028477T2 (en) Cloth
KR200274654Y1 (ko) 부직포가 부착된 우의
CN214354651U (zh) 保暖服饰的多层复合面料
CN214509537U (zh) 一种抗寒效果好的职业服装
EP3562345A2 (en) Article of warmth with inner replaceable thermally insulating panels
CN220734460U (zh) 一种具有防踢防穿刺效果的下水裤
CN213029894U (zh) 一种具有保暖功能的行政执法服
JP3048134U (ja) 防寒用ウエア
KR200422177Y1 (ko) 우의
CN220841756U (zh) 一种平纹耐磨的沙发复合面料
CN214509482U (zh) 一种防蚊抑菌针织t恤衫
JP3216904U (ja) 被服
JPH031247Y2 (ko)
KR19990004288U (ko) 방충용 의복
JPH04101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