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304Y1 - 휴대용 전기스탠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기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04Y1
KR200274304Y1 KR2020020003365U KR20020003365U KR200274304Y1 KR 200274304 Y1 KR200274304 Y1 KR 200274304Y1 KR 2020020003365 U KR2020020003365 U KR 2020020003365U KR 20020003365 U KR20020003365 U KR 20020003365U KR 200274304 Y1 KR200274304 Y1 KR 200274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vity
electric stand
port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민성
Original Assignee
방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민성 filed Critical 방민성
Priority to KR2020020003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04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산이나 밤낚시 등과 같은 야영 시 또는 실내·외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간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전기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내부에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가지며 어느 1개의 캐비티에 조립 슬리브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개구에 결합되어 그 캐비티를 차폐하는 덮개와, 베이스의 어느 1개의 캐비티에 수납되고 조립 슬리브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포스트 프레임과,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및 위치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케이스와 온/오프 스위치 및 램프소켓을 갖는 아암 프레임과, 아암 프레임의 램프소켓에 결합되는 LED램프 및 LED램프를 감싸도록 아암 프레임에 설치되는 반사갓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휴대시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타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베이스에 간단히 수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의 캐비티에 필기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필요 물품들을 함께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저소비전력으로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기스탠드{A portable desk lamp}
본 고안은 등산이나 밤낚시 등과 같은 야영 시 또는 실내·외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간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전기스탠드(portable desk lam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를 박스형태로 구성하여 평시에는 램프헤드(lamp head)와 포스트(post) 등의 부품들을 분해상태로 베이스내에 수납하고 다니다가 필요시에만 각 부품들을 조립하여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 전기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기구 등 비교적 작은 크기의 물품들을 베이스내에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된 함(函)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기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천장에는 실내생활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백열등이나 형광등과 같은 전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전등은 실내공간의 크기에 따라 1개이상이 적절히 배치된다.
그러나,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책상에서 글을 읽거나 글씨를 쓸 때 또는 디자인 등 기타의 작업을 행할 경우 작업자의 위치와 그 주위에 놓여진 물건에 의해 전등의 조명이 가려져 작업공간이 주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되고,이로 인해 눈의 피로가 가중되어 시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히 늦은 밤까지 공부하는 학생이나 수험생들에게서 두드러져 성장기의 어린이나 청소년의 시력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책상 위 등 특별히 필요한 한정된 공간만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조명기구로서 이른 바 전기스탠드가 출현하여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스탠드는 통상 반사갓으로 둘러싸인 전등을 절곡 가능한 포스트 프레임을 통해 베이스에 설치한 탁상용으로 옥내배선에 접속함으로써 필요한 장소만 한정적으로 조명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기스탠드는 상용 AC전원을 사용하므로 AC전원이 갖춰진 실외 내지는 실내에서도 플러그소켓(plug socket)이 설치된 곳에서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부피도 커 사실상 휴대가 곤란하기 때문에 한정된 장소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전등으로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사용하므로 소비전력이 크고 수명이 짧으며, 약 10~20W 정도의 밝기로서 공동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주위의 타인에게 방해를 줄 우려가 높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에서는 물론 등산이나 밤낚시 등의 야영시에도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소위 휴대용 전기스탠드가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987-0003069호 및 실1990-0002096호로 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987-0003069호는, 배터리 케이스와 AC어댑터 연결핀 등을 갖는 하부몸체에 수직봉을 설치하고 수직봉의 상단에 경첩을 통해 전구를 설치함과 함께 하부몸체에 판스프링과 스프링지지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여, 실내·외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스탠드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책갈피 등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공동장소에서 타인에게 방해될 우려는 적지만, 백열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매우 크고 수명이 짧다. 따라서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 장시간 사용할 수 없으며, 다량의 예비 배터리와 예비전구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휴대시에는 별도의 케이스 등에 넣어 이동해야 하므로 휴대가 번잡하고, 별도의 AC용 어댑터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90-0002096호는 받침판을 갖는 지지몸체와 회전몸체를 핀으로 연결하여 폴더(folder)형으로 구성하고 각 몸체내에 전구를 설치하는 한편, 지지몸체에 배터리 케이스와 AC접속용 플러그를 구비하여, 실내·외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스탠드를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회전몸체를 지지몸체에 대해 접어서 비교적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있으나, 이 역시 백열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매우 크고 수명이 짧다. 따라서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 장시간 사용할 수 없으며 다량의 예비 배터리와 예비전구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외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소비전력이 매우 작아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수명도 긴 휴대용 전기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내부에 캐비티(cavity)를 구비하여 휴대시와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램프 등의 기타 구성요소들을 분해상태로 베이스에 수납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장소에 구애 없이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의 캐비티에 예컨대 필기구 등과 같은 필요 물품들을 함께 수납시켜 별도의 필통 등을 배제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기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발췌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측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의 램프헤드 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의 휴대/보관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1: 캐비티
12: 칸막이 13: 조립 슬리브
15: 덮개 20: 포스트 프레임
30: 아암 프레임 32: 힌지볼트
34: 램프소켓 37: 온/오프 스위치
40: LED램프 42: 반사갓
43: 반사층 50: 배터리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내부에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가지며, 어느 1개의 캐비티에 조립 슬리브(sleeve)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베이스; 이 베이스의 개구에 결합되어 그 캐비티를 차폐하는 덮개; 베이스의 어느 1개의 캐비티에 수납되고, 조립 슬리브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포스트 프레임; 이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및 위치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케이스, 온/오프 스위치 및 램프소켓을 갖는 아암 프레임(arm frame); 아암 프레임의 램프소켓에 결합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램프; 및 LED램프를 감싸도록 아암 프레임에 설치되는 반사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반사갓의 내주에 알루미늄 증착막 등의 고반사율을 갖는 반사층이 구비되어 LED램프의 조도향상을 도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간편하게 휴대하여 필요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저소비전력으로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수명도 길어 별도의 예비 배터리와 램프의 준비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시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타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베이스에 간단히 수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의 캐비티에 필기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필요 물품들을 함께 수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전기스탠드의 사용의 편의성과 경제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 프레임(20)과, 이 포스트 프레임(20)의 상단에 각도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 프레임(30) 및 아암 프레임(30)의 자유단근처에 설치되는 LED램프(4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각 구성품들은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캐비티(11)를 갖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진다. 캐비티(11)는 칸막이(12)에 의해서 예를 들어 2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데, 상대적으로 큰 체적의 제1캐비티(11a)와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의 제2캐비티(11b)로 나뉜다.
그리고 제2캐비티(11b)의 한쪽 코너에는 포스트 프레임(20)을 선택적으로 끼워서 설치하기 위한 사각통 형상의 조립 슬리브(13)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0)의 개구에는 바람직하기로 그 캐비티(11)를 차폐하기 위한 덮개(15)가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15)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대향하는 두 내면 상단부에 덮개(15)의 대응하는 양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결합채널(channel:14)을 각각 형성하여 슬라이드(slide) 방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포스트 프레임(20)은 예컨대 사각통 형태의 단일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2개의 단위프레임(21)(23)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2개의 단위프레임(21)(23)으로 구성된 경우 베이스(10)의 조립 슬리브(13)에 끼워지는 하부 단위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상부 단위프레임(23)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삽입부(22)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단위프레임(23)의 상단에는 아암 프레임(30)과 조립하기 위한러그(lug:24)가 돌출 형성되고, 이 러그(24)에는 힌지구멍(hinge hole:24a)이 형성된다.
아암 프레임(30)은 그 일단에 상부 단위프레임(23)의 러그(24)를 삽입하는 포크(fork:31)를 구비하고, 이 포크(31)에 힌지구멍(31a)을 형성하여 각 힌지구멍 (24a)(31a)들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볼트(32) 및 너트(33)에 의해 포스트 프레임(2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아암 프레임(30)의 포크(31)와 너트(33) 사이에는 포스트 프레임(20)과 아암 프레임(30)의 안정된 체결을 위해 스프링와셔 (spring washer)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아암 프레임(30)의 자유단 근처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램프(40)를 전기적으로 접속 지지하기 위한 램프소켓(34)이 인서트(insert) 상태로 설치된다. 이 램프소켓(34)은 예컨대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램프소켓(34)의 한쪽으로 아암 프레임(30)에는 LED램프(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를 수납하기 위해 도전성 금속제의 접점들을 갖는 배터리케이스(35)가 구비된다. 배터리케이스(35)는 그 일측이 배터리(50)의 출입을 위해 개구되고, 배터리커버(36)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또한, 아암 프레임(30)의 적정 위치에는 램프소켓(34)과 배터리케이스(35)의 접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해제시켜 주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37)가 구비된다.
여기서, 램프소켓(34)과 배터리케이스(35)의 접점 및 온/오프 스위치(37)들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선 등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LED램프(40)는 램프소켓(34)에의 용이한 접속과 교체 등을 위해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에 나선접속부(41)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소켓(34)의 둘레에는 LED램프(40)를 감싸 그로부터 조사된 빛을 모아주기 위한 원추형의 반사갓(42)이 위치되어 아암 프레임(3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반사갓(42)의 내주에는 LED램프(40)의 조도향상을 위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 증착막과 같이 고반사율을 갖는 반사층(43)이 형성된다.
한편, LED는 주지하다시피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 (luminesence)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를 일컫는 것으로, 발광효율이 높고 저전류에서 고출력을 얻을 수 있어 소비전력이 매우 작고 수명이 길며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 등에 의해 계기류의 표시소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LCD(액정표시장치) 및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함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전광판에 널리 이용되는 추세일 뿐 아니라 교통신호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는 백열등(100W:600㏅/㎠)의 휘도(輝度)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고휘도 LED의 경우 일반적으로 약 4~6㏅/㎠ 정도의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전기스탠드의 전등으로서 결코 무리가 없다. 즉, 약 0.5㏅/㎠의 빛을 내는 양초나, 약 1.2㏅/㎠의 빛을 내는 석유등 및 0.35㏅/㎠ 정도의 빛을 발산하는 40W 주광색 형광등에 비해 우수한 휘도를 가지므로 독서용 등으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기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휴대 중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20)과 아암 프레임(30) 등의 구성요소들을 각기 분해하여 베이스(10)의 제2캐비티(11b)내에 수납시킨다. 이때, 베이스(10)의 제1캐비티(11a)내에는 예를 들어 필기구(P)와 같은 필요 물품들을 함께 수납시켜 베이스(10)를 함으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학생의 경우 제1캐비티(11a)에 필기도구를 수납하겠지만, 등산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영의 경우에는 필기도구 대신 야영에 필요한 비교적 작은 물건들을 넣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전기스탠드의 각 구성요소들이 베이스(10)의 캐비티(11a)내에 수용되므로 별도의 스탠드 케이스를 구비하거나 필통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스탠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베이스(10)의 덮개(15)를 열고, 각 구성요소들을 제2캐비티(11b)로부터 꺼낸 뒤 상호 조립한다. 이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프레임(30)이 조립된 포스트 프레임(20)을 베이스(10)의 제2캐비티(11b)에 구비된 조립 슬리브(13)내에 꽂는다.
그러면, 포스트 프레임(20)과 아암 프레임(30) 등이 베이스(10)에 안정되게 세워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아암 프레임(3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37)를 온으로 위치시키면, 램프소켓(34)에 결합된 LED램프(40)에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LED램프(40)가 점등된다. 이에 따라 발산된 빛은 반사갓(42)에 의해 조명하고자 하는 특정장소만을 조명하게 되며, 반사갓(42)의 내주에 형성된 반사층(43)에 의해 조도도 적절히 보상된다.
이때, 조명각도는 도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프레임(30)을 포스트 프레임(20)에 대해 적절히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각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베이스 (10)의 캐비티(11b)내에 수납할 수 있고 배터리(50)를 전원으로 사용하므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전기스탠드로 조립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학생들이 학교 등지에서 밤늦게까지 공부할 때 주위의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어두운 곳에서의 시(視)작업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조기 시력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베이스(10)의 캐비티(11a)에 학습에 필요한 필기도구 등을 함께 수납하여 필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와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낚시나 등산 등의 취미생활에 따른 야영시에도 비교적 작은 물건들을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야간조명으로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휴대용 전기스탠드는 전등으로 LED램프(40)를 사용하는 바,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소비전력(백열전구의 약 1/5)도 매우 작아 배터리(50)로 수십 시간이상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명도 대단히 길고 충격에 강해 휴대와 보관이 지극히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전기스탠드에 의하면, 간편하게 휴대하여 필요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저소비전력으로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수명도 길어 별도의 예비 배터리와 램프의 준비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시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타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베이스에 간단히 수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의 캐비티에 필기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필요 물품들을 함께 수납시켜 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휴대용 전기스탠드의 사용의 편의성과 경제성 향상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내부에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가지며, 어느 1개의 캐비티에 조립 슬리브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개구에 결합되어 그 캐비티를 차폐하는 덮개;
    상기 베이스의 어느 1개의 캐비티에 수납되고, 상기 조립 슬리브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포스트 프레임;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및 위치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케이스, 온/오프 스위치 및 램프소켓을 갖는 아암 프레임;
    상기 아암 프레임의 램프소켓에 결합되는 LED램프; 및
    상기 LED램프를 감싸도록 아암 프레임에 설치되는 반사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의 내주에 알루미늄 증착막 등의 고반사율을 갖는 반사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이 상호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2개의 단위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프레임이 힌지볼트와 너트에 의해 포스트 프레임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스탠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대향하는 두 내면에 상기 덮개의 대응하는 양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조립되는 결합채널이 수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스탠드.
KR2020020003365U 2002-02-02 2002-02-02 휴대용 전기스탠드 KR200274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365U KR200274304Y1 (ko) 2002-02-02 2002-02-02 휴대용 전기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365U KR200274304Y1 (ko) 2002-02-02 2002-02-02 휴대용 전기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04Y1 true KR200274304Y1 (ko) 2002-05-04

Family

ID=7311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365U KR200274304Y1 (ko) 2002-02-02 2002-02-02 휴대용 전기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39B1 (ko) * 2018-07-11 2019-12-10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휴대용 블럭형 엘이디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39B1 (ko) * 2018-07-11 2019-12-10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휴대용 블럭형 엘이디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4280U (ja) Led壁用プレート常夜灯
US7207696B1 (en) LED lighting with adjustable light projecting direction
CN2462234Y (zh) 灯座与镇流器一体化结构
CN200975612Y (zh) 改进的led灯具
US20100133208A1 (en) Shelf for depositing a keyboard
KR20120117146A (ko) 조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CN201021758Y (zh) 折叠式应急照明灯
CN2773465Y (zh) 手持充电式超强光源电筒
KR200274304Y1 (ko) 휴대용 전기스탠드
CN111678103A (zh) 一种组合式灯具
CN218295383U (zh) 多功能户外露营灯
CN201661969U (zh) 一种太阳能灯饰
US20060114681A1 (en) Retractable and adjustable multi-purpose indoor lighting fixture
CN201661974U (zh) 一种太阳能灯饰
KR20110050142A (ko) Led 스탠드
KR20160069223A (ko) 선반의 조명등장치
CN203892994U (zh) 一种柜内用led条形灯具
CN219955191U (zh) 一种便于收纳的灯具
CN218762921U (zh) 一种多用途太阳能灯
CN202012837U (zh) Led台灯
CN201819131U (zh) 一种太阳能灯饰
CN201141560Y (zh) 圆型灯具
CN216591432U (zh) 一种布设灵活的应急照明灯
CN220770876U (zh) 模拟油灯火焰的仿古led灯及仿古led串灯
CN212156973U (zh) 一种广告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