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107Y1 - 안전화 - Google Patents

안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107Y1
KR200274107Y1 KR2020020001463U KR20020001463U KR200274107Y1 KR 200274107 Y1 KR200274107 Y1 KR 200274107Y1 KR 2020020001463 U KR2020020001463 U KR 2020020001463U KR 20020001463 U KR20020001463 U KR 20020001463U KR 200274107 Y1 KR200274107 Y1 KR 200274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hoes
safety
present
washing
endothel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20001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107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화의 내피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 별도로 세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세탁에서 건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 안전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에 철재 토캡이 구비되는 통상의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안전화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충격 및 땀 흡수가 양호한 소재로 된 발 모양의 내피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분리가 가능하면서 얇은 소재로 된 내피는 별도로 세탁이 가능하며, 특히 신속한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해지므로 안전화의 내부 청결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일용직 기능공이 많은 건설현장에서 안전화의 내피만을 교체하여 지급하는 것에 의해 항상 청결한 상태의 안전화 지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화{safety boots}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는 안전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소재로 된 내피를 교체 가능한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전화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공장이나 건설 현장등에서 발에 떨어지는 중량물로부터 발을 보호하거나, 보행중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에 발 앞부분이 부딪혀 상해를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을 보호하기 위한 상기 안전화에는 안전화의 앞부분인 발가락 끝에서 대략 발등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덮는 강철로 만들어진 토캡이 구비되어 발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발을 보호하기 위한 강철재의 토캡은 1,100kg의 하중이나 46cm 높이에서 떨어지는 23kg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일반 강철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제작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화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안전화(100)는 대략 외피(110)와 토캡(200) 그리고 깔창(300)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외피(110)는 가죽 또는 합성피혁으로 제작되는 바, 이때의 외피(110)는 작업자의 발을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외피(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된 밑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외피(110)내에는 작업자의 발가락 끝에서 발등 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토캡(200)이 구비되며, 이때의 토캡(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강철재로 드로인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피(110)내의 바닥면에는 작업자의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력을 흡수 및 완충시키는 깔창(300)이 구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안전화(100)는 산업현장에서 착용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땀 이나 기타 오물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므로 잦은 세탁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세탁에서 건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세탁을 자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안전화(100)의 내부를 청결히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전화(100)를 세탁기에서 세탁을 하려고 해도 안전화(100)의 밑창에 박힌 돌이나 이물질로 인하여 다른 세탁물이 손상을 입을 위험이 있어 안전화(100)만 별도로 세탁을 해야하고, 적은 양의 안전화(100)를 위해 세탁기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비경제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화의 내피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 별도로 세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세탁에서 건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 안전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안전화의 내피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일용직의 안전화 지급에 따른 비용절감을 도모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화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에서 교체내피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화 11 : 외피
20 : 토캡 30 : 내피
31 : 접착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는, 내부에 철재 토캡이 구비되는 통상의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안전화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충격 및 땀 흡수가 양호한 소재로 된 발 모양의 내피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내피는 외표면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안전화의 내표면에 접착력에 의해 고정되어지게 하는 접착천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내피는 피혁, 수지, 직물류로 제작되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에서 내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안전화(10)는 크게 작업자의 발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 일정 두께의 밑창이 부착되는 외피(11)와, 이 외피(11)내에 구비되어지며 작업자의 발가락과 발등의 일부분을 견고하게 보호하는 강철재로 된 토캡(20) 그리고, 작업자의 발바닥에 접촉되어 충격 및 땀 흡수를 하는 깔창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피(30)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외피(11)는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가죽 또는 합성피혁으로 제작되어지며, 개방된 양측으로 결속끈(미도시)이 구비되며, 이 결속끈에 의해 조여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캡(20)은 작업자의 발가락에서 발등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낙하물이나 외부 물체로부터 작업자의 발을 견고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내피(30)는 본 고안의 실질적인 특징을 갖는 요소로서, 도면에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세척 및 건조가 잘 될 수 있도록 얇은 천 혹은 인조피혁 및 합성수지를 발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내피(30)는 안전화(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이때의 내피(30)의 외표면에는 등간격으로 접착천(31)(valcro)이 부착되는 구조로, 이때의 접착천(31)에 의해 안전화(10)의 내표면에 고정되어지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내피(30)에서 작업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바닥부는 충격 흡수률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어지며, 바닥부를 제외한 나머지 몸체 부분은 땀 흡수율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항상 발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내피(30)는 안전화(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내피(30)만을 세척하는 것에 의해 항상 청결한 상태의 안전화(10)의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설현장 등에서 일용직 사원에게 안전화(10)를 지급할 때 내피(30)만을 교체하여 지급하면 되므로 항상 새 안전화(10)를 지급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화에 의하면, 분리가 가능하면서 얇은 소재로 된 내피는 별도로 세탁이 가능하며, 특히 신속한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해지므로 안전화의 내부 청결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일용직 기능공이 많은 건설현장에서 안전화의 내피만을 교체하여 지급하는 것에 의해 항상 청결한 상태의 안전화 지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내부에 철재 토캡이 구비되는 통상의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안전화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충격 및 땀 흡수가 양호한 소재로 된 발 모양의 내피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외표면에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안전화의 내표면에 접착력에 의해 고정되어지게 하는 접착천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피혁, 수지, 직물류로 제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KR2020020001463U 2002-01-17 2002-01-17 안전화 KR200274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63U KR200274107Y1 (ko) 2002-01-17 2002-01-17 안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63U KR200274107Y1 (ko) 2002-01-17 2002-01-17 안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107Y1 true KR200274107Y1 (ko) 2002-05-03

Family

ID=7311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463U KR200274107Y1 (ko) 2002-01-17 2002-01-17 안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1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526B2 (en) Metatarsal guard
USRE24897E (en) Safety shoe with instep guard
CN101742937B (zh) 一种鞋底加固装置
KR200274107Y1 (ko) 안전화
KR200416446Y1 (ko) 안전화
KR100549049B1 (ko) 슬리퍼형 안전화
US2891327A (en) Safety boot with metatarsal arch protection
KR200341151Y1 (ko) 슬리퍼형 안전화
KR20110008920U (ko) 쿠션패드가 구비된 양말
KR20110001827U (ko) 안전화
ITTV940038A1 (it) Dispositivo di irrobustimento della suola,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sportive.
KR200436857Y1 (ko) 안전화
AU2020103036A4 (en) An improved cover for footwear
KR101067340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봉합식 작업화
KR200410272Y1 (ko) 발 보호용 양말 또는 덧신
KR200240167Y1 (ko) 각반 기능을 갖는 양말
JP7351499B2 (ja) 靴カバー
KR200337745Y1 (ko) 안전화용 토우캡
KR200387918Y1 (ko) 신발용 깔창
EP3735854A1 (en) Safety footwear
US894881A (en) Boot and shoe.
KR200204749Y1 (ko) 내피가 착탈 가능한 운동화
KR101165766B1 (ko) 보호커버 및 보강리브의 교체가 가능한 안전장화
KR200327765Y1 (ko) 공기 순환용 개구부가 있는 신발 갑피구조
JPS624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