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772Y1 -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 Google Patents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772Y1
KR200273772Y1 KR2020010040146U KR20010040146U KR200273772Y1 KR 200273772 Y1 KR200273772 Y1 KR 200273772Y1 KR 2020010040146 U KR2020010040146 U KR 2020010040146U KR 20010040146 U KR20010040146 U KR 20010040146U KR 200273772 Y1 KR200273772 Y1 KR 200273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d
wireless telephone
ke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2020010040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772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옥 내부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옥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문의 열림 및 닫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해당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하는 다기능 도어키와, 상기 다기능 도어키로부터 방출되는 소정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도록 해당 문의 개/폐 장치를 호출하고, 상기 변경된 문의 개/폐 상태를 상기 다기능 도어키로 전송하는 유무선전화기와, 상기 유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 상태 변경 요구 신호가 있으면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는 도어 개폐 모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DOOR LOCK SYSTEM USING WIRE/WIRELESS PHONE AND VERSATILE DOOR KEY THEREIN}
본 고안은 도어키 및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옥 내부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옥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통신기기의 여러 가지 서비스 기능이 요구되는 추세이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유선전화기는 그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말미암아 휴대장치가 구비되는 유무선전화기가 다수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그 첫 번째로 금속키를 사용한 도어 개/폐, 두 번째로 유선으로 연결된 장치의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그리고 무선장치에 의한 도어 개/폐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 첫 번째 방법은 도어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도어의 잠금 장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만 했고, 밤이나 빛이 없는 곳에서는 도어 개/폐 시 어려움이 많았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 역시 도어 개/폐 조작을 할 수 있는 위치가 개/폐되는 문 또는 가까이에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그 위치까지 가야만 했으므로 비가 오는 경우나 마찬가지로 어두운 곳에서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무선장치에 의한 도어 개/폐 방법은 앞의 개/폐 방법에 비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무선 도어키의 조작에 대응하여 문에 설치되는 도어 개/폐 장치가 각각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던 유선 도어 개/폐 장치 등은 모두 폐기되고, 이러한 무선 도어 개/폐 장치와 별개로 방문자를 확인하는 도어폰이 또한 병행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으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도어록 시스템에서 옥내에 구비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옥내에 구비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다기능 도어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으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도어록 시스템에서 옥내에 구비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기와 무선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다기능 도어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에서 통화 및 도어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및 도어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무선 전화기 20: 도어폰
100: 다기능 도어키 102: 제어부
104: 무선부 106: 키입력부
108: 표시부 110: 음성처리부
112: 메모리부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문의 열림 및 닫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해당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하는 다기능 도어키와, 상기 다기능 도어키로부터 방출되는 소정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도록 해당 문의 개/폐 장치를 호출하고, 상기 변경된 문의 개/폐 상태를 상기 다기능 도어키로 전송하는 유무선전화기와, 상기 유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 상태 변경 요구 신호가 있으면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는 도어 개폐 모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해당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해당신호에 대응되는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하는 무선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버튼 조작 시 상기 도어키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표시부와, 상기 버튼 조작 시 조작되는 버튼에 대응하여 무선 송출되는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부로 송출될 음성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부를 통하여 송출될 음성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처리부로 인가하는 마이크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해당신호을 감지하고, 음성통화 요청 및 문 개/폐 요청 중 어느하나의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코드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전화기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상기 도어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전화기(10)와, 일반적으로 개/폐하고자 하는 문, 즉 가옥의 현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고 문을 개/폐하는 구동키를 구비하는 도어폰(20) 또는 도어 개/폐 모듈과, 도어의 개/폐를 요청하고 상기 유무선전화기와 통화가 가능한 다기능 도어키(100)로 구성된다.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문의 열림 및 닫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해당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에서 통화 및 도어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도 1의 다기능 도어키(10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100)는 전원버튼, 통화버튼, 도어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106)를 전면에 구비한다. 상기 키입력부(106)는 도 3의 300단계에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해당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는 도 3의 302단계에서 입력버튼을 분석하고 분석결과, 통화버튼이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코드를 송출하며, 도어버튼이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도어코드를 송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도어키(100)는 옥내의 유무선전화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부(104)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부(104)는 상기 키입력부(106)로부터 입력되는 해당신호에 따라 해당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1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한다. 상기 주파수는 상기 유무선전화기(10)가 사용하는 900MHz 대의 무선주파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거리의 지역 내에서 상기 유무선전화기(1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다기능 도어키(100)의 무선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유무선전화기(10)의 고정장치 뿐만 아니라 휴대장치와도 무선통화(내선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따라 도 3의 308단계에서 통화로 형성/통화를 수행하거나, 310단계에서 도어 개/폐 상태를 수신 및 출력한다.
한편 상기 해당 코드는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가 상기 유무선전화기(10)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에 실리는 기능코드로서, 통화버튼과 도어버튼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이다. 또한 상기 코드에는 출입이 허가된 도어키임을 나타내는 인증코드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적법한 출입자만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의 일측 적소에 구비되는 램프는 상기 키입력부(106)를 통한 버튼 조작 시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표시부(108)로서 동작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문자표시나 아이콘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106)의 버튼 조작 시 조작되는 버튼에 대응하여 무선 송출되는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2)는 소정 포맷으로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버튼에 해당하는 코드를 갖는다. 또한 적법한 출입자임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코드를 저장한다.
도 2의 음성처리부(110)는 상기 무선부(104)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부(104)로 송출될 음성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스피커(SPK)는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MIC)는 상기 무선부를 통하여 송출될 음성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처리부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키입력부(106)로부터 입력되는 해당신호을 감지하고, 통화버튼 및 도어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해당 코드를 상기 메모리(112)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전화기(10)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이 구비하는 유무선전화기(10)는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로부터 방출되는 소정 무선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도록 해당문의 개/폐 장치를 호출하며, 상기 변경된 문의 개/폐 상태를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로 전송한다.
또한 도어폰(20)는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 개폐 모듈로서 동작하며, 상기 유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 상태 변경 요구 신호가 있으면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한다. 이때 상기 유무선전화기(10)는 상기 상기 도어폰(20)의 도어 개폐 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및 도어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유무선전화기(10)의 제어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무선전화기(10)는 400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가 무선주파신호를 방출하면, 402단계에서 무선주파신호를 검출하고 404단계로 진행하여 검출한 무선주파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검출된 무선주파신호는 상기 유무선전화기(10)가 구비하는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신호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검출된 무선주파신호가 통화버튼신호이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착신링을 송출하고, 410단계에서 후크오프신호가 감지됨에 따라 412단계에서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검출된 무선주파신호가 도어버튼신호이면 408단계로 진행하여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어폰(20) 또는 도어 개폐 모듈을 호출하고, 도어 개/폐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416단계에서 도어 개/폐 상태를 스캔하여 418단계에서 변경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상기 다기능 도어키(100)로 전송한다.
상기와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옥 내부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옥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에 있어서, 가정에서 구비하고 있는 유무선전화기와 다기능 도어키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유무선전화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정에서 구비하고 있는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도어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무선 도어록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옥내에 구비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유무선 전화기와 무선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다기능 도어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도어폰이 없이도 방문자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가옥 내부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옥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문의 열림 및 닫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해당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하는 다기능 도어키와,
    상기 다기능 도어키로부터 방출되는 소정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도록 해당 문의 개/폐 장치를 호출하고, 상기 변경된 문의 개/폐 상태를 상기 다기능 도어키로 전송하는 유무선전화기와,
    상기 유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 상태 변경 요구 신호가 있으면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는 도어 개폐 모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출입이 허가된 도어키임을 나타내는 인증코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전화기는,
    상기 도어 개폐 모듈을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도어키는,
    상기 유무선전화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화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도어키는,
    상기 유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음성통화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6. 가옥 내부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옥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키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해당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해당신호에 대응되는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를 상기 가옥 내부의 상기 유무선전화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일정범위의 지역에 일정시간 방출하는 무선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버튼 조작 시 상기 도어키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표시부와,
    상기 버튼 조작 시 조작되는 버튼에 대응하여 무선 송출되는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부로 송출될 음성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부를 통하여 송출될 음성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처리부로 인가하는 마이크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해당신호을 감지하고, 음성통화 요청 및 문 개/폐 요청 중 어느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해당 코드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유무선전화기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상기 도어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도어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유무선전화기로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통화버튼과,
    상기 유무선전화기로 문의 개/폐를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도어버튼과,
    상기 다기능 도어키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도어키.
KR2020010040146U 2001-12-26 2001-12-26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KR200273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46U KR200273772Y1 (ko) 2001-12-26 2001-12-26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46U KR200273772Y1 (ko) 2001-12-26 2001-12-26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160A Division KR100435202B1 (ko) 2001-12-24 2001-12-24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772Y1 true KR200273772Y1 (ko) 2002-04-27

Family

ID=7307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146U KR200273772Y1 (ko) 2001-12-26 2001-12-26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4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자동변경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NO314376B1 (no) System for adgangskontroll
KR2001000824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200273772Y1 (ko)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를 위한다기능 도어키
US20010041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100435202B1 (ko)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WO2005088576A1 (en) Unmanned guard system using mobile phone
KR10075635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7667A (ko) 전화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0764349B1 (ko)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록 제어 방법
JPH08307488A (ja) 着信音自動調整機能付携帯電話機
KR200221078Y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장치
KR20030026443A (ko) 웹도어폰 시스템
KR100407450B1 (ko) 무선 영상 도어 키 시스템
KR20030077065A (ko) 비디오 도어폰 시스템
KR100594053B1 (ko)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운용하는 휴대폰에서 무선 이어폰의 통화권 이탈시 경고음 발생방법
KR20050036397A (ko) 도어폰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645469B1 (ko) 출입 인지를 위한 사운드장치
KR20010018710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매너모드 전환방법
KR20060084546A (ko) 원격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
KR100790102B1 (ko) 볼륨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KR100664753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