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14Y1 - 유로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유로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14Y1
KR200273514Y1 KR2020020001812U KR20020001812U KR200273514Y1 KR 200273514 Y1 KR200273514 Y1 KR 200273514Y1 KR 2020020001812 U KR2020020001812 U KR 2020020001812U KR 20020001812 U KR20020001812 U KR 20020001812U KR 200273514 Y1 KR200273514 Y1 KR 200273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ed
housing
upper housing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송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석 filed Critical 송정석
Priority to KR2020020001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14Y1/ko

Links

Landscapes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 등과 같은 온수 관로 상에 설치되어 난방 또는 급탕수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일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전환부싱이 자전되면서 밀착고정부싱의 배출안내홀과 유입안내홀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어 유체의 흐름이 전환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 및 작동방식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로 전환 밸브{CONVERT VALVE PASSAGE}
본 고안은 보일러 등과 같은 온수 관로 상에 설치되어 난방 또는 급탕수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일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전환부싱이 자전되면서 밀착고정부싱의 배출안내홀과 유입안내홀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어 유체의 흐름이 전환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 및 작동방식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알려진 모터 구동방식의 유로 전환 밸브는 대부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신호에 따라 모터(11)의 모터축(11a)이 회전되면 상기 모터축(11a)과 연동되는 편심축(12)의 전환볼(13)이 모터(11)의 모터축(11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밸브몸체(16)의 배출포트(14)(15)를 선택적으로 밀폐함으로써 밸브몸체(16)의 유입포트(17)를 통해 유입된 후 배출포트(14)(15)로 배출되는 온수 또는 급탕류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로 전환 밸브(10)는 모터(11)의 모터축(11a)과 연동되는 편심축(12)의 전환볼(13)이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배출포트(14)(15)의 입구를 밀폐하게됨으로 상기 배출포트(14)(15)를 누르고 있는 전환볼(13)의 밀착력이 편심축(12)에 집중되어 비틀림과 휨응력이 발생됨으로 상기 편심축(12)이 비틀리면서 동시에 휘게되고, 그로 인해 배출포트(14)(15)의 입구를 밀폐하던 밀폐력이 저하되어 결국에는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전환볼(13)이 막고 있던 배출포트(14)(15)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밸브몸체(16)에서 모터하우징(19)으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편심축(12)에 끼운 고무재질의 누수방지링(18)이 상기 전환볼(13)을 회동시키는 편심축(12)과 마찰됨으로 상기 마찰열에 의해 누수방지링(18) 및 편심축(12)이 마모되고, 상기 마모된 틈을 통해 유체가 모터하우징(19)으로 누수되어 결국에는 누수된 유체로 인해 스위치기구 및 모터(11)가 오 작동 되면서 유로 전환 밸브(10)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일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전환부싱이 자전되면서 밀착고정부싱의 배출안내홀과 유입안내홀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어 유체의 흐름이 전환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 및 작동방식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상측 개구된 설치요홈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홈의 바닥면 중앙부위에는 배출포트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설치요홈의 저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유입포트가 수평방향으로 직교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정간격을 두면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는 회전밀폐공과 하측 개구된 전환실이 단차지도록 상하로 연이어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며, 전기적신호에 따라 모터축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환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에 대응되어 연통되는 배출안내홀과 유입안내홀이 형성된 밀착고정부싱과; 상기 밀착고정부싱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환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밀착고정부싱의 배출포트와 하나의 유입포트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전환부싱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전밀폐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전환부싱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조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모터의 모터축(131)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밀폐링이 삽입되는 링홈이 형성된 인너부싱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설치요홈과 밀착고정부싱의 저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내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전환 밸브가 제공된다.
도 1는 종래의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와 도 5b와 도 5c는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의 주요부인 밀착고정부싱과 전환부싱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로 전환 밸브 110 : 하부하우징
111 : 설치요홈 112 : 배출포트
112a : 결합나사부 113 : 유입포트
113a : 결합나사부 114 : 유입포트
114a : 결합나사부 115 : 유입포트
115 : 결합나사부 116 : 끼움홀
120 : 상부하우징 121 : 결합수단
121a : 결합공 121b : 보스부
121c : 볼트 122 : 회전밀폐공
123 : 전환실 123a : 스토퍼돌기
125 : 가스켓 126 : 나사공
130 : 구동모터 131 : 모터축
132 : 나사 140 : 밀착고정부싱
141 : 스토퍼홀 142 : 배출안내홀
143 : 유입안내홀 144 : 유입안내홀
145 : 유입안내홀 146 : 끼움홀
150 : 전환부싱 151 : 연통홀
152 : 결합공 160 : 인너부싱
161 : 결합돌조 162 : 결합홈
163 : 밀폐링 164 : 링홈
170 : 실리콘오링 180 : 감속기
181 : 입력부 182 : 출력부
190 : 밀폐브라켓 191 : 나사부
192 : 끼움공 193 : 밀폐링
194 : 링홀 195 : 공구홀
이하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100)는 내부에 상측 개구된 설치요홈(111)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홈(111)의 바닥면 중앙부위에는 배출포트(112)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설치요홈(111)의 저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유입포트(113)(114)(115)가 수평방향으로 직교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정간격을 두면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면과 결합수단(121)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는 회전밀폐공(122)과 하측 개구된 전환실(123)이 단차지도록 상하로 연이어 형성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며, 전기적신호에 따라 모터축(131)이 회전되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전환실(123)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유입포트(113)(114)(115)와 배출포트(112)에 대응되어 연통되는 배출안내홀(142)과 유입안내홀(143)(144)(145)이 형성된 밀착고정부싱(140)과;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전환실(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배출포트(112)와 하나의 유입포트(113)(114)(115)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홀(15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결합공(152)이 형성된 전환부싱(15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회전밀폐공(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전환부싱(150)의 결합공(152)에 삽입되는 결합돌조(16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이 결합되는 결합홈(162)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밀폐링(163)이 삽입되는 링홈(164)이 형성된 인너부싱(16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설치요홈(111)과 밀착고정부싱(140)의 저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내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오링(170)과;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을 감속하도록 상부하우징(120)과 구동모터(130)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입력부(18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인너부싱(160)을 연동시키도록 결합되는 출력부(182)가 구비된 감속기(180)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회전밀폐공(122)과 인너부싱(160)의 결합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너부싱(160)을 밀폐하면서 상부하우징(1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밀폐브라켓(19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121)은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와 상부하우징(120)의 하부 외주연에 각각 결합공(121a)을 갖는 보스부(121b)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1a)에 볼트(121c)가 체결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이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유입포트(113)(114)(115) 및 배출포트(112)와 일치하는 외부면에는 배관파이프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나사부(113a)(114a)(115a)(112
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의 사이에는 유체의 누수를 차단하는 가스켓(125)이 내재되어 결합된다.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저면 배출안내홀(142)과 유입안내홀(143)(144)(14
5) 및 하부하우징(110)의 배출포트(112)와 유입포트(113)(114)(115)의 입구에는 상기 실리콘오링(170)의 단부가 삽입되는 끼움홀(146)(116)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실리콘오링(170)이 보다 안정적으로 내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폐브라켓(190)의 외주연에는 나사부(19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면에는 상기 밀폐브라켓(190)의 나사부(191)가 체결되는 나사공(126)이 회전밀폐공(1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감속기(180)의 출력부(182) 또는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공(192)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브라켓(190)의 저면에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링(193)이 끼워지도록 링홀(194)이 형성되며, 상면 주연부에는 조임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홀(19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스토퍼홀(1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전환실(123) 내주연에는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스토퍼홀(141)이 삽입되는 스토퍼돌기(123a)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이 상부하우징(120)의 전환실(123)에 상하로의 승강은 가능하면사도 자전은 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감속기(180)와 구동모터(130)는 나사(132)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130)는 모터축(131)의 회전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은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밀착고정부싱(140)과 전환부싱(150) 및 인너부싱(160)은 내열성 내마성이 높은 세라믹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폐링(163)은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높은 고무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부싱(150)의 연통홀(151)이 밀착고정부싱(140
)의 일측 유입안내홀(143)과 배출안내홀(142)에 일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일측 유입포트(113)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일측 유입안내홀(143) 및 연통홀(151)과 배출안내홀(142)을 지나 하부하우징(110)의 배출포트(112)로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이 시계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과 인너부싱(160)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된 전환부싱(150)이 자전되면서 연통홀(151)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유입안내홀(143)에서 벗어나면서 동시에 전환부싱(150)의 저면 주연부가 밀착고정부싱(140)의 일측 유입안내홀(143)을 밀폐하게됨으로 상기 일측 유입안내홀(143) 및 배출안내홀(142)을 지나 통수되던 유체의 흐름이 단수된다.
또한, 상기 동작에 연이어 상기 구동모터(130)에 전기적 신호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면서 모터축(1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과 인너부싱(160)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된 전환부싱(150)이 자전되면서 연통홀(151)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고정부싱(140)의 다음 유입안내홀(144)과 배출안내홀(142)을 연통시키게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다음 유입포트(114)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다음 유입안내홀(144) 및 연통홀(151)과 배출안내홀(142)을 지나 하부하우징(110)의 배출포트(112)로 배출되어 유로의 흐름이 전환된다.
한편, 본원 고안에서는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유입포트의 수를 3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유입포트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입포트의 수가 2 또는 4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유입포트에서 배출포트로 흐르도록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역으로 배출포트에서 유입포트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인너부싱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된 전환부싱이 자전되면서 상기 전환부싱의 연통홀에 의해 하부하우징의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와 연통되도록 밀착고정부싱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안내홀과 하나의 배출안내홀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유입포트로 유입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시켜 유체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본 고안인 유로 전환 밸브는 전환부싱이 인너부싱에 의해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일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상부하우징의 전환실에 자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 전환부싱에 편심을 받을 염려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유로 전환 밸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환부싱 및 밀착고정부싱이 내열성 내마모성이 높은 세라믹으로 성형되어 있음으로 쉽게 마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환부싱과 밀착고정부싱의 밀착면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상측 개구된 설치요홈(111)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홈(111)의 바닥면 중앙부위에는 배출포트(112)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설치요홈(111)의 저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유입포트(113)(114)(115)가 수평방향으로 직교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정간격을 두면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면과 결합수단(121)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는 회전밀폐공(122)과 하측 개구된 전환실(123)이 단차지도록 상하로 연이어 형성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모터축(131)이 회전되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전환실(123)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유입포트(113)(114)(115)와 배출포트(112)에 대응되어 연통되는 배출안내홀(142)과 유입안내홀(143)(144)(145)이 형성된 밀착고정부싱(140)과;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전환실(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밀착고정부싱(140)의 배출포트(112)와 하나의 유입포트(113)(114)(115)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홀(15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결합공(152)이 형성된 전환부싱(15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회전밀폐공(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전환부싱(150)의 결합공(152)에 삽입되는 결합돌조(16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이 결합되는 결합홈(162)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밀폐링(163)이 삽입되는 링홈(164)이 형성된 인너부싱(16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설치요홈(111)과 밀착고정부싱(140)의 저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내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오링(1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전환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을 감속하도록 상부하우징(120)과 구동모터(130)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구동모터(130
    )의 모터축(131)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입력부(18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인너부싱(160)을 연동시키도록 결합되는 출력부(182)가 구비된 감속기(180)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회전밀폐공(122)과 인너부싱(160)의 결합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너부싱(160)을 밀폐하면서 상부하우징(1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밀폐브라켓(19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전환 밸브.
KR2020020001812U 2002-01-21 2002-01-21 유로 전환 밸브 KR200273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812U KR200273514Y1 (ko) 2002-01-21 2002-01-21 유로 전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812U KR200273514Y1 (ko) 2002-01-21 2002-01-21 유로 전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14Y1 true KR200273514Y1 (ko) 2002-04-25

Family

ID=7311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812U KR200273514Y1 (ko) 2002-01-21 2002-01-21 유로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1037A1 (en) * 2005-02-25 2006-08-31 C & S Co., Ltd. Flow switching valve
WO2024048962A1 (en) * 2022-08-30 2024-03-07 Hanon Systems Fluid valv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1037A1 (en) * 2005-02-25 2006-08-31 C & S Co., Ltd. Flow switching valve
WO2024048962A1 (en) * 2022-08-30 2024-03-07 Hanon Systems Fluid valv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1191A1 (en) Bypass valve with an integral flow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CA1269589A (en) Mixing valve
WO2005066529A1 (en) Multiple port valve
KR200273514Y1 (ko) 유로 전환 밸브
KR200387702Y1 (ko) 유로 전환 밸브
CN102996857A (zh) 一种恒温水龙头
WO2012140706A1 (ja) 浄水器用切換コック
KR101230502B1 (ko) 혼합밸브
KR970002920B1 (ko) 멀티웨이 밸브구조
KR101625986B1 (ko) 편심형 디스크가 구비된 제수밸브
ATE424509T1 (de) Verdrängereinheit mit einem steuerspiegelkörper
KR200250690Y1 (ko) 삼방향 유로 전환 밸브
CN212318853U (zh) 一种阀芯
JPH01176864A (ja) 湯水混合弁
CN216643129U (zh) 一种多功能旋转式半自动龙头
KR200309157Y1 (ko) 세라믹 디스크형 앵글밸브
KR200309161Y1 (ko) 밀폐플레이트를 갖춘 3방향 유로전환밸브
US7066445B1 (en) Control valve having closely sealing effect
KR200350996Y1 (ko) 수동조작이 가능한 3방향 유로전환밸브
KR200202901Y1 (ko) 유로 전환 밸브의 조립구조
KR200290984Y1 (ko) 수동개폐가 가능한 자동밸브
JP2005133451A (ja) 分岐口付水栓
KR200309162Y1 (ko) 밀폐플레이트를 갖춘 3방향 유로전환밸브
KR20100000048A (ko) 냉수 및 온수용 수전금구
KR200428149Y1 (ko) 상수도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