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94Y1 - A container with chambers - Google Patents

A container with chamb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94Y1
KR200272994Y1 KR2020020004259U KR20020004259U KR200272994Y1 KR 200272994 Y1 KR200272994 Y1 KR 200272994Y1 KR 2020020004259 U KR2020020004259 U KR 2020020004259U KR 20020004259 U KR20020004259 U KR 20020004259U KR 200272994 Y1 KR200272994 Y1 KR 200272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ompartments
partition wal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2020020004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94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액체를 각각 별도로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들 각각의 액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그 용기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격실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 각각의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격벽의 상부에 부착되는 커버; 및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구성된다. 격벽은 각각의 격실을 실제적으로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부재를 구비하며, 각각의 격벽부재에는 이웃하는 격실 상호간의 연통을 위해 천공가능한 관통부가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liquids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in which the respective liquids can be selectively used. The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having an opening; 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 cover attached to the top of the partitio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compartment;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partition wall has a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that actually form each compartment, and each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through por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compartments.

Description

격실을 구비한 용기{A container with chambers}A container with chambers

본 고안은 격실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또는 분말의 동종제품 또는 이종제품들을 하나의 용기에 각각 구분하여 저장 및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취하거나 음용할 수 있는 격실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provided with a compartment, and more particularly, can store and store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liquid or powder in a single container,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take or drink the contents. It relates to a container provided with a compartment.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진 않지만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저장 및 보관하거나 또는 휴대하는데 용기가 사용된다. 이 같은 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액체들은 그것의 성분을 유지하거나 용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상태로 또는 밀봉상태로 저장되거나 보관되고 있다. 또한, 이 같은 액체들을 저장하는 용기들은 그 크기를 다양화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꾀하고 있다.Generally, but not limited to, containers are used to store and store or carry various types of liquids. Such containers tak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ir use. In addition, most liquids are stored or stored in a sealed or sealed state to maintain their components or to maintain their normal use. In addition, containers for storing such liquids are diversified in size for economical us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일 용기들은 다소의 문제점 및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용기의 용적 및 용량은 저장되는 액체의 사용범위 또는 사용시기를 평균적으로 예측하여 설정함으로써 실제적인 사용시 부족하거나 또는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single containers have been shown to have some problems and inconveniences. First, the volume and capacity of the container has a problem that it is insufficient or wasted in actual use by setting the average of the range or time of use of the liquid to be stored on average.

그리고, 하나의 용기에 단일의 액체만이 저장되거나 충전됨으로 인해 필요한 만큼의 액체에 해당하는 용기가 요구됨으로써 결국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용기의 보관 및 취급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a single liquid is stored or filled in one container, a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amount of liquid is required, resulting in a waste of resources as well as a troublesome storage and handling of the container.

또한, 2가지 이상의 액체를 혼합해야 하는 경우 각각의 액체가 저장된 용기를 구입하여 이들 각각의 액체를 별도의 하나의 용기에 부어 혼합함으로 인해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역시 폐용기가 양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wo or more liquids need to be mixed, the operation is cumbersome as well as the waste container is produced by purchasing a container in which each liquid is stored and pouring each of these liquids into a separate container. .

더욱이, 단일의 수용격실을 갖는 음료 또는 음용수용 용기인 경우에는 음용자의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everage or drinking water container having a single accommodation compar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rink is lowered because the selection range of the drinker is very limited.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분말 또는 액체를 각각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격실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 compartment for storing a plurality of powder or liquid separatel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각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액체를 각각 별도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말 또는 액체를 선택적으로 취하거나 음용할 수 있는 격실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 compartment in which powders or liquids of different components can be provided separately, and which can selectively take or drink each powder or liqui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종의 분말 또는 액체를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는 격실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 compartment in which heterogeneous powders or liquids can be easily mixed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격실을 구비한 용기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com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1의 용기가 완전히 제조된 상태에서의 부분절취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Figure 1 fully manufactured.

도 3은 도2의 용기의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container of Figure 2;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격실을 구비한 용기의 전개도.4 is an exploded view of a container having a compar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용기의 부분 절취사시도.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FIG. 4.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되는 다른하나의 커버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ther cover applied to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본체 20: 격벽10: main body 20: bulkhead

30: 커버 40: 뚜껑30: cover 40: lid

100: 몸체 102: 베이스100: body 102: base

104: 격벽 106: 관통부104: partition 106: through part

108: 개구부108: opening

이 같은 목적들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격실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 그 각각의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격벽의 상부에 부착되는 커버; 및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se objects, the main body having a constant internal space and having an opening; 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 cover attached to the top of the partitio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of the compartments; And it can be achieved by a container including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body.

전술된 목적들은 또한 내부공간을 갖는 입방체로 형성되는 몸체; 그 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 그 몸체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격실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 및 그 각각의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팩형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also include a body formed of a cube having an inner space; A base forming the bottom of the body; 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a plurality of openings integrally includ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compartments.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격실을 구비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일정한 내부용적을 지니며, 대부분 하부면(12)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는 그 내부로의 액체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14)가 형성되며, 그 주변에는 후술되는 뚜껑이 해제 가능하게 나삽될 수 있는 나선(16)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개구부(14)의 주변에는 나선이외에 다양한 다른 개폐가능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시 액체의 불필요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이 같은 수단들은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본원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0)는 예컨대, 플라스틱, 유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a container with a compart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0. The main body 10 has a constant internal volume, and mostly maintains the lower surface 12 in a closed stat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4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liquid therein, the periphery of the spiral 16 can be forme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id to be described later release. Of course, a variety of other opening and closing means other than the spiral can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14, and also means for preventing unnecessary leakage of the liquid in use, such means are well know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for example, plastic or glass.

본체(10)의 내부에는 그 본체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격실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20)이 구비된다. 이 격벽(20)은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실제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본원에서는 3개)의 격벽부재(2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같은 격벽구조에 따라, 이웃하는 각각의 격벽부재(22)사이에는 소정의 격실(C)이 형성되며, 결국 본체(10)의 내부에는 격벽부재의 개수만큼의 격실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20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he partition wall 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members 22 for actually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such a partition structure, a predetermined compartment C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neighboring partition member 22, and eventually, as many partitions as the number of partition members are formed in the body 10.

선택적으로, 각각의 격벽부재(22)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커버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너비를 갖는 부착면(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격벽부재(22)에는 이웃하는 각각의 격실(C)간의 연통을 위한 관통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관통부(26)는 정상상태에서는 이웃하는 격실(C)간의 완전한 액밀을 유지하는 반면, 필요시에만 사용자가 스트로크 또는 다른 천공수단을 이용하여 천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관통부(26)는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필요에 따라 각각의 격벽부재(22)에 하나씩만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 적절한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Op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an attachment surface 24 having a constant width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each partition member 22 so that a cover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tably attached. In particular, each partition member 22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26 for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compartments (C). Each penetrating portion 26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be perforated using stroke or other puncturing means only when necessary, while maintaining complete liquid tightness between neighboring compartments C in a steady state. Of course, only one such penetrating portion 26 may be formed in each partition member 22 as required by a user or a manufacturer, or two or more suitable numbers may be set.

한편, 본체(10)가 투명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격실(C)에 수용되거나 저장된 액체의 용량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격벽부재(22)에는 눈금으로 표시된 잔량표시부(2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ody 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ach partition member 22 is provided with a residual amount display portion 28 indicated by a scale so that the capacity of the liquid contained or stored in each compartment C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It is desirable to be.

이와 같은 관통부(26)는 격벽부재(22)의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공의 용이함을 위해 격벽부재(22) 자체의 전체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관통부(26)는 해당부분을 미리 천공 한 후 테이프 또는 다른 폐쇄수단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격벽부재(22) 자체를 천공 가능한 재료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through part 26 may be selectively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partition member 22,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artition member 22 itself in order to facilitate drilling. Alternatively, the penetrating portion 26 may be formed by drill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in advance and attaching a tape or other closing means, or may be formed by selecting each of the partition members 22 themselves by a perforated material.

한편, 격벽(20)을 본체의 내부에 형성하거나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즉,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본체와 함께 형성하거나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와 격벽(20)을 각각 형성하고, 격벽을 본체에 삽입한 후 스폿용접 또는 다른 용착 또는 부착방식을 이용하여 본체(10)에 격벽(20)을 일체화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어떠한 경우이든 액체의 정상적인 보관 또는 저장상태에서는 본체(10)와 격벽(20)사이 및 격실(C) 상호간의 누설이 완전히 방지되도록 기밀 또는 액밀을 유지해야 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nner in which the partition wall 20 is formed 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That is, it can be formed or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by extrusio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and the partition wall 20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partition wall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then formed by a method of integrating the partition wall 20 into the main body 10 by using spot welding or other welding or attaching methods. Can be. Of course, in any case, it will be apparent that in the normal storage or storage state of the liquid, it must be kept airtight or liquid tight so that leakag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partition wall 20 and the compartment C is completely prevented.

격벽(20)의 각각의 격벽부재(22)의 상부에는 커버(3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커버(30)는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30)는 개구부(14)는 물론 격벽(20)의 부착부(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버(30)는 격벽(20)의 각각의 격벽부재(22)에 의해 각각 형성된 각각의 격실(C)을 개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복수개의 개폐부(32)를 일체로 구비한다. 각각의 개폐부(32)는 커버(30)에 절취선(34)을 형성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격벽(20)에 대한 커버(30)의 바람직한 부착은, 커버(30)의 각각의 절취선(34)이 격벽(20)의 부착부(24)의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부착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over 30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partition member 22 of the partition wall 20. The cover 3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cover 3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cover 30 is preferab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0 of the partition wall 20 as well as the opening 14. In particular, the cover 3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32 for individually opening and closing each compartment C formed by each of the partition member 22 of the partition 20. Each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2 may be automatically formed by forming the cutout line 34 in the cover 30. Of course, the preferred attachment of the cover 30 to the partition 20 is preferably achieved by attaching each cut line 34 of the cover 30 to coincide with the centerline of the attachment portion 24 of the partition 20. Do.

선택적으로, 각각의 격실에 저장되는 액체의 종류 또는 내용물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절취선(34)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개폐부(32)에는 문자 또는 표시기호(34a)가 인쇄되거나 색인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액체 또는 내용물을 색깔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부분을 각각 다른 색깔로 인쇄하여 구별할 수 있다.Optionally, letters or indicators 34a may be printed or indexed on each opening 32 formed by each perforation line 34 to accurately identify the type or contents of the liquid stored in each compartment. have. 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liquid or contents are to be displayed in color, the corresponding portions may be printed in different colors to distinguish them.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격실(C)과 연통하며 액체가 출입가능한 배출구(36)가 천공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배출구(36)는 스티커(38)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폐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cover 30 may be formed in a single body, and the discharge port 36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compartment (C) and out of the liquid is perforated, each of the discharge port 36 Can be detachably closed by a sticker 38.

최종적으로, 본체(10)의 개구부(14)는 뚜껑(40)이 개폐방식으로 제공된다.뚜겅(40)은 개구부(14)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부(14)의 주변에 나선(16)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뚜겅의 내측에도 이 나선에 해제 가능하게 교합되는 나선(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뚜껑(40)은 전술된 바와 같은 나선식뿐 아니라 탄성개폐식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Finally, the opening 14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lid 40 is opened and closed. The lid 40 is preferab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14). For example, when the spiral 16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14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piral 42 that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spiral is formed inside the lid. Of course, the lid 4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elastic opening and closing as well as the spiral type as described above.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일명 "팩"이라 칭하는 형태의 용기이다. 이 용기는 입방체로 형성되는 몸체(100)를 구비한다. 몸체(100)의 하부에는 그 하부변이 상호 부착되어 압축된 상태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02)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s 4 to 5,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of a type called "pack". This container has a body 100 formed of a cub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base 102, the lower sides of which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formed flat in a compressed state.

특히, 몸체(1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액체를 격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하나 이상의 격실(C)(본 실시예에서는 2개)이 형성된다. 각각의 격실(C)은 몸체(100)의 내부에 그 몸체와 일체를 이루는 격벽(104)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격실의 용적 또는 크기는 격벽(104)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호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one or more compartments C (two in this embodiment) are formed inside the body 100 to isolate and accommodate one or more liquids. Each compartment C is formed by a partition 104 that is integral with the body in the interior of the body 100. In addition, the volume or size of each compartm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artition 104.

선택적으로, 격벽(104)에는 이웃하는 격실(C)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관통부(10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106)는 정상상태에서는 이웃하는 격실(C)간의 완전한 액밀을 유지하는 반면, 필요시에만 사용자가 스트로크 또는 다른 천공수단을 이용하여 천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관통부(106)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각각의 격벽(104)에 하나씩만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 적절한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관통부(106)는, 전술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격벽(104)의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공의 용이함을 위해 격벽(104) 자체의 전체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관통부(106)는 해당부분을 미리 천공 한 후 테이프 또는 다른 폐쇄수단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격벽(104) 자체를 천공 가능한 재료를 선택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Optionally, the partition 104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106 for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compartments C. The penetrating portion 106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be perforated using stroke or other puncturing means only when necessary, while maintaining complete liquid tightness between neighboring compartments C in the normal state. Of course, the penetrating portion 106 may be formed only one in each partition 104, as needed by the user, or two or more suitable numbers may be set. In addition, each through portion 106 may be selectively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partition wall 104,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the drilling of the partition wall 104 itself. It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entire thickness. Alternatively, the penetrating portion 106 may be formed by drill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in advance and attaching a tape or other closing means, or may be formed by selecting each of the barrier ribs 104 themselves by a perforated material.

한편, 몸체(100)의 상단부는 각각의 격실(C)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개구부(108)가 형성된다. 각각의 개구부(108)는 일반적인 팩의 개폐형 개구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그 개구부의 개폐작용 또한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is formed with each opening 108 to selectively open each compartment (C). Each opening 108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of the general pack, and also the opening and closing action of the opening is similar,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팩형 용기는 제지, 플라스틱 또는 다른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조할 용기의 크기에 적합하게 하나의 부재를 재단한 후, 입방체형 몸체(100)를 형성하기 위한 접힘부(S1), 평탄형 베이스(102)를 형성하기 위한 접힘부(S2), 격벽(104)을 형성하기 위한 접힘부(S3), 각각의 개구부(108)를 형성하기 위한 접힘부(S4)를 형성한 후, 이들 각각의 접힘부를 접고 각각의 부착부(A)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해당부분에 가압부착하여 용기를 완성하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개구부(108)는 내용물 또는 액체가 완전히 충전된 후 개방 가능하게 폐쇄되는 것이다.The pack-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paper, plastic, or other synthetic resin, and may be formed of one member. That is, after cutting one member to fit the size of the container to be manufactured, the folded portion (S1) for forming the cube-shaped body 100, the folded portion (S2) for forming the flat base 102, After forming the folded portion S3 for forming the partition 104 and the folded portion S4 for forming the respective opening 108, each of these folded portions is folded and an adhesive is applied to each of the attachment portions A. After applying, pressurized to the corresponding part to complete the container. Of course, each opening 108 is openly closed after the contents or liquid are completely filled.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용기의 사용방법 및 작용모드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e and an operation mode of each contai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예컨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음용수또는 내용물이 각각의 격실(C)에 구분되어 충전 및 저장될 수 있다. 이 같은 충전상태에서 사용자가 충전된 내용물 중 특정한 하나의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뚜겅(40)을 개방한다. 그리고, 커버(30)의 각각의 폐쇄부(32)에 색인된 문자 또는 색깔로 해당 음료수 또는 내용물을 확인한 후 해당폐쇄부(32)를 제거한다.For example,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filled and stored with different types of drinking water or contents in each compartment (C). In this state of charge when the user wants to drink or use a particular drinking water or contents of the charged contents, first open the lid 40. Then, after confirming the drink or the contents in the letter or color indexed to each closure 32 of the cover 30, the corresponding closure 32 is removed.

이후, 사용자는 해당 격실(C)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시거나 내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해당 음료수 또는 내용물의 음용 또는 사용을 중지하고 또한 다른 격실에 저장된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마시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제거하였던 커버(30)의 폐쇄부(32)를 다시 격벽(20)의 부착부(24)에 부착하고 해당되는 다른 하나의 격실(C)을 폐쇄하고 있는 폐쇄부(32)를 떼어낸 후 해당 격실내의 음료수를 마시거나 또는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user drinks the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compartment (C) or uses the contents. And, if you want to stop drinking or using the beverage or the contents and drinking or using the drinking water or contents stored in another compartment, the closure part 32 of the cover 30, which has been previously removed, is removed from the partition 20 again. After attaching to the attachment portion 24 and removing the closed portion 32 closing the other compartment (C), the drink in the compartment or the contents can be used.

한편, 각각의 격실(C)에 저장된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용기 자체내에서 혼합하여 마시거나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폐쇄부(32)를 떼어낸 후 스트로크 또는 별도의 천공수단을 이용하여 격벽(20)의 격벽부재(22)에 형성된 관통부(26)를 천공하여 격실 상호간을 연통시킨다. 이와 같이, 격실(C)이 상호 연통하면 각각의 격실에 저장된 각각의 음용수 또는 내용물이 관통부(26)를 통해 혼합되어 각각의 격실(C) 내에서 상호 혼합된다. 이 상태에서 음용자 또는 사용자는 혼합된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drinking or using the drinking water or the contents stored in each compartment (C) in the container itself, or to use, after removing the one closed portion 32, the partition using a stroke or a separate puncturing means The through part 26 formed in the partition member 22 of 20 is drill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such, when the compartments C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ach of the drinking water or contents stored in each compartment is mix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26 to b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compartment C. In this state, the drinker or the user can drink or use the mixed drinking water or contents.

또한, 본체(10)가 투명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격실(C)을 형성하는 격벽(20)의 각각의 격벽부재(22)에 잔량표시부(28)가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이 음용한음용수의 용량 또는 사용하거나 사용할 내용물의 용량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body and each of the partition members 22 of the partitions 20 forming the respective compartments C is provided with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28, the user drinks his own drinking water. It will be able to easily recognize the dose or the dose of the content to be used or used.

물론, 사용 후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경우에는 커버(30)를 원위치에 부착하고 다시 뚜껑(40)을 닫아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Of course, in the case of long-term storage after use, the cover 30 may be attach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lid 40 may be closed again for long-term storag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가 단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격실과 연통하는 배출구(36)가 형성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배출구(36)를 폐쇄하고 있는 스티커(38)를 선택적으로 착탈하여 해당 격실(C)내의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cover 30 is formed as a single body and an outlet 36 communicating with each compartment is formed, the sticker 38 closing the corresponding outlet 36 is selectively removed. Drinking water or the contents in the compartment (C) can be used.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팩형 용기의 몸체(100)의 내부에 격벽(104)에 의해 격리된 각각의 격실(C)에는 각각 다르거나 상호 보완적인 음용수 또는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compartment (C) isolated by the partition wall 104 in the interior of the body 100 of the pack-typ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4 to 5 are each different or complementary Drinking water or contents can be stored.

이 같은 충전상태에서 사용자가 충전된 내용물 중 특정한 하나의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선택된 하나의 개구부(108)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개방하여 음용하거나 사용한다. 이후, 사용자가 음용을 마치거나 사용을 중지하고 또한 다른 격실에 수용된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마시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개방된 하나의 개구부(108)를 폐쇄하고, 다른 하나의 개구부(108)를 개방하여 해당 격실내의 음료수를 마시거나 또는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다.In such a state of charge, when the user wants to drink or use a particular drinking water or contents of the charged contents, the selected opening 108 is first opened in a conventional manner for drinking or using. Then, when the user finishes drinking or stops using it, and also wants to drink or use the drinking water or contents contained in the other compartment, the previously opened one opening 108 is closed and the other opening 108 is closed. It can be opened to drink beverages in the compartment or to use the contents.

한편, 각각의 격실(C)에 저장된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용기 자체내에서 혼합하여 마시거나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개구부(108)를 개방한 후스트로크 또는 별도의 천공수단을 이용하여 격벽(104)에 형성된 관통부(106)를 천공하여 격실(C) 상호간을 연통시킨다. 이와 같이, 격실(C)이 상호 연통하면 각각의 격실에 저장된 각각의 음용수 또는 내용물이 관통부(106)를 통해 혼합되어 각각의 격실(C) 내에서 상호 혼합된다. 이 상태에서 음용자 또는 사용자는 혼합된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drinking or using the drinking water or the contents stored in each compartment (C) in the container itself, or to use, after the opening of one opening (108) by using a stroke or a separate puncturing means partition ( The through part 106 formed in 104 is drilled to communicate the compartments C with each other. As such, when the compartments C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ach of the drinking water or contents stored in each compartment is mix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06 to be mixed with each other in each compartment C. In this state, the drinker or the user can drink or use the mixed drinking water or contents.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격실의 음용수 또는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음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drink or use the drinking water or the contents of the desired compartment selectively, and can mix and use two or more contents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ainer as needed.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격실을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복수의 액체를 각각 별도로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들 각각의 액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compart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everal liquids can be stored separately, respectively, and each of these liquids can be selectively used, and there exists an effect which improves convenience.

그리고, 적정한 양을 적정한 시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종의 액체를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ppropriate amount can be used at the right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mix heterogeneous liquids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ainer can reduce the cost and shorten the working time has the advantage of improved economic efficiency.

또한,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어 적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utilized in a variety of ways in a variety of forms of the container applicability.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일정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having an opening;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격실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상기 각각의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격벽의 상부에 부착되는 커버; 및A cover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compartments; And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Container including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부재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격벽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members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artition wall member is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Courage to do.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재에는 이웃하는 각각의 격실간의 연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천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3. The container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is perforated to form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 communication between adjacent compartments.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격벽부재에는 내용물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3. A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each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remaining amount display portion for indicating the amount of conte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격벽은 압출성형 방식, 사출성형 방식 및 스폿용접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partition wall are integrated in one of extrus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and spot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각각의 격실을 개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절취선에 의해 선택적으로 절취 및 부착가능한 복수의 개폐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ontain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which can be selectively cut and attached by a tear line to open and close the respective compartments individually. 제 2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취선은 상기 격벽의 부착부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각각의 개폐부에는 상기 각각의 격실에 저장되는 액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문자, 표시기호 및 색깔 중 하나가 선택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6, wherein each of the cut lines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line of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each opening and closing portion has letters, symbols, and colors to identify liquids stored in the respective compartments. Wherein one of the containers is selected and display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각각의 격실과 연통하며 액체의 출입이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배출구는 스티커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ontain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compartments and allowing liquid to enter and exit, wherein each discharge port is detachably closed by a sticker. 내부공간을 갖는 입방체로 형성되는 몸체;A body formed of a cube having an inner space; 상기 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A base defining a bottom of the body;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격실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 및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상기 각각의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팩형 용기.A packed container integrally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compartment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베이스, 격벽 및 개구부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형 용기.The container of claim 9, wherein the body, the base, the partition, and the opening are formed of one memb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이웃하는 격실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관통부가 천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형 용기.10. The pack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arrier ribs are formed to be perforat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compartments.
KR2020020004259U 2002-02-08 2002-02-08 A container with chambers KR2002729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59U KR200272994Y1 (en) 2002-02-08 2002-02-08 A container with chamb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59U KR200272994Y1 (en) 2002-02-08 2002-02-08 A container with chamb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589A Division KR20030067410A (en) 2002-02-08 2002-02-08 A container with cham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994Y1 true KR200272994Y1 (en) 2002-04-20

Family

ID=7311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59U KR200272994Y1 (en) 2002-02-08 2002-02-08 A container with chamb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9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23370A1 (en) * 2019-04-12 2020-10-15 Sean Michel Connolly Interactive Multi-chamber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23370A1 (en) * 2019-04-12 2020-10-15 Sean Michel Connolly Interactive Multi-chamber Container
US11930943B2 (en) * 2019-04-12 2024-03-19 Sean Michel Connolly Interactive multi-chamber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441B1 (en) Compartmentalized dispens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6250346B1 (en) Device for maintaining separate ingredients in liquid food products
US6263923B1 (en) Device for maintaining separate ingredients in liquid food products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20070068949A1 (en) Pill cup
WO1996015950A1 (en) Single use cereal and milk container
KR100977852B1 (en) Device for dispensing several fluids comprising at least two flexible bags and two pumps
KR20090000299A (en) Powder exhausting apparatus for cosmetics case
KR200272994Y1 (en) A container with chambers
US9884753B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oler
EP3326931B1 (en) Container with hinge lid
WO200703446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KR20030067410A (en) A container with chambers
US11370593B2 (en) Segmented container volume apparatus
US20100282756A1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KR102351533B1 (en) Lunch box with sealing means
KR100300855B1 (en) hairdye container
CN216762541U (en) Storage box
JPH1191824A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JP2577954Y2 (en) Mixing container
KR910004638Y1 (en) Container for different kind of fluid
KR101687413B1 (en) Paint can
JP2013256300A (en) Storage body
KR20210103343A (en) Vessel assemly
KR20030091899A (en) Pouch vessel with separate content storag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