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492Y1 -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 Google Patents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492Y1
KR200272492Y1 KR2020020001251U KR20020001251U KR200272492Y1 KR 200272492 Y1 KR200272492 Y1 KR 200272492Y1 KR 2020020001251 U KR2020020001251 U KR 2020020001251U KR 20020001251 U KR20020001251 U KR 20020001251U KR 200272492 Y1 KR200272492 Y1 KR 200272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ing
learning
storage bag
pa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2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2020020001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49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492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자, 숫자 등의 기호표를 교습판에 착탈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습판을 포함한 교습기구 전체가 휴대형의 공책 구조로 제작되어, 학습한 내용을 시간과 장소에 크게 구애됨 없이 지속적으로 반복 숙달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교습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pparatus that allows learning to be performed while attaching and detaching a symbol table such as letters and numbers to the teaching board, and more specifically, the tea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teaching board is manufactured in a portable notebook structure. It is about teaching equipment for infants who have been able to continuously master the skills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이같은 본 고안은, 내부 수납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전개형 커버(11)가 구비되는 수납낭(10)과; 문자, 숫자, 동식물 및 각종 물체의 형상이 도안된 마킹부(21)를 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섬유 시트이며, 상기 수용공간에 적층되어 전개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납낭에 결속되는 교습지(20)와; 상기 마킹부의 형상과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교습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호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ag 10 is provided with a deployment type cover 11 on one sid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torage space (10a); A plurality of fiber sheets having a marking portion 2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tter, number, flora and fauna and the shape of various objects, which are stack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bound to the storage bag in a deployable state. )Wow; It is formed so as to match the shape of the marking portion is a symbol table 30 detachably coupled to the teaching pap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공책 타입의 기호표 부착식 유아 교습기구{Learning Appliance for Infant}Sign-type infant teaching apparatus with notebook type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본 고안은 문자, 숫자 등의 기호표를 교습판에 착탈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습판을 포함한 교습기구 전체가 휴대형의 공책 구조로 제작되어, 학습한 내용을 시간과 장소에 크게 구애됨 없이 지속적으로 반복 숙달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교습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pparatus that allows learning to be performed while attaching and detaching a symbol table such as letters and numbers to the teaching board, and more specifically, the tea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teaching board is manufactured in a portable notebook structure. It is about teaching equipment for infants who have been able to continuously master the skills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일반적으로,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켜 지능 개발이나 학습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교습 내지는 학습기구 들이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In general, it is well known that a wide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tools are provided to encourage children to improve their intelligence development or learning ability.

이러한 교습기구의 일 예로서, 임의의 문자, 숫자 혹은 각종 동식물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기호표가 제공되고, 이같은 기호표를 그와 세트로 제공되는 교습판 내지는 벽면에 부착하면서 문자, 숫자 및 다양한 물품(또는 동식물)의 명칭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형태가 있다. 또한, 상기 기호표는 색상에 의한 기억력의 연관작용을 통해 학습 효과가 높아질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되어진다.As an example of such a teaching instrument, a symbol table is provided that is modeled after an arbitrary letter, number, or shape of a variety of animals and plants, and the symbol table is attached to the teaching board or wall provided as a set thereof. Or flora and fauna). In addition, the symbol table is colored in various colors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memory by the color.

상기한 교습기구에 의해서, 어린이들은 문자 및 그와 연관되는 그림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아니라, 손을 사용하여 문자와 그림의 짝을 찾아주는 행동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학습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By the teach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children can learn not only by visually checking the letters and the pictures associated with them, but also through the action of finding letters and pictures by using their hands. Depending on the learning effect will be maximiz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습기구는 단일의 시트 내지는 보드형 구조로 이루어져 비교적 큰 넓이를 차지하는 교습판에 문자 및 숫자를 형상화한 기호표를 부착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므로 그 기능 상에 한계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However, the teach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a form of a single sheet or board-like structure, and the learning is performed while attaching a symbol table in the form of letters and numbers to a teaching board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area, thereby revealing a limitation in its function.

즉, 학습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방법 중 체계적이면서 지속적인 반복을 통한 학습과정 역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술한 종래의 교습기구를 이용한 학습에서도 반복에 의한 지식습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교습기구를 이용한 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유치원, 유아방 등의 교육기관 또는 가정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학습이 지속적으로 연관성을 가지면서 반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In other word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 repetition also tak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various methods of learning, and of course, the knowledge acquisition by repetition also takes a large part in the learning using the conventional teach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order for learning using the teaching apparatus to proceed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first learning made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or a home such as a kindergarten, a nursery or the like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교습기구는 그 부피 등을 고려할때 휴대가 불가능한 것이므로, 교육기관과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이 상호 연관성을 갖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많이 학습효과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아니라, 교습기구가 설치된 한정된 공간에서만 학습이 행해지므로 지속적인 반복학습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aching apparatus is impossible to carry in consideration of its volume, and therefore, the learning done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t home does not have a correlation, and it is likely that the teaching process will be degraded. Because the learning is performed only in a limited space where is installed, it is a factor that makes continuous repetitive learning difficult.

다시 말해, 교육기관에서 학습한 내용이 그대로 가정으로 전달되어 2차, 3차 지속적인 반복학습이 이루어져야 학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또한 학습이 특정의 공간에서 한정되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수시로 반복될 수 있어야 완전한 학습이 가능한 것이지만, 종래의 교습기구로는 이같은 기능을 기대할 수 없었다.In other words, the contents learned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re delivered to the home as it is,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continuous repetitive learning can be maximized, and the learning can be repeated at any place without being limited in a specific space. Full learning is possible, but traditional teaching aids cannot be expected.

그리고, 종래의 교습기구는 단일의 교습판에 다양한 종류의 기호표를 부착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므로, 다수의 기호표가 교습판과 분리된체 통합 보관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특정의 기호표를 찾는데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학습능률의 저하를 가져오며, 또한 기호표 전체가 잘 보관되고 있는지 확인작업이 어려워 기호표의 분실우려가 높게되는 등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aching apparatus is a form in which learning is performed while attaching various kinds of symbol tables to a single teaching board, and thus, many symbol tables are often stored integrally with the teaching board. As a result, it may take too much time to find a specific symbol table,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learning efficiency. Also,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entire symbol table is well stor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the symbol table.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습판을 포함하여 교습기구 전체가 휴대할 수 있는 공책 구조로 제공되므로써, 교육기관과 가정을 통한 학습이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시행될 수 있어 지속적인 반복에 의한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오는 유아용 교습기구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in a notebook structure that can be carried by the entire tea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teaching board, so that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omes can be implemented in close coop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aching tool for toddlers that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continuous repetition.

또한, 본 고안은 학습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학습한 내용을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반복 숙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교습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teaching apparatus for infants that can be easily repetitive mastery of the learning content in any place, regardles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또한, 본 고안은 교습판과 그에 착탈되는 기호표들이 함께 보관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서, 학습에 요구되는 기호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기호표의 분실우려가 최소화되는 등 관리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유아용 교습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that the teaching board and the symbol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orm, so that not only can easily find the symbols required for learning,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such as minimizing the fear of loss of the symbol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this teaching tool for childre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교습기구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tool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교습기구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tool for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교습기구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tool for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수납낭 11: 커버 12: 지퍼 20: 교습지 21: 마킹부 30: 기호표 40: 부직포 50: 수납용 포켓 60: 투시창 61: 걸림턱부 62: 차단막 70: 걸이끈 71: 물품수납용 포켓DESCRIPTION OF SYMBOLS 10: Storage bag 11: Cover 12: Zipper 20: Teaching paper 21: Marking part 30: Symbol table 40: Nonwoven fabric 50: Storage pocket 60: Viewing window 61: Hanging jaw part 62: Barrier film 70: Hanging string 71: Pocket for storing good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전개형 커버가 구비되는 수납낭과; 문자, 숫자, 동식물 및 각종 물체의 형상이 도안된 마킹부를 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섬유 시트이며, 상기 수용공간에 적층되어 전개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납낭에 결속되는 교습지와; 상기 마킹부의 형상과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교습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호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ag is provided with a deployment type cover on one sid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torage space; A teaching sheet formed on a surface of a marking sheet on which letters, numbers, flora and fauna and shapes of various objects are designed, the teaching paper being laminated to the storage space and bound to the storage bag in a deployable state; And a symbol table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marking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eaching paper.

본 고안은 또한, 수납낭의 상기 커버는 상기 교습지의 전개 방향을 제외한 어느 일정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수납낭에 결합되며, 그 내면에는 상기 기호표를 임의로 선택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자유교습면 형성용의 부직포를 부착하여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of the storage bag is coupled to the storage bag to be opened and closed in any predetermined direction excep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eaching paper, the inner surface of the free lesson surface formed to be detachable by selecting the symbol table arbitrarily Another feature is that the nonwoven fabric of the dragon is attached.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교습지의 마킹부와 매칭되는 예비용 기호표들을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예비 기호표 수납용 포켓을 교습지와 동일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liminary symbol table receiving pockets to be develop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eaching sheet so that the preliminary symbol tables that match the marking portion of the teaching paper can be separated and stored.

본 고안은 또한, 수납낭의 상기 커버에는 투시창을 형성하되, 상기 투시창의 주연을 따라 걸림턱부가 연장되고, 상기 투시창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부에 그 테두리부를 접한체 상기 투시창과 포개지는 투명소재의 차단막이 제공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forms a see-through window on the cover of the storage bag, the engaging jaw portion extend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e-through window, the inner side of the see-through window of the transparent material that overlaps the see-through window and its border portion Another feature is that a barrier film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학습기구는, 수납낭(10), 교습지(20) 및 기호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arning apparatus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learning apparatus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bag 10, a teaching paper 20, and a symbol table 30. It is configured by.

상기 수납낭(10)은 그 내측에 제공되는 수납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전개형 커버(1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1)가 상기 수납공간(10a)을 보다 안정감있게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1)를 상기 수납낭(10)에 고정 결합시키는 봉합수단을 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1)와 수납낭(10)의 접촉부위에 지퍼(12,zipper)를 부착하므로써, 이같은 지퍼(12)에 의해 상기 커버(11)가 상기 수납낭(10)의 수납공간(10a)을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수납낭(10)과 커버(11)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섬유 소재로 제작하였다.The storage bag 10 is coupled to the deployment type cover 11 on one sid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0a) provided on the inside. In addition,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a sealing means for fixing the cover 11 to the storage bag 10 so that the cover 11 can more securely block the storage space (10a). In this embodiment, by attaching a zipper (12, zipper)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ver 11 and the storage bag 10, by the zipper 12, the cover 11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ag 10 The space 10a was completely blocked off. In addition, the storage bag 10 and the cover 11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in this embodiment is made of a fiber material having a soft texture.

그리고, 상기 수납낭(10)의 수납공간(10a) 내측으로 전술한 교습지(20)가 수용된다. 이같은 교습지(20)는 섬유소재의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수납공간(10a)으로 적층 수용되며, 이렇게 수용된 복수장의 교습지(20)는 그 일측을 상기 수납낭(10)의 내면에 결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습지(20)는 최상측에 위치한 교습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결속부위를 기준하여 일방향으로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습지(20)의 표면에는 문자, 숫자, 동식물 및 각종 물체의 형상을 도안한 마킹부(21)가 제공되며, 이같은 마킹부(21)에 후술되는 기호표(3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eaching paper 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10a of the storage bag 10. Such a teaching paper 20 is made of a sheet structure made of a fiber material is stacked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0a), the plurality of teaching paper 20 accommodated in this way binds one sid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bag (10). Accordingly, the teaching paper 20 is installed to be deploy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binding portion sequentially from the teaching paper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teaching paper 20 is provided with a marking portion 21 for drawing the shape of letters, numbers, animals and plants and various objects, the symbol table 30 to be described later on such marking portion 21 is removable. Is attached.

상기 기호표(30)는 상기 교습지(20)에 도안된 상기 마킹부(21)의 형상과 매칭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실시예를 참조하면 "우리"라는 마킹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ㅇ,ㅜ,ㄹ,ㅣ와 같은 문자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기호표(30)는, 일면은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되고 그 반대측면은 검정의 무채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는 어린이들이 색채를 기억하여 이를 문자학습에 연관시킴으로써 1차적인 학습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렇게 학습된 문자를 색채와 관계없이 익히도록 하여 완벽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ymbol table 30 is provided to match the shape of the marking portion 21 designed on the teaching paper 2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the symbol table 30 may be detachable from the marking portion “us”. It is provided as a character table such as, ㄹ, ㅣ. At this time, the symbol table 30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colored in various colors and the opposite side is formed to be achromatic black, which is the effect of primary learning by the children memorizing colors and associating them with character learning. Is maximized and at the same time to learn the learned letters irrespective of the color to achieve a perfect learning.

그리고, 이같은 기호표(30)를 상기 교습지(20)의 마킹부(21)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교습지(20)를 부직포로 제작하고 이같은 부직포 소재의 교습지(2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호표(30)의 후면에 매직파스너(미도시)를 부착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호표(30)를 상기 교습지(2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조로서, 비용이나 제작상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부직포와 매직파스너에 의한 부착구조를 예로 들었으나, 그외에 자석을 이용한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n, the teaching sheet 2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so that the symbol table 3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rking portion 21 of the teaching paper 20. A magic fastener (not shown) wa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sign table 30 so as to be removable.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structure for attaching the sign table 30 to the teaching paper 20 in a detachable manner, the structure of attaching the non-woven fabric and the magic fastener is considered as an example in consideration of cost and manufacturing convenience. Of course, other methods using a magnet may be used.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학습보조기구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process through which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learning aid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수납낭(10)의 커버(11)를 전개하여 교습지(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각 교습지(20)를 차례로 펼쳐가며 그 표면의 마킹부(21)에 그와 매칭되는 기호표(30)를 부착하면서 문자, 숫자 및 각종 물품의 명칭을 반복 학습하게 된다. 즉, 학습지도자가 우선적으로 기호표(30)를 부착하면서 문자와 그에 해당하는 발음을 지도한 후, 유아들이 직접 기호표(30)를 찾아 그와 매칭되는 마킹부(21)에 부착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First, the cover 11 of the storage bag 10 is unfolded so that the teaching paper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n each teaching paper 20 is unfolded in turn to match the marking portion 21 on the surface thereof. While attaching the symbol table 30 to be repeated learning the names of letters, numbers and various articles. That is, after the learning leader first attaches the sign table 30 to teach letters and the pronunciation thereof, the children directly find the sign table 30 and attach it to the marking unit 21 matching with the sign table 30. Learning takes place.

이때, 상기 기호표(30)는 유아들의 기억력을 돕기위해 채색면과 무채색면의 이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학습지도자는 우선 상기 채색면을 이용하여 유아들이 문자나 숫자를 보다 수월하게 학습하도록 한 후, 다음 단계로 상기 무채색면을 통하여 아이들의 학습정도를 파악하는 동시에 보다 완벽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sign table 30 is made of a back surface of the colored surface and the achromatic surface to help the children's memory, the learning leader first allows the children to learn the letters or numbers more easily using the colored surface. Next, the next step is to grasp the learning level of the children through the achromatic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learning more perfect.

상기한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학습지도자의 지도 하에 시각, 청각을 포함하여 기호표(30)를 찾아 교습지(20)에 부착하는 행동이 수반된 복합적인 학습과정에 의해서 보다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장의 교습지(20)가 공책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교습소에서 당일 학습한 내용이 가정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는 유아에게 그날 학습한 내용을 교습소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복습시킬 수 있어 계속되는 반복학습에 의해 학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under the guidance of a study leader, children can find more active and effective learning by a complex learning process involving finding and attaching the sign 30 to the teaching sheet 20 including visual and hearing. It can be done.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lesson sheets 20 are provided in a notebook form, the contents of the lessons learned in the classroom can be easily delivered to the home, so that the children can review the contents of the lessons in the same way as the classrooms. As a result, continuous learning can be maximized.

또한, 공책 형태로 제공되는 본 고안의 교습기구는 별도의 설치과정을 요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휴대가 용이하므로,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반복학습을 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ac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notebook does not require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and is easy to carry, so that learning can be easily performed at any plac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a place, and excellent function for continuous repetitive learning. Can exert.

한편, 상기 교습지(20)를 수용하는 전술한 수납낭(10)의 커버(11)는 상기 교습지(20)의 전개 방향을 제외한 어느 일방향으로 전개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 커버(11)의 내면은 상기 기호표(30)를 자유롭게 부착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자유교습면을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11 of the storage bag 10 described above to accommodate the teaching paper 20 is configured to be developed in any one direction excep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eaching paper 20,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o form a free lesson that can be learned while attaching the sign table 30 freely.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11)는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교습지(20)로 인해 그 내면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측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상기 커버(11)의 내면에는 부직포(40)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부직포(40)의 표면은 문자, 숫자 등의 마킹부를 갖지 않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ver 11 is develop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inner surface is covered by the teaching paper 2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does not occur. Then, the non-woven fabric 4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 that is deploy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40 does not have markings, such as letters, numbers.

이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커버(11) 내면의 부직포(40)에 전술한 기호표(30)를 임의대로 부착하면서 이미 학습한 내용을 시험하거나 또는 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을 할 수 있게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above-described symbol table 30 is arbitrarily attached to the nonwoven fabric 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 and thus, the already learned contents can be tested or a higher level of learning can be performed.

다시 말해, 상기 교습지(30)는 그 표면으로 제공된 마킹부(21)를 통해 아이들이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그에 해당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문자, 숫자 및 각종 물체의 이름을 완전하게 습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또한 여러가지 단문자를 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문장학습이 불가능하였다.In other words, since the teaching paper 30 selects the corresponding letters while the children visually check them through the marking unit 21 provided on the surfa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tters, numbers, and names of various objects have been acquired. It was difficult to do this, and also it was impossible to learn the sentences that make up a sentence by combining various single characters.

따라서, 상기 커버(11)의 내면에 마킹부가 없는 부직포(40)를 부착하므로써, 이같은 부직포(40)에 전술한 기호표를 임의대로 부착하여 문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서 아이들의 학습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여러 단문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을 이루도록 하는 문장학습이 가능하여 보다 고급의 학습과정을 수행토록 할 수 있게된다.Therefore, by attaching the non-woven fabric 40 without the marking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 such a non-woven fabric 40 can be attached to the above-described symbol mark arbitrarily to determine the learning degree of children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charac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earn a sentence to combine a single letter to form a sentence to perform a more advanced learning process.

그리고, 상기 기호표(30) 중 일부 기호표의 분실 내지는 파손 시에 그 대체용으로 제공되는 예비기호표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포켓(50)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rage pocket 50 capable of storing a preliminary symbol table which is provided as a substitute when the symbol table 30 is lost or damaged in the symbol table 30.

즉, 상기 기호표(30)는 학습시를 포함하여 빈번하게 상기 교습지(20)에 착탈되며, 이러한 착탈 과정에서 조심성이 부족한 유아들이 기호표(30)를 훼손시키거나 분실하는 현상을 유발할 우려가 있게된다. 이같은 이유로 예비용의 기호표가 요구된다.That is, the sign table 30 is frequently detached from the teaching paper 20 including the time of learning, and the infants who lack carefulness may cause damage or loss of the sign table 30 during the detachment process. Will be. For this reason, a reserved symbol table is required.

따라서, 상기 예비기호표가 보관되는 수납용 포켓(50)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같은 수납용 포켓(50)은 상기 복수장으로 제공되는 교습지(20) 중 최상측 교습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습지들과 동일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to provide a storage pocket 50 for storing the preliminary symbol table, such a storage pocket 50 is located above the uppermost teaching paper of the teaching paper 2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he teaching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it to develop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ngers.

또한, 전술한 수납낭(10)의 커버(11)에 투시창(60)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11)의 내면에 상기 투시창(60)을 가리우는 투명 소재의 차단막(62)을 제공하므로써, 상기 커버(11)를 포함한 본 고안의 학습기구가 액자 내지는 앨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ee-through window 60 on the cover 11 of the storage bag 10 described above, and providing a shielding film 62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ing the see-through window 6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cover 11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rame or album function.

즉, 상기 투시창(60)의 내측에 투시창의 테두리부를 따라 걸림턱부(61)가 연장되고, 투명소재의 차단막(62)이 상기 투시창(60)을 가리우도록 포개어진체 그 외곽부를 상기 걸림턱부(61)에 앉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62)의 내면에 부직포가 덮혀진다. 이때, 상기 부직포는 전술한 자유교습면을 형성하는 부직포(40)일 수도 있고, 단순히 덮개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부직포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교습면을 형성하는 부직포(40)가 상기 차단막(62)을 가리우는 덮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That is, the locking jaw portion 61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viewing window inside the viewing window 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is overlapped so that the blocking film 62 of the transparent material covers the viewing window 60. 61). Then, a nonwoven fabric is cover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62. In this case, the nonwoven fabric may be a nonwoven fabric 40 forming the above-described free teaching surface, or may be a separate nonwoven fabric simply performing a cover function. In this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40 forming the free teaching surface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 of a cover covering the blocking film 62.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부직포(40)를 걷어낸 다음 상기 투시창(60)을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사진이나 그림을 상기 차단막(62)에 올려놓고, 상기 부직포(40)로 상기 차단막(62)을 다시 덮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1)는 상기 투시창(60)을 통해 사진이 투시되는 액자 내지는 앨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nonwoven fabric 40 is rolled up and then a picture or a picture is placed on the barrier layer 62 so as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viewing window 60, and the barrier layer 62 is formed by the nonwoven fabric 40. Will be overwritten again. Accordingly, the cover 11 may perform a function of a frame or an album through which the picture is project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60.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낭(10)에 걸이끈(70)과 물품 수납용 포켓(71)을 형성하여 가방의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성이 보다 향상되는 동시에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보다 복합적인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bag by forming a hangstring 70 and the article storage pocket 71 in the storage bag 10, by such a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porta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tore a variety of items to perform a more complex function.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공책 타입의 기호표 부착식 유아 교습기구에 의하여, 공책형의 교습기구를 용이하게 휴대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반복 학습이 가능함에 따라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notebook type tag attached toddler te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sy to carry a notebook-type teaching equipmen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repeated learning from time to time This could result in improved learning.

또한, 교습기구의 당일 학습한 페이지만 알면 그 날의 학습내용이 무엇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교습기관에서 학습한 내용을 가정에서 즉시 반복 학습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여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if you only know the page learned on the day of learning, you can easily understand wha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day, so it is very easy to immediately repeat the learning at home from the teaching institution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have.

그리고, 교습기구가 작은 부피를 가지면서 휴대가 용이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액자 및 가방으로 활용이 가능한 복합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teaching apparatus has a small volume, is easy to carry and provides convenience, and also has an effect of improving reliability of a product by performing a complex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a frame and a bag.

Claims (4)

내부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전개형 커버가 구비되는 수납낭과;A storage bag having a deployment cover disposed at one sid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torage space; 문자, 숫자, 동식물 및 각종 물체의 형상이 도안된 마킹부를 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섬유 시트이며, 상기 수용공간에 적층되어 전개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납낭에 결속되는 교습지와;A teaching sheet formed on a surface of a marking sheet on which letters, numbers, flora and fauna and shapes of various objects are designed, the teaching paper being laminated to the storage space and bound to the storage bag in a deployable state; 상기 마킹부의 형상과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교습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호표;A symbol table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marking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eaching pap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 타입의 기호표 부착식 유아 교습기구.Notebook type sign attached type infant teac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수납낭의 상기 커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of the storage bag, 상기 교습지의 전개 방향을 제외한 어느 일정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수납낭에 결합되며, 그 내면에는 상기 기호표를 임의로 선택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자유교습면 형성용의 부직포를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 타입의 기호표 부착식 유아 교습기구.It is coupled to the storage bag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any predetermined direction excep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eaching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non-woven fabric for forming a free lesson surface to be detached by arbitrarily selected Early childhood teaching utensil with the sign of the notebook type to s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교습지의 마킹부와 매칭되는 예비용 기호표들을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예비 기호표 수납용 포켓을 교습지와 동일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구비함을특징으로 하는 공책 타입의 기호표 부착식 유아 교습기구.Instruction book attached type teaching teaching equipment of a notebook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cket for storing the preliminary sign table to be develop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eaching paper so that the preliminary sign tables that match the marking portion of the teaching paper can be separated and stored. . 제 1 항에 있어서, 수납낭의 상기 커버에는,The cover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of the storage bag includes: 투시창을 형성하되, 상기 투시창의 주연을 따라 걸림턱부가 연장되고, 상기 투시창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부에 그 테두리부를 접한체 상기 투시창과 포개지는 투명소재의 차단막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 타입의 기호표 부착식 유아 교습기구.The pen of the notebook type,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see-through window, the locking jaw portion is exten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iewing window, the inner side of the see-through window is provided with a shielding film of transparent material overlapping the see-through window and the border portion of the engaging jaw portion; Tabular Early Childhood Teaching Apparatus.
KR2020020001251U 2002-01-15 2002-01-15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KR2002724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51U KR200272492Y1 (en) 2002-01-15 2002-01-15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51U KR200272492Y1 (en) 2002-01-15 2002-01-15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492Y1 true KR200272492Y1 (en) 2002-04-17

Family

ID=7311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51U KR200272492Y1 (en) 2002-01-15 2002-01-15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49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532A2 (en) * 2008-10-06 2010-04-15 Amanda Doherty Fashion accessories and entertainment instruments with personalized appearan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532A2 (en) * 2008-10-06 2010-04-15 Amanda Doherty Fashion accessories and entertainment instruments with personalized appearances
WO2010042532A3 (en) * 2008-10-06 2010-08-05 Amanda Doherty Fashion accessories and entertainment instruments with personalized appear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566B2 (en) Write-on wipe-off book holder
US7942674B2 (en) Learning bracelet
US4063369A (en) Visual communication tool for children
US6767215B2 (en) Learning station
US6129550A (en) Educating special needs children about place settings
Fraser 5 tips for creating independent activities aligned with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US6279747B1 (en) Study aid device
Williams Learning From Pictures.
US20120164610A1 (en) CHILDREN&#39;S FLASHCARDS SYSTEM eBOOK CLIPBOARD TAB
KR200272492Y1 (en) Learning Appliance for Infant
CA2559286A1 (en)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57247A1 (en) Multi-sensory education device
CN111248655A (en) Teaching is file storage device for instructor
KR20150132937A (en) Teaching tool
US965950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multiplication
KR200446506Y1 (e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teaching tools for children
US20140224691A1 (en) Filing system for communication cards
JPS5825389Y2 (en) Learning device in the form of a book
US20050069840A1 (en) Customizable Interactive Classroom Display
US9171480B2 (en) Early learning tools and kits including manipulator devices for organized play
CN211380351U (en) Multifunctional book case
RU23513U1 (en) ATLAS
JP3088407U (en) Kanji mastery notebook
KR100473648B1 (en) Study card for character and study book having the same
JPS5853564Y2 (en) Learning device used for books and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