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486Y1 - 자동 접이 지시봉 - Google Patents

자동 접이 지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486Y1
KR200272486Y1 KR2020010040924U KR20010040924U KR200272486Y1 KR 200272486 Y1 KR200272486 Y1 KR 200272486Y1 KR 2020010040924 U KR2020010040924 U KR 2020010040924U KR 20010040924 U KR20010040924 U KR 20010040924U KR 200272486 Y1 KR200272486 Y1 KR 200272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dicator
indicator rod
motor
meta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춘
Original Assignee
장익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익춘 filed Critical 장익춘
Priority to KR2020010040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48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지시봉을 중공상의 봉으로 다단식으로 구성하면서 봉의 내면에 얇은 띠 상의 금속 심재를 봉과 기어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에 의하여 지시봉을 자동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지시봉에 있어서 레이저 포인트의 경우 그 거리가 길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지시할 위치를 점으로 표현하여 설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안테나 식의 지시봉에 있어서는 보다 넓은 부분을 표시할 수 있으나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먼 곳을 지시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중공상의 봉으로 다단식으로 구성된 지시봉과, 상기 지시봉의 내측에 얇은 띠 상의 금속 심재를 최소 직경의 봉의 선단과 최대 직경의 봉에 설치된 기어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에 의하여 전개 및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지시봉을 자동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지시봉.

Description

자동 접이 지시봉{A indicating rod which is folden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자동 접이 지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시봉을 중공상의 봉으로 다단식으로 구성하면서 이 봉의 내면에 얇은 띠 상의 금속 심재를 봉과 기어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에 의하여 전개 및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시봉을 자동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지휘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시봉 또는 지휘봉은 각종 회의시 설명할 부분을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통상 레이저 빔 또는 안테나 식으로 삽탈 가능하도록 한 지시봉이 사용된다.
상기한 레이저 포인트의 경우 그 거리가 길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지시할 위치를 점으로 표현하여 설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안테나 식의 지시봉에 있어서는 보다 넓은 부분을 표시할 수 있으나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먼 곳을 지시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시봉을 중공상의 봉으로 다단식으로 구성하면서 이 봉의 내면에 얇은 띠 상의 금속 심재를 봉의 선단과 기어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에 의하여 전개 및 귄취되도록 구성하여 지시봉을 자동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여 설명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시봉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시봉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모터에 금속심재가 결합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케이스 4: 지시봉
6: 금속 심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지시봉의 구성은 도면의 도1 이하에서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중공상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한쪽은 크고, 다른 한쪽은 작게 형성되어 대 직경의 지시봉내에 작은 직경의 지시봉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단식으로 전개되도록 한 다단식 지시봉(4)의 내부에 수장되어 축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금속심재(6)의 일단은 최소 직경의 지시봉(4a)에 끝단에 고정하고 타 단은 최대 직경의 지시봉(4b)에 결합된 손잡이 겸용 케이스(2)의 내공간에 설치된 기어드 모터(M)에 고정하여 모터(M)의 회전에 따라 금속 심재(6)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하여 지시봉이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지시봉 내부에 수장되는 금속 심재(6)는 얇은 철심을 띠 모양으로 형성하여 일측 끝단은 모터(M)의 회전축에 고정한 후 모터(M)의 상부에 금속심재(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20)을 삽설하여 모터의 상면과 이탈방지판(20)의 저면이 H자 형상으로 구성시켜 금속심재(6)가 내공간에서 권취되도록 한다.
이때 이탈방지판(20)은 회전축에 끼워지는 축 방향으로 일자로 절개하여 금속심재(6)를 끼우면서 결합하여 결합강도를 높여 금속심재가 빠지는 경우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금속심재(6)의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최소 직경의 지시봉(4a)에 고정하여 모터(M)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에 권취되거나 일자로 풀려지면서 최소 직경의 지시봉(4a)을 밀어 지시봉(4)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모터(M)는 통상의 건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며, 케이스(2)의 내공간에 지지돌기에 고정하면서 푸쉬버튼식 스위치(12)의 인가에 의한 방법으로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시켜 금속 심재(6)를 나선형으로 권취하거나 일자로 전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2)는 좌우 분할된 몸체로 구성되어 체결너트에 의한 조립방법으로 최대 직경의 지시봉(4b)의 일단을 몰입하면서 고정시켜 지시봉과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제 4도는 모터에 고정되는 금속 심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M)의 회전축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기어(14)(14a)를 조합하여 금속 심재(6)가 직선 운동되도록 구성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이때 모터(M)의 회전축에 끼워진 기어(14)와 맞물리는 기어(14a)에 금속 심재(6)의 단부를 고정한 후 이탈방지판(20)을 축설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미 사용시에는 스위치(12)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M)를 역회전시키면 회전축에 고정된 금속 심재(6)가 권취되면서 스파이럴 형상으로 감겨지게 되므로 협소직경의 지시봉이 큰 직경의 지시봉 내부로 수장되면서 접혀진 상태가 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하다가 회의시 스위치(12)를 눌러 모터를 정 회전시키면 모터에 감겨진 금속 심재(6)가 일자로 풀려지게 되면서 최소 직경의 지시봉(4a)을 밀어주게 되어 지시봉이 다단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금속 심재(6)는 중공상의 지시봉 내에서 봉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이동되므로 별도의 가이드가 필요 없으며 동시에 심재(6)의 강도가 약해도 지시봉을 충분히 밀어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시 일정한 길이로 연장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보다 먼 곳을 지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스위치를 눌러 정회전시켜 지시봉을 연장하여 사용하면보다 먼 곳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시봉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지휘봉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단식으로 접혀지는 지시보을 자동적으로 전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중공상의 봉으로 다단식으로 구성된 지시봉, 상기 지시봉의 내측에 얇은 띠 상의 금속 심재를 최소 직경의 봉의 선단과 최대 직경의 봉에 설치된 기어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하여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에 의하여 전개 및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지시봉을 자동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이 지시봉.
KR2020010040924U 2001-12-29 2001-12-29 자동 접이 지시봉 KR200272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924U KR200272486Y1 (ko) 2001-12-29 2001-12-29 자동 접이 지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924U KR200272486Y1 (ko) 2001-12-29 2001-12-29 자동 접이 지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486Y1 true KR200272486Y1 (ko) 2002-04-17

Family

ID=7311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924U KR200272486Y1 (ko) 2001-12-29 2001-12-29 자동 접이 지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3832B2 (en) Flashlight with bendable and extendable body
EP3536186A1 (en) Winding drum assembly, dial plate and smart wristband
RU2000133234A (ru) Разворачиваемый, сворачиваемый элемент
IT1292121B1 (it)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rico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detta prolunga telescopica
DE69938659D1 (de) Telescopierbare Verlängerung für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JP6141957B1 (ja) 伸展マスト繰出し装置
KR900004077A (ko) 소형 전동기용 고정자
US20080149153A1 (en) Folding shaft for umbrellas
EP0922406B1 (en) Dispenser for selectively extending and retracting a substantially stick-shaped object, and thread means for incorporation in the dispenser
KR200272486Y1 (ko) 자동 접이 지시봉
JP2019191161A (ja) 時計上にバンドを固着する、2つの後退可能枢動部を備える棒材
US20030015617A1 (en) Tube receiver assembled and detached rapidly
JPS6053236B2 (ja) 巻取り可能な伸縮構造体
US10362909B2 (en) Paper dispensing device
CN114144603A (zh) 伸缩件及其机构
KR20030059517A (ko) 자동접이 낚시대
KR20030051139A (ko) 휴대용 국기대
KR970077832A (ko) 콘센트 조립체
JPS6041201Y2 (ja) 胃カメラおよび内視鏡に於けるアングル操作ワイヤ−操作機構
KR102236266B1 (ko) 회전체
KR850003807A (ko) 스프링 클립 삽입 장치
KR20030059518A (ko) 낚시용 뜰채
SU708452A1 (ru) Кабельный барабан дл подвода питани к подвижным токоприемникам
KR200320949Y1 (ko) 다각형 단면 형상의 심을 가지는 회전 인출식 색연필
KR200184362Y1 (ko) 접이식 훌라후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