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90Y1 -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90Y1
KR200272390Y1 KR2020010038392U KR20010038392U KR200272390Y1 KR 200272390 Y1 KR200272390 Y1 KR 200272390Y1 KR 2020010038392 U KR2020010038392 U KR 2020010038392U KR 20010038392 U KR20010038392 U KR 20010038392U KR 200272390 Y1 KR200272390 Y1 KR 200272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um
waste
transfer screw
wat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 형 이
Original Assignee
(주) 대지환경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지환경정공 filed Critical (주) 대지환경정공
Priority to KR2020010038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9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종말처리장 등 산업시설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슬러지 및 업소나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함유 쓰레기의 건조 분쇄처리를 신속하고도 대량적으로 행할 수 있고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소멸되도록 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거된 쓰레기를 투입시키는 호퍼, 상기 호퍼의 쓰레기를 하방으로 안내 배출시키는 안내팬, 배출된 쓰레기를 압축 및 건조시키도록 외벽에 히터가 설치된 건조드럼, 및 건조드럼 내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의 내벽에 수증기 배출 및 이송스크류를 원활히 회전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홈이 나선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송스크류는 건조드럼의 유입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배출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진행되며 나사산의 피치가 동일함과 함께 원주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완만한 구배를 갖도록 하는 구조이며,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소멸처리되도록 교반기를 구비하는 소멸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Recyclable management mechanism for garbage}
본 고안은 하수종말처리장 등 산업시설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슬러지 및 업소나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함유 쓰레기의 건조 분쇄처리를 신속하고도 대량적으로 행할 수 있고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소멸되도록 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종말처리장 등지에서 발생되는 각종 협잡물인 슬러지 및 업소나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하면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고, 또한 병원균이 자생하여 위생에 큰 문제로 되고 있으며, 또한 상수원을 오염시키는 문제, 계속되는 쓰레기 매립장의 신설의 제한 등으로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동식물성 섬유질, 단백질, 탄수화물, 칼슘, 수분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웠고,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소량은 큰 문제로 되지않지만 다량인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추출물이 지하수 및 상수원으로 유입되어 이들 오염시키게 되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나 각종 하수 슬러지를 소각처리하는 방법, 건조 및 분쇄처리하는 방법, 발효과정을 거쳐 비료나 사료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소멸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소각시에는 소각에 따른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제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가스의 필연적인 발생으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은 염분이나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적합하지 못하였고, 건조방식은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 및 폐수의 배출 등에 따른 2차 오염 문제가 야기되고 있고, 발효방식이나 기존 소멸방식에 있어서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시 발생되는 심한 악취로 인해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원인이 선출한 특허출원 1998-007138호 (공개번호 특1998-019299호)에는 음식물쓰레기 및 기타 슬러지를 가공하여 비료나 사료 등과 같은 조성물로 성형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억제하고 이 조성물을 비료나 사료 등과 같은 대체 상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도 1을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장치는 수거된 수분함유 쓰레기가 담겨지도록 하부에 유출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구(11)가 형성되고, 호퍼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구로 안내시키는 안내스크류(12)가 구비된 호퍼(10); 상기 호퍼(10)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기(20); 분쇄된 쓰레기를 압축 및 건조시키도록 선단에 성형기(31)가 구성되고 외벽에 히터(32)가 설치된 건조드럼(33), 및 건조드럼(33) 내에서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34)를 포함하는 압축과 가열 및 이송수단(30); 및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정화시키는 정수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이송스크류(34)는 건조드럼(33)의 유입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배출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진행되며 나사산의 피치(L1)가 점차적으로 작아짐과 함께 원주(D)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완만한 구배를 갖도록하는 구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수분함유물이 호퍼(10)에 투입되면, 상기 호퍼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부(11)로 쓰레기의 유출수가 흘러 정수수단(40)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호퍼 내부에 설치된 안내스크류(12)가 tM레기를 배출구로 유도하게 되고,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이와 연결된 건조드럼(33)의 유입부로 이동된 쓰레기는 분쇄기(20)에 의해 일차적으로 분쇄되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쓰레기는 이송스크류(34)에 의해 재 분쇄됨과 동시에 조성물 성형기(31)로 운반된다.
이 때 건조드럼(33) 및 성형기(31)는 히터(32)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고 또한 이송스크류(34)는 건조드럼(33)의 유입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배출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진행되며 나사산의 피치(L1)가 점차적으로 작아짐과 함께 원주(D)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에 의해, 압송되는 과정에서 압축, 분쇄, 및 가열건조된다.
이후 성형기(31)로 유입된 처리물은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반고체 또는 된반죽 상태 등으로 건조되고, 상기 히팅기를 지난 처리물은 성형기의 구조상 통과하면서 압출되어 소정모양의 조성물로 성형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수분함유 쓰레기는 자칫 폐기되어 하천이나 주위환경을 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및 기타 슬러지 등을 가공하여 비료나 사료 등과 같은 조성물로 성형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억제함은 물론 귀중한 자원이 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및 기타 쓰레기 등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같은 음식물을 포함하는 수분함유 협잡물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건조드럼(33)은 단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송스크류(34)는 선단부에서 타단부로 진행될수록 나사산의 피치(L1)가 점차적으로 작아짐과 함께 원주(D)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에 의해, 타단부로 압송될수록 심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원활한 이송이 어렵게 되는 것과 함께 기계에 무리를 주게 되고, 가열로 발생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가 폐쇄되는 것에 의해 건조가 매우 더디게 되며, 또한 그러한 문제점에 의해 신속하고도 대량처리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성형기를 통해 압출되어 소정모양의 조성물로 성형된 처리물은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할 수 없는 상태나 성질일 경우 방치나 재폐기되는 것에 의해 악취발생 등 환경오염의 악순환을 되풀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분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슬러지의 건조 및 분쇄처리를 신속하고도 대량적으로 행할 수 있고, 기계에 무리를 주지않는 원활한 처리가 이루어지며,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소멸되도록 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는 수거된 쓰레기를 투입시키는 호퍼, 상기 호퍼의 쓰레기를 하방으로 안내배출시키는 안내팬, 배출된 쓰레기를 압축 및 건조시키도록 외벽에 히터가 설치된 건조드럼, 및 건조드럼 내에서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의 내벽에 수증기 배출 및 이송스크류를 원활히 회전시키기위한 수증기 배출홈이 나선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송스크류는 건조드럼의 유입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배출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진행되며 나사산의 피치(L1)가 동일함과 함께 원주(D)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완만한 구배를 갖도록 하는 구조이며,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소멸처리되도록 교반기를 구비하는 소멸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즉 건조드럼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홈 및 이송스크류의 구조에 의해 압축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증기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이송스크류의 회전이 원활하여 기계에 무리를 주지 않고 대량처리가 가능하며,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소멸기를 통해 완전 소멸시키는 것에 의해 환경오염의 악순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선A-A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상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팬을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호퍼 60: 안내팬
70: 건조드럼 71: 수증기 배출홈
80: 이송스크류 90; 소멸기
91: 교반기 M: 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선A-A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상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팬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는 수거된 쓰레기를 투입시키는 호퍼(50),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하방으로 안내 배출시키는 안내팬(60), 배출된 쓰레기를 압축 및 건조시키도록 외벽에 히터가 설치된 건조드럼(70), 및 건조드럼 내에서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80), 및 최종처리된 조성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분해소멸처리되도록 교반기(91)를 구비하는 소멸기(9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드럼(70)은 내벽에 수증기 배출 및 이송스크류(80)를 원활히 회전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홈(71)이 나선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이송스크류(80)는 건조드럼(70)의 유입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배출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진행되며 나사산의 피치(L1)가 동일함과 함께 원주(D)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완만한 구배를 갖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건조드럼(70)에 형성된 배출홈(71)은 8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송스크류(80)의 회전방향으로 깊이가 작아지는 테이퍼진 구조이다.
또한 안내팬(60)은 도 5에서와 같이 2개의 날개로 구성되어 모터(M)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수거된 쓰레기가 호퍼(50)에 투입되면 회전하는 안내팬(60)에 의해 건조드럼(70)이 있는 하방으로 배출 유입된다.
건조드럼(70)은 외벽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고 이송스크류(80) 및 안내팬(60)은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건조드럼(70)의 유입구로 유입된 쓰레기는 상기 이송스크류(80)에 의해 분쇄되면서 건조드럼의 후방으로 압송된다.
압송되는 과정에서 나사산의 피치(L1)가 동일함과 함께 원주(D)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의 이송스크류(80)에 의해 보다 세밀하게 분쇄됨과 함께 고열이 발생되어 건조가 행해지고, 가열로 발생된 수증기는 건조드럼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홈을 통해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그만큼 건조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 건조드럼(70)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홈(71)의 작용에 의해 건조드럼과 이송스크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이송스크류는 무리를 받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져 신속하고도 대량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송스크류(8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압축, 가열, 건조, 및 분쇄되는 쓰레기는 이송스크류의 끝단에서 최종처리되어 소멸기(90)로 배출저장된다.
소멸기에 적정량이 배출되면 교반기(91)를 작동시키면서 미생물을 투입,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 소멸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드럼의 내벽에 수증기 배출 및 이송스크류를 원활히 회전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홈이 나선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송스크류는 타단부로 진행되면서 나사산의 피치가 동일함과 함께 원주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이며,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분해 소멸되도록 하는 소멸기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수분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 및 분쇄처리를 신속하고도 대량적으로 행할 수 있고, 기계에 무리를 주지않는 원활한 처리가 이루어지며, 최종처리된 조성물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소멸되어 환경공해의 악순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슬러지를 투입시키는 호퍼,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안내시키는 안내팬, 안내팬에 의해 배출된 쓰레기를 압축 및 건조시키도록 외벽에 히터가 설치된 건조드럼, 및 건조드럼내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수분함유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벽에 수증기 배출 및 이송스크류를 원활히 회전시키기 위한 수증기 배출홈(71)이 나선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건조드럼(70); 및
    건조드럼(70)의 유입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배출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진행되면서 나사산의 피치(L1)가 동일함과 함께 원주(D)는 점차적으로 커지는 완만한 구배구조의 이송스크류(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과 이송스크류를 통해 최종처리된 조성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완전 분해 소멸처리되도록 교반기(91)를 구비하는 소멸기(9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70)에 형성된 배출홈(71)은 8개이고, 이송스크류(80)의 회전방향으로 깊이가 작아지는 테이퍼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10038392U 2001-12-12 2001-12-12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72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92U KR200272390Y1 (ko) 2001-12-12 2001-12-12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92U KR200272390Y1 (ko) 2001-12-12 2001-12-12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390Y1 true KR200272390Y1 (ko) 2002-04-17

Family

ID=7307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92U KR200272390Y1 (ko) 2001-12-12 2001-12-12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55B1 (ko) * 2013-01-25 2013-05-22 유영균 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슬러지 파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55B1 (ko) * 2013-01-25 2013-05-22 유영균 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슬러지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487B1 (ko) 축분을 이용한 펠렛 제조시스템
KR10061393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대체연료화 처리방법
KR101853881B1 (ko) 무폐수, 무악취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시스템
CN108126973B (zh) 一种餐厨垃圾的一体化破碎处理方法
KR20020015759A (ko) 하수/폐수 슬러지 및 가연성 폐기물과 음식물쓰레기건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CN210945410U (zh) 一种分布式一体化厨余垃圾制肥设备
KR200272390Y1 (ko) 수분함유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000766A (ja) 汚泥の脱水処理方法
KR19990015203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72389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6937634U (zh) 一种菜市场有机固体垃圾处理装置
JP2002167209A (ja) 活性炭製造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活性炭製造システム
CN108126972B (zh) 一种餐厨垃圾的一体化破碎处理装置
GB2426004A (en) Process for treating waste
KR19990030372A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113172080A (zh) 一种餐厨垃圾处理与资源化利用的方法
KR1010674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200105151A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KR100189301B1 (ko) 산업폐기물 및 유.무기성 슬러지의 소각처리장치
CN215998026U (zh) 一种船用餐厨垃圾处理系统
CN111744929B (zh) 一种餐厨垃圾、生活垃圾与污水厂污泥协同处理的方法
KR100269858B1 (ko) 음식물 쓰레기 가공처리장치
KR100282021B1 (ko)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