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146Y1 -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146Y1
KR200272146Y1 KR2020020000665U KR20020000665U KR200272146Y1 KR 200272146 Y1 KR200272146 Y1 KR 200272146Y1 KR 2020020000665 U KR2020020000665 U KR 2020020000665U KR 20020000665 U KR20020000665 U KR 20020000665U KR 200272146 Y1 KR200272146 Y1 KR 200272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elain
ceramic body
wire
ligh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동섭
Original Assignee
엄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동섭 filed Critical 엄동섭
Priority to KR2020020000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146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는 도자기 재질로 제조되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에 있어서, 다수의 갈래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면이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도자기본체, 상기 도자기본체의 중공부에 내장되어 다수의 건전지가 내장되는 전원부재, 상기 전원부재에 형성된 단자부와 착탈되어 전선과 연결되는 단자부재, 상기 도자기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재와 연결된 전선을 단속하는 스위치, 상기 단자부재와 연결되어 도자기본체의 갈래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전선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소켓, 상기 소켓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전구, 상기 소켓과 전구를 감싸고 전선에 의하여 상기 도자기본체의 갈래부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구에서 발산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도자기발광체, 그리고 한쪽 면에 환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자기본체의 개구 부분을 밀폐하는 탄성마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전지를 내장한 전원부재가 도자기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을 독립적으로 전구에 공급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하는 외부 전선 등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필요한 위치를 밝힐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도자기스탠드{PORTABLE STAND}
본 고안은 휴대용 도자기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자기에발광체를 내장함으로써 발광하는 도자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어두운 장소에서 빛을 발산하여 이 장소를 밝게 비추는 것으로서, 손전등, 스탠드 등이 있으며, 손전등은 손으로 들고 다니면서 빛을 원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밝히는 되고, 스탠드는 특정한 장소를 전반적으로 밝히게 된다.
종래의 스탠드는 가정용 전원과 연결되는 전기선에 전등을 연결하고, 상기 전등을 지지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이는 전등에 전기를 인가하면 전등이 빛을 발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탠드가 배치된 장소를 밝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탠드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 즉 가정용 전원 등에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기가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전원과 떨어진 곳 즉 마당이나 산길 등에 빛을 밝히고자할 때에 전원과 연결된 전선을 마당이나 산길에 배치한 뒤에 스탠드를 연결하기 때문에 스탠드를 운반하면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에 발광장치를 설치한 스탠드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에 발광체를 내장함으로써 발광하는 도자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자기 재질로 제조되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에 있어서, 다수의 갈래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면이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도자기본체, 상기 도자기본체의 중공부에 내장되어 다수의 건전지가 내장되는 전원부재, 상기 전원부재에 형성된 단자부와 착탈되어 전선과 연결되는 단자부재, 상기 도자기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재와 연결된 전선을 단속하는 스위치, 상기 단자부재와 연결되어 도자기본체의 갈래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전선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켓, 상기 소켓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전구, 상기 소켓과 전구를 감싸고 전선에 의하여 상기 도자기본체의 갈래부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구에서 발산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도자기발광체, 그리고 한쪽 면에 환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자기본체의 개구 부분을 밀폐하는 탄성마개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자기스탠드 11 : 도자기본체
11a : 갈래부 12 : 전원부재
13 : 단자부재 13a : 전선
14 : 스위치 15 : 소켓
16 : 전구 17 : 도자기발광체
17a : 구멍 17b : 전선관통구멍
18 : 탄성마개 19 : 실리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도자기스탠드(1)는 도자기 재질로 제조되어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도자기스탠드(1)는 다수의 갈래부(11a)를 보유한 중공의 도자기본체(11)에 건전지(미도시)를 내장한 전원부재(12), 전선(13a)과 연결된 단자부재(13)가 내장되고, 상기 전선(13a)과 연결되는 스위치(14)가 상기 도자기본체(11)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갈래부(11a)에서 돌출된 전선(13a)의 단부에 소켓(15)을 각각 연결한 뒤, 이 소켓(15)에 전구(16)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갈래부(11a)에서 돌출된 전선(13a)에 의하여 연결되는 도자기발광체(17)가 상기 소켓(15)과 전구(16)를 감싸게 되며, 상기 도자기본체(1)의 개구부가 탄성마개(18)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더우기 본 고안은 상기 도자기발광체(17)의 둘레면에 다수의 구멍(17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전선관통구멍(17b)을 형성하되, 상기 전선(13a)이 도자기발광체(17)의 전선관통구멍(17b)을 관통하되, 상기 도자기발광체(17)의 전선관통구멍(17b)에 실리콘(19)을 주입하여 상기 전선관통구멍(17b)과 전선(13a) 사이를 밀봉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자기본체(11)는 다수의 갈래부(11a)를 보유함과 더불어 내부를 중공부(11b)로 형성하여 하측면이 개구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부재(12)는 상기 도자기본체(11)의 중공부(11b)에 내장되어 다수의 건전지가 내장되며, 한쪽 면에 단자부(12a)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재(13)에 착탈된다.
상기 단자부재(13)는 전선(13a)과 연결되어 전선(13a)에 상기 전원부재(12)의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바, 상기 스위치(14)의 온의 동작에 따라 전기를 전선(13a)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스위치(14)는 통상의 온·오프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선(13a)을 단속하여 전기의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않게 한다.
상기 소켓(15)은 상기 단자부재(13)와 연결되어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갈래부(11a)에서 돌출된 다수의 전선(13a)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실리콘(19)에의하여 도자기발광체(17)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전구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도자기발광체(17)는 상기 소켓(15)과 전구(16)를 감싸고 전선(13a)에 의하여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갈래부(11a)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구(16)에서 발산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다수의 구멍(17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마개(18)는 한쪽 면 즉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개구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에 환형돌출부(1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개구 부분에 억지 끼움되고, 이에 따라 도자기본체(11)의 개구 부분을 탄성적으로 밀폐하게 되는 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자기본체(11)의 개구 부분에 삽입되면 환형돌출부(18a)가 오므라들면서 도자기본체(11)의 개구 부분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도자기본체(11) 내에서 전원부재(12)가 용이하게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는 스위치(14)를 온 또는 오프함으로써 전구(16)에서 발산되는 빛이 도자기발광체(17)의 구멍(17a)으로 방출되어 주위를 밝게 비추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14)를 온하면 전원부재(12)의 전기가 모든 전선(13a)에 흐르게 되고, 상기 전선(13a)에 흐르는 전기에 의하여 모든 전구(16)가 발광하게 되며, 상기 전구(16)에서 발산되는 빛이 도자기발광체(17)의 구멍(17a)을 통하여 방출되어 도자기스탠드(1)가 배치된 장소를 밝히게 된다.
물론 상기 스위치(14)를 오프하면 상기 전선(13a)에서 전기가 흐르지 않게되어 전구(16)에서 빛이 발산되지 않아 주위를 어둡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재(12)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미약하게 되면 전원부재(12) 내의 건전지를 교체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는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주위를 밝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는 다른 예로서 전원부재(12)에 내장된 건전지를 충전용 건전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용 건전지에 외부의 전원으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선(13a)과 연결된 커넥터(20)를 도자기본체(11)의 한쪽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아답터(21)의 플러그부(21a)를 상기 커넥터(20)에 삽입하여 외부의 전원으로 전구(16)를 발광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용 건전지를 전원부재(12)에 내장할 경우에 충전용 건전지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도자기스탠드는 건전지를 내장한 전원부재가 도자기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을 독립적으로 전구에 공급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하는 외부 전선 등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필요한 위치를 밝힐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도자기 재질로 제조되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에 있어서,
    다수의 갈래부(11a)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면이 개구된 중공부(11b)가 형성되는 도자기본체(11),
    상기 도자기본체(11)의 중공부(11b)에 내장되어 다수의 건전지가 내장되는 전원부재(12),
    상기 전원부재(12)에 형성된 단자부(12a)와 착탈되어 전선(13a)과 연결되는 단자부재(13),
    상기 도자기본체(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재(13)와 연결된 전선(13a)을 단속하는 스위치(14),
    상기 단자부재(13)와 연결되어 도자기본체(11)의 갈래부(11a)에서 돌출된 다수의 전선(13a)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소켓(15),
    상기 소켓(15)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전구(16),
    상기 소켓(15)과 전구(16)를 감싸고 전선(13a)에 의하여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갈래부(11a)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구(16)에서 발산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다수의 구멍(17a)이 형성되는 도자기발광체(17),
    그리고 한쪽 면에 환형돌출부(1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자기본체(11)의 개구 부분을 밀폐하는 탄성마개(18)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발광체(17)의 상부면에 전선관통구멍(17b)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13a)이 도자기발광체(17)의 전선관통구멍(17b)을 관통하되, 도자기발광체(17)의 전선관통구멍(17b)에 실리콘(19)을 주입 냉각하여 상기 전선관통구멍(17b)과 전선(13a) 사이를 밀봉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13a)과 연결된 커넥터(20)를 도자기본체(11)의 한쪽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아답터(21)의 플러그부(21a)를 상기 커넥터(20)에 착탈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KR2020020000665U 2002-01-09 2002-01-09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KR200272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65U KR200272146Y1 (ko) 2002-01-09 2002-01-09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65U KR200272146Y1 (ko) 2002-01-09 2002-01-09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146Y1 true KR200272146Y1 (ko) 2002-04-13

Family

ID=7311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665U KR200272146Y1 (ko) 2002-01-09 2002-01-09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84B1 (ko) * 2006-11-21 2009-03-05 라이텍코리아 (주) 도자기 엘이디 램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84B1 (ko) * 2006-11-21 2009-03-05 라이텍코리아 (주) 도자기 엘이디 램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104B2 (en) Magnetic light source adaptor and light source therefor
JP5662065B2 (ja) 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ES2281859T3 (es) Dispositivo de conexion electrica.
US20140099801A1 (en) Magnetic light source adaptor and light source therefor
RU2010116105A (ru) Безлампов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базе светодиодов
KR200454458Y1 (ko)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
JP2016054122A (ja) 照明装置
KR101469075B1 (ko)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센서모듈
JP2011243392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0272146Y1 (ko) 휴대용 도자기스탠드
JP5617129B2 (ja) 照明装置
US20080048566A1 (en) Coin shaped light-emitting device and coin shaped spotlight comprising same
KR200425465Y1 (ko) 방수수단을 구비한 사찰용 램프
KR101914335B1 (ko) 오픈형 방수 등기구
KR20160002840U (ko) 낚시용 엘이디 전자 케미라이트
JP5787609B2 (ja) 照明装置
DE59905918D1 (de) Elektrische Lampe und Beleuchtungsvorrichtung mit einer derartigen elektrischen Lampe
JP3167851U (ja) 直管蛍光灯型led照明器
US6769786B2 (en) Waterproof head assembly for a flashlight
JP2012009452A (ja) 直管形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20100100658A (ko) 발광 장치
JP5840509B2 (ja) 電球用ソケット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直流用の電球、および当該電球用ソケットを含む照明装置ならびに照明システム
JP5736500B2 (ja) 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KR20110127531A (ko) 발광 장치
KR101815218B1 (ko) 조명기구의 자성 전극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