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53Y1 - 변기용 물탱크 - Google Patents

변기용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53Y1
KR200271953Y1 KR2020010015941U KR20010015941U KR200271953Y1 KR 200271953 Y1 KR200271953 Y1 KR 200271953Y1 KR 2020010015941 U KR2020010015941 U KR 2020010015941U KR 20010015941 U KR20010015941 U KR 20010015941U KR 200271953 Y1 KR200271953 Y1 KR 200271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tank
water tank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학진
Original Assignee
장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학진 filed Critical 장학진
Priority to KR2020010015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53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용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탱크 본체의 내측벽에 상수공급관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공급관의 상단에 급수관을 절곡하되, 하단의 나사부에 밸브와, 상수관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하는 구성으로, 조립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변기용 물탱크{WATER, TANK}
본 고안은 좌변기용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를 공급하는 각 관체의 연결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변기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에는 변기의 상부 즉 벽면에 물탱크를 구비하고, 이 물탱크에서 급수되는 상수의 압력에 의해 오물이 처리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통상 이러한 물탱크는 일측에 부구와 연결된 손잡이를 당겨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저수된 상수가 변기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며, 다시 급수관을 통해 상수가 채워진다.그런데, 이러한 물탱크의 상수 공급관을 살펴보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예컨데 첨부된 도 1 은 종래 물탱크(1)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물탱크(1)의 일측으로 상수 공급관(6)이 설치되어 있다.이 상수 공급관은 상단에 엘보(5)가 조립되고, 이 엘보의 전방측으로 연결관(4)이 끼워지고, 다시 밸브(3)와 급수관(2)이 순차적으로 연결 조립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물탱크를 벽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각 관체를 연결하게 됨에 따라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또한 이러한 물탱크는 여러개의 관체가 조립됨에 따라 시간이 흐르면 관체와 관체 사이가 이격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 또한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탱크의 내측벽면에 공급관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수를 공급하는 각 관체가 수직으로 시공되도록 하는 좌변기용 물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탱크 본체의 내측면에 공급관이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밸브 및 상수관의 연결이 편리하고, 모든 관체가 수직으로 설치됨에 따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용 물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에 설치되어 변기에 상수를 공급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의 내측벽에 상수 공급관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공급관의 상단에 급수관을 절곡하되, 하단의 나사부에 밸브와, 상수관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좌변기에 설치되는 물탱크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물탱크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탱크 11 : 탱크 본체
12 : 내측벽 20 : 급수관
21 : 공급관 30 : 상수관
31 : 밸브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도면에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물탱크(10)는 탱크 본체(11)의 내측벽(12)에 공급관(21)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즉 탱크 본체(11)의 내측벽면(12)에 상수 공급관(21)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상수 공급관(21)의 상단부에 급수관(20)을 절곡 성형하되, 이들은 물탱크(10)의 제작시 일체로 성형 제작한다.물론 상기한 물탱크 본체(11)와, 공급관(21)을 별도로 제작한 다음 공급관(21)을 융착 또는 접착하는 형식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또한 상기 공급관(21)의 하단부에는 나사부(22)가 형성되는데, 이는 개폐 밸브(31)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또한 상기 밸브(31)의 하부측에는 상수관(30)이 조립되어 상수를 물탱크(10)내측으로 공급한다.도면 부호 40은 상수를 변기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이다.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물탱크 본체(11)의 내측면에 공급관(21)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공급관(21)의 상단부에 급수관(20)을 일체로 절곡 성형하되, 하단의 나사부(22)에 밸브(31)와 상수관(30)을 조립함으로써, 급수관을 제외한 모든 관체가 수직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변기에 상수를 공급하여 오물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탱크의 내측면에 공급관을 일체로 설치하여 밸브와, 상수관이 수직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이 우수하고, 물탱크의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벽면에 설치되어 변기에 상수를 공급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의 내측벽에 상수 공급관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공급관의 상단에 급수관을 절곡하되, 하단의 나사부에 밸브와, 상수관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물탱크.
KR2020010015941U 2001-05-24 2001-05-24 변기용 물탱크 KR200271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941U KR200271953Y1 (ko) 2001-05-24 2001-05-24 변기용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941U KR200271953Y1 (ko) 2001-05-24 2001-05-24 변기용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53Y1 true KR200271953Y1 (ko) 2002-04-13

Family

ID=7310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941U KR200271953Y1 (ko) 2001-05-24 2001-05-24 변기용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8546A (zh) 用于连接导管的挠性法兰装置以及连接所述导管的方法
CN107476398A (zh) 冲水大便器装置
KR200271953Y1 (ko) 변기용 물탱크
JP2008274566A (ja) 便器本体及び洋風水洗式便器
JP3951714B2 (ja) 便器への吐水管取付構造
US9487942B2 (en) Spray siphon toilet with accelerating siphon
KR101827385B1 (ko)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CN205314185U (zh) 一种双套管式马桶排水装置
CN203848512U (zh) 一种水箱排水管及具有其的热水器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US795564A (en) Connection for waste-pipes.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N213952406U (zh) 一种水槽的下水组件
US7185374B2 (en) Discharge valve comprising a flexible ringed tube for toilets
JP2008025216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CN205369406U (zh) 一种无胶垫的下水器的管路装配结构
CN212742771U (zh) 一种座便器上清洗装置的安装结构
CN213245366U (zh) 一种带有多接口的排水结构
CN216360764U (zh) 一种新型防溢横排下水管
KR102656774B1 (ko) 샤워용 수전 조립체
JP2001234577A (ja)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および水洗便器
JPH0941469A (ja) 洋風便器への給水管接続構造
CN216339891U (zh) 一种具有冲水结构的智能马桶
CN210013287U (zh) 一种抽水马桶水箱与进水管联接的快速安装及密封装置
US20090007329A1 (en) Waste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