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60Y1 - 주류 분배 용기 - Google Patents

주류 분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60Y1
KR200271860Y1 KR2020010040184U KR20010040184U KR200271860Y1 KR 200271860 Y1 KR200271860 Y1 KR 200271860Y1 KR 2020010040184 U KR2020010040184 U KR 2020010040184U KR 20010040184 U KR20010040184 U KR 20010040184U KR 200271860 Y1 KR200271860 Y1 KR 200271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or
valve hole
discharge pipe
container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하이만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만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만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40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6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술을 따를 수 있어 술좌석의 분위기를 독특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맥주의 경우 거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정량 판매 공급이 가능한 주류 분배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별도 지지대에 의해 공중에 들려진 상태로서 지지되며, 술을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넓은 내용적을 가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로 연장하여 있으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술을 상기 용기본체로 도입되도록 안내하는 술주입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 속에 수용된 술의 낙하 배출을 안내하는 술 배출관과;
상기 술배출관의 하부에 단면적을 축소시켜 형성한 밸브공과;
상기 밸브공을 상하로 관통하여 연장지지되며, 밸브공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기 술배출관의 하단부 보다 하부측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자연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공에 밀착하여 상기 밸브공을 차단하고, 술배출관의 밖으로 돌출된 하단의 누름부가 상부측으로 눌려질 때는 상승하여 상기 밸브공을 개방하게 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주류 분배 용기{Distributing vessel of liquor}
본 고안은 술잔에 술을 따르기 위한 주류 분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맥주, 소주 및 양주등의 알콜성 음료는 운반과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통상 유리병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술은 제조된 후 포장공정에서 병의 입구를 통하여 술을 주입한 후 입구부는 병뚜껑으로 밀봉하게 되며, 술을 마시고자 할 때는 밀봉된 병뚜껑을 따고 술병을 기울여 술잔에 술이 적당량 채워지도록 따라 마시게 된다.
이와같이 병을 기울여서 술을 잔에 따라 마시는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전혀 변함이 없는 것으로서 술을 마시는 분위기가 확일적이기 때문에 술마시는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특별한 방식이 요구된다.
특히 맥주의 경우 술병을 기울여 술을 따르게 되면 상부에서 낙하하는 술이 술잔속에서 요동을 치게되면서 많은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통상 500㏄ 단위로 잔을 채워 판매되는 생맥주의 경우에는 필요이상으로 많은 거품이 발생하여 실제 판매 정량에는 턱없이 모자라게 되므로써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업주에게는 부당 이득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종래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술을 따를 수 있어 술좌석의 분위기를 독특하게유지할 수 있으며 맥주의 경우 거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정량 판매 공급이 가능한 주류 분배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류 판매 용기는 별도 지지대에 의해 공중에 들려진 상태로서 지지되며, 술을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넓은 내용적을 가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로 연장하여 있으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술을 상기 용기본체로 도입되도록 안내하는 술주입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 속에 수용된 술의 낙하 배출을 안내하는 술 배출관과;
상기 술배출관의 하부에 단면적을 축소시켜 형성한 밸브공과;
상기 밸브공을 상하로 관통하여 연장지지되며, 밸브공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기 술배출관의 하단부 보다 하부측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자연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공에 밀착하여 상기 밸브공을 차단하고, 술배출관의 밖으로 돌출된 하단의 누름부가 상부측으로 눌려질 때는 상승하여 상기 밸브공을 개방하게 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2 기재에 의하면, 상기 밸브공은 상광 하협한 테이퍼공이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테이퍼공에 일치하는 몸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청구항 3 기재에 의하면,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측의 술배출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가 용기본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청구항 4 기재에 의하면, 상기 술주입부에는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주류분배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벽체에 걸어 놓아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청구항 5 기재에 의하면, 상기 술 배출관은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류분배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술 배출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주류 분배 용기를 설치하는 지지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주류 분배 용기를 지지대 장치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술잔에 술을 공급시 밸브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류 분배 용기 2 : 용기본체
3 : 술주입부 4 : 술배출관
5 : 밸브부재 6 : 깔대기
7 : 밸브공 8 : 몸통부
9 : 누름부 10 : 돌기부
11 : 걸고리 12 : 지지대
17 : 술잔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류 분배 용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고안의 주류 분배 용기(1)는 크게 용기본체(2)와, 술주입부(3), 술배출관(4) 및 밸브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류분배용기(1)는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또는 불투명한 금속, 예를 들면 금이나 은 및 Cu합금 등 인체에 무해한 것인한 어느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용기본체(2)는 술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술병등에 담긴 술을 옮겨 수용하게 되며, 1병이상의 술을 옮겨 담을 수 있는 넓은 내용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용기본체(2)의 상부에는 술을 주입하기 위한 술주입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술주입부(3)의 상부가 깔대기(6)로 되어 있어 술을 따를 때 외부로 흘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용기본체(2) 하부로는 술배출관(4)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술배출관(4)의 하부에는 상광 하협한 테이퍼 형상의 밸브공(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공(7)은 일종의 오리피스와 같이 술배출관(4)의 단면적을 조르고 있는 형태의 밸브시트이며, 이 밸브공(7)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기 밸브부재(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재(5)는 테이퍼 형상의 상기 밸브공(7)에 일치하는 테이퍼 몸통부(8)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의 하단의 누름부(9)가 술배출관(4)의 하부로 돌출하여 있다.
이에따라 밸브부재(4)는 그의 테이퍼 몸통부(8)가 상광 하협한 테이퍼 형상의 밸브공(7)에 밀착하여 지지되어지게 되며, 하부로 돌출된 누름부(9)가 아래로부터 상부측으로 눌려질 때에는 밸브부재(5)가 상승하여 테이퍼 몸통부(8)가 밸브공(7)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밸브공(7)이 개방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5)의 상부측으로 술배출관(4)상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돌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10)에 의해 밸브부재(5)가 술배출관(4)을 따라 용기본체(2)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 상기 주입부(3)의 외부에는 걸고리(11)가 형성되어 있어 벽면에 박아놓은 못등에 걸어 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술배출관(4)은 수직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3과 같이 구부러진 곡관(4a)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구부러진 각도는 수직축에 대하여 80°이내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주류분배용기(1)를 통한 술의 분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류분배용기(1)는 본 출원인에 의한 별도 출원으로서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조의 지지대(12)를 사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 지지대(12)는 테이블상에 놓여지지되는 술잔 받침대(13)와, 그 술잔 받침대(13)와 동축상의 직상부로 일정 거리만큼 유지되도록 지지부재(14)로서 고정 연결되어 있는 용기받침대(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으며, 용기받침대(15)에는 본 고안의 술배출관(4)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대(12)의 용기받침대(15)에 형성된 구멍(16)을 통해 본 고안의 주류 분배용기(1)의 술배출관(4)을 상부로 부터 끼워 넣으면 용기본체(2)의 하부가 용기 받침대(15)상에 얹혀 지지되며, 하부로 연장된 술배출관(4)의 하단부는 술잔받침대(13)의 상부, 즉 술배출관(4)과 술잔받침대(13) 사이에 술잔(17)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상하 거리를 두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술이 들어 있는 술병을 따서 술주입부(3)를 통해 따라 넣게 되면 술병에 있는 술이 용기본체(2)로 들어가게 되며, 이 술은 술배출관(4)상에도 가득차게 되므로 밸브부재(5)에 수압이 작용하여 밸브공(7)의 폐쇄를 돕는다.
따라서 테이퍼 면접촉에 의해 밸브공(7)이 확실하게 밀폐되므로 밸브부재(5)가 눌려져 상승하지 않는 이상 용기본체(2)내의 술이 누출되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술을 따르고자 할 때에는 용기받침대(13)에 올려 놓은 술잔(17)의 바닥면(17a)이 밸브부재(5)의 누름부(9)를 눌러 상승시키도록 술잔(17)을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게 되며(도 5의 점선도시 참조), 밸브부재(5)가 상승하여 몸통부(8)가 밸브공(7)과의 밀착 상태로부터 벗어나 이격되어 들어 올려지게 되면 밸브공(7)이 개방되어 용기본체(2)내의 술이 술배출관(4)을 통해 술잔(17)으로 배출되어지게 되며, 이로써 종래와 달리 술잔(17)의 상부로부터 술이 낙하되어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술의 배출 단부가 술에 잠겨 수면하에 위치한채 술잔(17)의 바닥면(17a)으로부터 분출하여 술이 차오르게 되는 것이다.
술잔(17)에 원하는 양만큼 술이 채워지면 술잔(17)을 하강시켜 용기받침대(13)에 올려 놓은 후 술잔(17)을 빼서 술을 마시게 되며, 이로써 술잔(17)에 의해 눌려졌던 밸브부재(5)가 중력 및 수압에 의해 즉시 다시 하강하여 밸브공(7)을 차단하게 되므로 더이상 술이 배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같은 술 따름 방식에 의하면 종래와 전혀 다른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고, 특히 맥주의 경우 거품 발생이 없이 술을 따를 수 있으며, 거품 발생을 원하는 경우 술배출관(4a)이 구부러진 형태의 것을 사용(80°각도이내범위)하면, 누름부(9)가 술잔(17)의 내벽면(17b)을 따라 미끄럼 접촉시킬 수 있어 술잔(17)에 맥주를 거의 채워갈 끝 무렵에 술잔(17)의 수위면보다 누름부(9)가 상승 위치에 있도록 술잔(17)을 하강시켜 맥주가 상부로 부터 낙하되도록 배출시키게 되므로써 거품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써 거품 발생량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또 맥주가 술잔(17)의 내벽면(17a)을 따라 흐르므로 많은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이용하여, 술배출관(4a)의 길이를 짧게 하고 누름부(9)를 술잔(17)의 상부 내벽면에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특히 술을 따를때 유용한 것이기는 하나 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은 분명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술을 따르는 방식이 종래와 같이 하향 낙하식이 아니라 술잔의 바닥으로부터 차오르는 상향 주입식이고 또 이를 위한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독특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며, 특히 생맥주등의 경우 술잔의 바닥으로부터 맥주가 차오르거나 또는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므로써 거품 발생이 없어져 과도한 거품 발생에 따른 정량 부족 시비가 사라져 소비자 불만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별도 지지대에 의해 공중에 들려진 상태로서 지지되며, 술을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넓은 내용적을 가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로 연장하여 있으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술을 상기 용기본체로 도입되도록 안내하는 술주입부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 속에 수용된 술의 낙하 배출을 안내하는 술 배출관과;
    상기 술배출관의 하부에 단면적을 축소시켜 형성한 밸브공과;
    상기 밸브공을 상하로 관통하여 연장지지되며, 밸브공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기 술배출관의 하단부 보다 하부측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자연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공에 밀착하여 상기 밸브공을 차단하고, 술배출관의 밖으로 돌출된 하단의 누름부가 상부측으로 눌려질 때는 상승하여 상기 밸브공을 개방하게 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분배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공은 상광 하협한 테이퍼공이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테이퍼공에 일치하는 몸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분배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측의 술배출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가 용기본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분배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술주입부에는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분배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술 배출관은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분배 용기.
KR2020010040184U 2001-12-26 2001-12-26 주류 분배 용기 KR200271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84U KR200271860Y1 (ko) 2001-12-26 2001-12-26 주류 분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84U KR200271860Y1 (ko) 2001-12-26 2001-12-26 주류 분배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430A Division KR100454432B1 (ko) 2001-11-30 2001-11-30 주류 분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60Y1 true KR200271860Y1 (ko) 2002-04-12

Family

ID=7311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184U KR200271860Y1 (ko) 2001-12-26 2001-12-26 주류 분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432B1 (ko) * 2001-11-30 2004-11-05 하이만푸드 주식회사 주류 분배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432B1 (ko) * 2001-11-30 2004-11-05 하이만푸드 주식회사 주류 분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922B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verage, in particular beer
US5044171A (en) Counter with integral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JP5043231B2 (ja) ワインディスペンサ
US6540111B2 (en) Bottled soda dispenser
US5635232A (en) Saf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and re-carbonating beverages
JP2009528956A (ja) 底部から注ぐことができる飲用容器及びそれに飲料を分配する装置
NL8006809A (nl) Afgeefstelsel voor naderhand gemengde koolzuur-houdende dranken.
US20160000244A1 (en) Foam reducing container
CA2152260C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ckaged beverages and packaging therefor
KR200271860Y1 (ko) 주류 분배 용기
KR100454432B1 (ko) 주류 분배 용기
US6659310B1 (en) Product dispensing and drainback fitting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CA2158645A1 (en) A beverage container with means for frothing the beverage
KR200271861Y1 (ko)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장치
JPH11268798A (ja) 飲料注出具及び飲料用容器
GB2329173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KR100454433B1 (ko)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장치
KR200274734Y1 (ko) 장식겸용 술병지지장치
FR2784357A1 (fr)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verres avec verseur doseur.
NL7906822A (nl)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dranken.
JPH0540168U (ja) 注出キヤツプ
KR19980019500A (ko) 탄산음료 PET병의 탄산가스 분사식 재투입장치(Apparatus for re-injecting carbonic acid gas into PET bottles)
JPWO2002048020A1 (ja) 飲料供給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容器の蓋
KR20030044614A (ko) 장식겸용 술병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