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509Y1 -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509Y1
KR200271509Y1 KR2020010014312U KR20010014312U KR200271509Y1 KR 200271509 Y1 KR200271509 Y1 KR 200271509Y1 KR 2020010014312 U KR2020010014312 U KR 2020010014312U KR 20010014312 U KR20010014312 U KR 20010014312U KR 200271509 Y1 KR200271509 Y1 KR 20027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band
air
cerebral blood
e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명
Original Assignee
정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명 filed Critical 정동명
Priority to KR2020010014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509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는 머리의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를 압박밴드를 이용하여 팽창과 수축방식으로 자극하고 확장시켜서 모세혈관의 상태를 개선하고 뇌혈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어장치에서 공기펌프로 발생시킨 압축공기를 공기주머니가 있는 머리띠 형태의 압박밴드에 5 - 10초 주기로 주입과 배출을 반복함에 따라, 팽창과 수축되는 밴드가 모세혈관의 혈류를 일시 억제, 이완 자극함으로서 운동이나 약물요법 없이 모세혈관의 병변 제거와 뇌혈류의 흐름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머리밴드에 뇌파 감지전극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감지하고 계측된 뇌파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광자극과 음향자극을 실시함으로써 설정된 뇌파로 유도해 가는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 기능을 가지며, 기울기센서와 진동센서가 졸음에 의한 고개숙임을 감지하여 경보출력을 냄으로써 운전자의 졸음방지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기기에 여러 가지 장치를 탈·부착 할 수 있게 하여 뇌혈류 개선기능과 함께 보조밴드와 진동자극기, 보온밴드, 뇌파조절장치 등을 이용하여 부가 자극이나 기타 압박과 팽창이 필요한 용도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광자극 안경 없이 뇌파를 조절 할 수 있고 학습보조 기능과 졸음방지 기능 등을 제공하는 다기능의 뇌혈류개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Multi-functional cerebral Hemokinesis improvement system}
본 고안은 두부의 모세혈관에 압박과 팽창을 가하여 뇌혈류를 개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마를 중심으로 머리띠 형태의 압박밴드를 설치하고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설정된 압력과 주기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머리밴드에 뇌파감지 전극과 적외선 다이오드, 진동센서를 설치하고 뇌파조절장치를 쉽게 탈부착하여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과 학습보조 기능, 졸음방지 기능이 있는 다기능 혈류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모세혈관과 혈류 상태는 기관의 신진대사와 세포의 물질대사에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뇌혈류 상태는 두뇌피로와 두통, 스트레스 나아가 중풍과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뇌혈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머리의 모세혈관을 확장하고 병변을 제거하기 위한 약물요법, 운동요법, 마사지나 지압요법등이 일반적이나 부작용이 있거나 모두 한계가 있다. 기존에 모세혈관의 반복 압박과 팽창의 원리를 이용하는 혈류개선장치가 고안되고 있으나, 주로 진동이나 발열 등의 자극 없이 단순 압박방식으로 사지와 몸통을 대상으로 하며 뇌혈류를 대상으로 한 장치는 없다. 더구나 뇌혈류 개선과 함께 뇌파조절이나 학습보조 기능, 졸음방지 기능 등을 갖는 다기능의 뇌혈류개선장치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뇌혈류를 자극하는 머리밴드와 여기에 뇌파 감지용 전극과 적외선 소자를 설치하고 광자극기, 음향자극기, 진동자극기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계측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뇌혈류 개선효과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기로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과 학습보조기, 졸음방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두통과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의 두뇌피로를 회복시키고 심혈관 관련 질환과 중풍, 치매 등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의 본체 구성도,
도 2는 도 1 본체에서 주변장치 제어용 보조전원 케이블과 보조
압축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 본체의 전원공급장치 구성도
도 4는 머리밴드와 보조밴드의 상세도
도 5는 머리밴드에 결합되는 뇌파조절장치
도 6은 도 머리밴드와 뇌파조절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도 7은 밴드에 부착 사용되는 진동자극기의 상세도
도 8은 도 1 본체의 기능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LCD 표시창
12 : 공기호스 1 13 : 공기호스 2
14 : 제어선 15 : ON/OFF 보턴
16 : 모드선택 보턴 17 : 증가보턴
18 : 감소보턴 19 : 실행보턴
20 : 제어선 소켓 21A,21B : 보조전원 소켓
22 : 제어선 플러그 23 : 전원 소켓
24A,24B : 보조전원 케이블 25A,25B : 보조전원 플러그
26 : 수동압축기 27 : 수동개폐밸브
28 : 정류충전기 29 : 정류충전장치
30 : 머리밴드 31 : 공기주머니
32 : 공기주입구 33 : 제어선 커넥터
34A,34B : 음향자극 소켓 35A,35B : 광자극 커넥터
36A,36B : 뇌파전극 37A,37B,37C,37D : 매직테이프
38 : 분리대 39 : 광석패드
40 : 광자극기 41A,41B : 발광소자
42A,42B : 이어폰 플러그 43A,43B : 이어폰
44A,44B : 경혈자극용 자석 45 : 보조압축기 호스
46 : 상용전원플러그 47 : 충전기 풀러그
48 : 차량용 전원 플러그 49 : 보조밴드
50 : 진동자극기 51 : 진동모터
52 : 편심플리 53 : 배터리
54 : 기울기 센서 55 : 진동 센서
56 : 제어보드 57 : 고정 크립
58 : 고정나사 59 : 진동자극기 보조 전원
60 : 원칩 제어기 61 : 정류충전장치
22 : 직류전원장치 63 : 배기밸브
64 : 선택밸브 65 : 압력센서
66 : 공기펌프 67 : 충전배터리
68 : 적외선소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는, 뇌혈류를 개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공압펌프나 수동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공기 주머니가 있는 머리띠 형태의 압박밴드에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머리밴드의 팽창에 따라 이마를 중심으로 머리의 모세혈관을 압박한 후 설정된 적정압력이 되면 갑자기 압축 공기를 배출하여 억제된 혈류를 방출함으로써, 모세혈관을 이완시키고 혈류가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머리밴드에 뇌파감지 전극과 적외선소자를 설치하고, 광자극기, 음향자극기, 기울기센서와 진동센서를 함께 구비한 진동자극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과 학습보조기능, 졸음방지기능이 가능한 부가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 본체(1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에 보여진 본체(10)는 외부 제어용 보턴에 의해서 설정된 모드를 LCD 표시창에 표시하고 머리밴드(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펌프(61)와 밸브류(63,64), 컨트롤러(60), 배터리(67)를 내장하고, 컨트롤러(60)에 의해서 주변장치를 제어한다.
본체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공기호스1(12)과 공기호스2(13)로 각 밴드에 공급되고 배기되며 머리밴드(30)와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선 소켓(20)을 가지고 있으며 보조자극기를 구동하기 위한 두 개의 보조전원 소켓(21A, 21B)과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소켓(23)이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60)는 ON/OFF 보턴(15)에 의해서 시작과 정지되며, 모드선택 보턴(16)에 의해서 혈류개선모드와 뇌파조절모드, 졸음방지모드 등을 설정하고, 해당 모드 안에서 제어 상태는 증가 보턴(17)과 감소 보턴(18)에 의해서 설정되며, 실행 보턴(19)에 의해서 제어모드가 동작된다.
도2는 도1의 본체(10)에서 보조전원 소켓(21)과 결합하여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제어선(14)과 배터리의 소모나 본체(10)에 이상이 있을 경우 수동으로 혈류 개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공기압축기(26)를 나타내며 본체(10)의 공기호스(12) 대신 수동공기압축기 호스(45)를 연결한 다음 수동공기압축기(26)를 조작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고 배기시에는 수동개폐밸브(27)를 눌러서 일시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도3에서 정류충전기(28)는 상용전원 플러그(46)를 전원에 연결하여 110 - 220v의 교류전원을 감압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시킨 다음 충전기 플러그(47)를 본체의 전원 소켓(23)에 연결하여 내부의 충전배터리(67)에 충전과 함께 본체(10)를 동작하게 한다. 아울러 차량 이동 중이나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차량의 시거소켓에 차량용 전원플러그(48)를 연결하고 직류전원플러그(29)를, 충전기플러그(47) 대신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4는 본체(10)에서 발생된 공압을 이용하여 머리와 기타 인체 다른 부위를 압박, 팽창시키기 위한 머리밴드(30)와 보조밴드(49)의 구성을 나타낸다.
공압밴드(30,49)는 띠 형태로 제작되며, 원형으로 결합하여 인체 자극부위의 크기에 적응할 수 있도록 양끝 부분에 쌍으로 매직테이프(37A.37B)를 부착시키며, 매직테이프(37A,37B) 대신 고리형 결합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공압밴드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밀폐형 공기주머니(31)와, 공기주머니(31)를 균등한 일정개의 칸으로 분리되게 하는 분리대(38)를 구비한다. 여기서, 분리대(38)는 공기주머니(31)에 형성된 칸의 일부분만을 막아서 공기주입구(32)를 통해서 인입된 공기가 칸칸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주머니(31)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면 부풀어올라서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되며, 300㎜Hg 정도의 압력에 견딜 수 있다. 이때, 분리대(38)는 압축공기를 담고 있는 공기주머니(31)의 내구력을 증가시키고 압력을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극기의 밑면과 쌍으로 매직테이프(37C)를 부착하여 공압밴드 표면에 진동자극기(50)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공압밴드에 외부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공기주입구(32)는 압축공기를 공기주머니(31)에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 및 공기 인입 및 배출을 차단하는 전환노브로 구성된다. 전환노브는 공압밴드를 적당하게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공기호스(12,13)와 공기펌프(66)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공기 배출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공압밴드는 지혈을 위한 응급환자의 압박붕대나 좁은 공간의 확장 및 진동이 있는 부위의 완충을 위한 가정용, 산업용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공압밴드는 공기주머니(31)가 일정 이상으로 팽창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며 인체 접촉부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공기주머니(31)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외피(30)를 구비한다. 공압밴드를 인체 부위에 밀착하기 전에 피부와 밴드 사이에 온열 자극을 위한 보온밴드(미도시)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주입구가 있는 공기주입구(32)를 설치하여 밀폐형 공기주머니(31)에 수동이나 자동의 공기압축기(26,66)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팽창과 배출을 반복하여 모세혈관을 일시 억제와 이완시켜서 혈류를 개선한다. 공압밴드는 중앙부분에도 매직테이프(37C)가 있어서 모세혈관의 압박과 배출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혈류에 진동에너지를 주기 위한 진동자극기(50)를 쉽게 탈부착 시킬 수 있다.
머리밴드(30)는 또한 필요시에 수면 안대나 광자극기(40)를 머리밴드(30)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밴드(30)에 두 개의 광자극 커넥터(35A,35B)를 구비한다.
머리밴드(30) 내부에는 자석이나 광석분말을 도포한 내열 광석패드(39)를 삽입하여 온도 상승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복합스펙트럼 광선이 인체에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안대형의 광자극기(40) 없이 눈을 사용하면서 피드백 방식의 광자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마 중심과 뒷머리를 비가시 광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적외선 다이오드(68)와 일반 발광 다이오드 쌍(68A,68B)을 전면부 하단과 머리 뒤에 오도록 매립하고 전면 안쪽에는 뇌파전극(36A,36B)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뇌파조절용 광자극과 음향 자극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과 제어선 커넥터(33), 음향자극 소켓(34A,34B), 광자극 커넥터(35A,35B)를 구비한다.
도 5는 중앙에 발광소자(41A,41B)가 매립된 광자극기(40)와 이어폰(43A,43B), 경혈자극용 자석(44A,44B)으로 구성된 뇌파조절장치와 머리밴드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 6a에 앞면과 도 6b에서 뒷면을 나타낸다. 머리밴드(30)에는 광자극기(40)를 결합하면서 전원선까지 연결시키기 위한 두 개의 결합구(35A,35B)를 머리밴드(30) 중앙 하부에 거리를 두고 대칭으로 구비하며. 광자극기(40)에는 상대 결합구(35C,35D)를 구비하여 부착과 탈착이 편리하게 한다. 광자극기(40) 좌우 끝 부분에는 두 개의 경혈자극용 자석(44A,44B)을 구비하여 생리활성을 촉진하도록 하며, 두 개의 뇌파전극(36A,36B)으로 뇌파의 중심 주파수를 감지하여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공압밴드를 혈류개선장치 본체(10)와 별개로 휴대하는 경우나 비상용과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전원 없이 압축공기를 수동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수동 공기압축기(26)를 구비하여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도 7은 진동자극기(5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진동자극기(50)는 편심풀리(52)가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직류모터(51)를 외부에 본체(50)에 고정크립(57)과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자체 배터리(53)에 의해서 동작한다. 배터리 소모나 필요에 따라 혈류개선장치 본체(10)로부터 직류전원을 자극기 전원소켓(58)으로 공급받아서 동작하고 사용자가 작동이나 중지를임의로 선택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59)를 더 구비한다. 또한 기울기센서(54)와 진동센서(55)를 내장한 진동자극기(5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메직테이프를 앞면(37C)과 뒷면(37D)에 설치하여 머리밴드에 부착된 진동자극기가 고개숙임에 의한 기울기와 진동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졸음을 방지하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8은 이와 같은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단일칩 컨트롤러로 구성된 컨트롤러(60)는 ON/OFF 보턴(15)에 의해서 시작과 정지되며, 모드선택 보턴(16)에 의해서 혈류개선모드와 뇌파조절모드, 졸음방지모드 등을 설정하고 해당 모드 안에서 제어 내용은 증가 보턴(17)과 감소 보턴(18)에 의해서 설정되며, LCD 표시창(11)에 표시된 설정이 완료되면 실행 보턴(19)을 눌러서 동작된다. 사용 전원은 교류전원을 정류충전장치(61)에서 직류전원으로 정류 감압시켜서 충전배터리(67)에 공급하거나 차량용 시거잭을 이용한 직류전원장치(62)를 이용하여 주기능인 압축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서 공기펌프(66)와 배기밸브(63)를 동작시키고 선택밸브(64)와 압력센서(65)를 제어하여 다수 채널의 공압밴드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 충전 배터리(67)의 소모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수동 공기 압축기(21)로 제어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머리밴드(30)의 공기주입구(32)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배기밸브(63)의 역할은 수동 보조압축기(26)의 개폐밸브(27)를 수동으로 눌러서 대신한다.
본체에서 공급하는 압축공기와 전원, 제어신호는 머리밴드(30)에 공기주입구(32)와 제어선 커넥터(33)를 통해서 결합되며, 머리 밴드(30)에 설치되어 있는 뇌파 전극(36A,36B)에 의한 뇌파감지와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을 위한 광자극기(40), 음향자극용 이어폰(43A,43B), 적외선 소자(68A,68B)와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다이오드 쌍(68A,68B)이나 광자극기(40), 진동자극기(50)를 제어하여 혈류 개선과 함께 뇌파조절, 학습보조, 졸음방지 기능 등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혈류개선장치는, 머리밴드와 보조밴드, 공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서 인체 모세혈관을 일시 억제, 팽창, 이완시킴으로써 혈류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특히 뇌혈류 상태를 개선하여 중풍과 치매를 예방하고 정신노동자들의 과로와 스트레스에 의한 두뇌 피로, 두통 등을 약물 요법의 습관성이나 부작용 없이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감지센서와 자극장치들을 이용하여 효율이 높은 뇌파조절과 학습보조 기능, 졸음방지 경보기능 등을 제공하여 혈류개선에 의한 건강증진과 뇌파조절에 의한 정신건강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에 있어서,
    컨트롤러에 의해서 공기 펌프와 밸브, 센서와 압박밴드를 제어하는 뇌혈류 개선 장치 본체;
    상기 본체에 의해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팽창과, 수축하여 머리와 인체 부위의 모세혈관을 자극하는 압박밴드로 구성된 다기능 뇌혈류 개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용전원을 이용한 정류 충전장치;
    차량용 시거잭을 이용한 직류 전원 장치;
    내부 충전 배터리;
    공기펌프와 제어용 밸브;
    압력센서;
    외부 입력 키패드에 의해서 설정된 압력과 시간, 센서신호 동작모드에 따라 공기 펌프와 밸브를 제어하고 LCD 창에 표시하는 컨트롤러;
    보조 전원 케이블;
    압축공기를 압력 밴드에 연결하는 공기호스를 구비하는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압박밴드는
    자극 부위별 크기에 따라 원형의 밴드로 결합하는 매직 테이프 쌍;
    본체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담기 위한 공기주머니;
    상기 공기 주머니를 크기에 따라 몇 개의 작은 공기주머니로 분리, 연결시켜서 압력을 분배하는 분리대;
    공기주머니의 일정 한계 이상의 팽창을 막고 매직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외피로 구성된 다기능 압박 밴드를 포함하는 뇌혈류개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는 전원 없이 압박 밴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수동 공기 압축기;
    수동 공기압축기에 연결하여 압박밴드의 압축공기를 일시에 배출하기 위한 누름식 수동 개폐 밸브;
    공기주입구에 연결하여 공기 배출을 차단하는 절환노브;
    머리용의 머리밴드와 어깨나 사지 등의 자극을 위한 보조밴드를 더 포함하는 뇌혈류개선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압박밴드는 결합용 매직테이프와 별도의 진동 자극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압박밴드의 표면에 진동자극기와 쌍으로 매직 테이프를 설치한 압박밴드를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압박밴드는,
    외피와 공기 주머니 사이에 옥과 광석 등의 생리활성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광석, 귀금속 분말을 도포한 광석 패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류 개선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압박밴드는,
    결합용 매직테이프 쌍과 진동자극기 부착용 매직 테이프;
    공기주입구와 분리된 공기 주머니;
    외피와 진동 자극기 부착용 매직 테이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밴드를 갖는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압박밴드는 머리용의 머리밴드와 어깨나 사지 등의 자극을 위한 보조밴드를 더 포함하는 압박밴드를 포함하는 뇌혈류개선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머리밴드는 광자극 안대 없이 뇌파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적외선 소자와 발광 다이오드 쌍을 구비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선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밴드를 포함하는 뇌혈류개선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머리밴드는 발광 다이오드를 안대에 매립한 광자극 기와 음향자극용 이어폰으로 구성된 뇌파조절장치와 광자극 안대를 밴드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구, 이어폰 플러그를 결합하기 위한 이어폰 소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밴드를 포함하는 뇌혈류개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머리밴드는 뇌파조절장치와 함께 머리밴드 내부에 뇌파감지 전극을 구비하여 계측된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광자극용 적외선 다이오드와 광자극기를 이용하여 피드백 방식의 뇌파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밴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극기는
    직류모터;
    상기 직류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는 편심풀리;
    공압밴드의 임의의 위치에 탈착 용이토록 밑면을 이루는 매직테이프;
    상기 직류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커넥터;
    및 작동 및 중지를 임의로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극기와 진동자극기의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뇌혈류개선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뇌혈류 개선장치는 제어장치 본체와 보조 압축기;
    머리밴드와 보조밴드;
    뇌파조절장치와 뇌파전극 적외선 소자;
    정류충전장치와 직류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KR2020010014312U 2001-05-16 2001-05-16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KR20027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12U KR200271509Y1 (ko) 2001-05-16 2001-05-16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12U KR200271509Y1 (ko) 2001-05-16 2001-05-16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603A Division KR100424930B1 (ko) 2001-05-16 2001-05-16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509Y1 true KR200271509Y1 (ko) 2002-04-10

Family

ID=7310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312U KR200271509Y1 (ko) 2001-05-16 2001-05-16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6744C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moting female sexual wellness
US2016002253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moting female sexual wellness
US2016002253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moting female sexual wellness
CN105579017A (zh) 刺激装置
KR100424930B1 (ko)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CN111467204A (zh) 便携式压缩设备
WO2022177108A1 (ko)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WO2020149532A2 (ko) 눈 및 코 복합 마사지기
AU2020254414A1 (en) Garment including a micro-pump for non-fluid management tissue therapies
CN110693691B (zh) 基于神经靶向调控的肢体远端神经修复系统及其实现方法
WO2010032902A1 (en) Massage apparatus
CN215425988U (zh) 按摩仪
CN113952201A (zh) 一种眼部按摩仪控制方法及眼部按摩仪
KR200447803Y1 (ko) 사지압박 공기 마사지기
CN113660920B (zh) 移动式四肢压迫循环装置
KR200271509Y1 (ko)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CN209347574U (zh) 一种空气波压力治疗仪
KR200241170Y1 (ko) 다기능 공압밴드
KR20010099155A (ko) 혈류개선 기능이 있는 다기능 전자혈압계
CN108743286A (zh) 一种空气波压力治疗仪
CN210355335U (zh) 一种气囊式超声波按摩保健眼罩
CN2493204Y (zh) 健眼按摩器
CN11412927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无线监护仪
KR200255570Y1 (ko) 혈류개선 기능이 있는 다기능 전자혈압계
CN217219504U (zh) 一种眼部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