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267Y1 -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 Google Patents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267Y1
KR200271267Y1 KR2020020001506U KR20020001506U KR200271267Y1 KR 200271267 Y1 KR200271267 Y1 KR 200271267Y1 KR 2020020001506 U KR2020020001506 U KR 2020020001506U KR 20020001506 U KR20020001506 U KR 20020001506U KR 200271267 Y1 KR200271267 Y1 KR 200271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anchoring
weight
fix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선
Original Assignee
홍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선 filed Critical 홍광선
Priority to KR2020020001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267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정박용 닻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저면에서 고정되는 닻의 고정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착탈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해저면에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정착되도록 하며, 보관이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장공 또는 끼움공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 및 그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된 고정부와, 장공 또는 끼움공에 삽입 고정되는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와 이 지주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부의 전체 무게 보다 무거운 추 및 이 추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 고리로 구성된 지주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같은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에 의하여 해저면의 지질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취급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An Anchor for Anchorage of Shipping}
본 고안은 선박 정박용 닻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바지선 또는 해상구조물 등을 원하는 지점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닻을, 해저면에서 고정되는 고정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착탈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해저면에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정착되도록 하므로써, 선박등의 정박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관성이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력에 의하여 해상에 계류되는 각종의 해상구조물 또는 선박 에는 정박을 목적으로 하는 닻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닻은 그 사용 목적상 충분한 무게를 갖추면서 해저면에 원활히 박힐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닻은 선박의 정박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급속도로 달리는 선박의 브레이크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선박이 작은 각도로 회전할 때 임기응변으로 닻이 내려져 사용되기도 하며, 선박이 좌초하였을 경우 선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장소에 닻을 내리거나 선박을 끌어 내리는데에도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해상에서 정박중인 선박이나 해상구조물 등이 그 정박위치를 유지하는 것 즉, 닻을 고정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해상의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은 닻이 해저면에 정상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묻혀 있으면 상기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은 닻줄의 길이와 외력에 의하여 그 정박위치가 임의적으로 결정된다.
즉, 해상의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은 선체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해저면에 정착된 닻에 지지되어 풍랑이나 조류에 대응하면서 일정 위치에 정박되어 해상에서의 표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좌초 또는 충돌 등의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역할을 하는 닻의 종류에는 여러가지 형식의 닻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크게 나누어 도 1a에 나타낸 스톡앵커(Stock Anchor)와 도 1b에 나타낸 스톡리스 앵커(Stockless Anchor)로 구분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톡앵커는 앵커 섕크(Anchor Shank)(1)와 앵커 스톡(Anchor Stock)(2)이 직교되며, 앵커 암(Anchor Arm)(3)과 상기 앵커 암(3) 말단의 빌(Bill)(4)이 해저면에 깊게 파고 들어가 묻히므로 파지력이 크다.
그러나, 대형의 스톡앵커는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선내에 격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 스톡앵커는 외형이 십자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십자묘라고도 하며, 소형 선박에 사용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톡리스 앵커는 스톡이 없으며, 양쪽에 위치한 빌(4)이 동시에 파지력을 가지므로 암(3)은 섕크(1)에 대하여 어느 각도까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섕크(1)가 해저면에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빌(4)은 약 45°각도로 해저면에 박히게 된다.
상기 스톡리스 앵커는 대빗이나 앵커 베드의 설비가 필요없으며, 취급과 격납이 비교적 간단하여 묘쇄공(Hawse Pipe)에 끌어 넣으면 된다. 따라서 항해중에도 묘쇄공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떨어질 염려가 없고, 손을 댈 필요가 없어 군함을 포함한 대형 선박에 사용된다.
이 밖에도 특수한 닻으로 그래프널 앵커, 2스크류 앵커, 버섯형 앵커, 싱글암 앵커, 댄포스 앵커 등이 있다.
선박에 장비하는 닻은 선박의 크기에 따라 수와 중량이 정해져 있으며, 대묘와 중묘 및 소묘의 3종류가 있다.
상기 대묘는 주묘라고도 하며, 선수의 좌우현에 상비하는 것으로 1만톤급의 선박에서는 1개가 약 5톤의 무게를 가진다.
중묘는 상기 대묘의 1/3 크기인데, 선미 부근의 갑판에 비치하며, 선미에서 닻을 던질 때 와이어 로프를 사용한다.
소묘는 상기 중묘보다 더욱 작은 닻으로 스톡앵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닻들은 해저면의 지형지물에 정착되는 그 나름대로의 형태에 의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톤수에 비례하여 그 닻의 크기와 중량 등이 변화되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크기가 커짐에 따라 부피 및 중량이 커지는 문제로 인하여 보관성 및 취급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해저면에 닻이 박히는 작용이 닻의 자체 중량만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닻이 제대로 자리를 잡을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때 예기치 않은 외력 즉, 풍랑이나 조류가 발생될 경우 원하는 위치에서의 정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닻이 제대로 해저면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면 닻과 닻줄 및 해저면의 지질에 의하여 정해지는 닻의 고정력(정박력)이 상실되어 닻이 해저면 상에서 이동하는 닻의 움직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닻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이 받는 외력에 의하여 닻은 계속해서 움직이는 상태가 되며, 좌초나 충돌 등의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히, 해저면의 지질 즉, 뻘이나 모래 또는 자갈 등의 해저면 상태를전혀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닻은 해저면의 지질 상태에 따라 그 고정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낸 스톡앵커는 모래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지형인 해저면 상에서는 비교적 그 고정력을 유지하는데 반하여 뻘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서는 고정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닻이 해저면에 고정될 때 해저면의 지질에 따라 그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닻의 고정 각도를 임의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닻을 분리 가능한 고정부와 지주부로 형성하여 취급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스톡앵커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스톡리스 앵커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구성하는 구성품인 지주부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자갈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b는 모래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c는 뻘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 11 : 산형 베이스
11a : 장공 13 : 암
15 : 날개판 17 : 너트
20 : 지주부 21 : 나사산
22 : 단턱 23 : 지주
25 : 추 27 : 와이어 연결용 고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장공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 및 그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된 고정부와, 장공의 요구되는 각도 위치로 삽입 고정되는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와 이 지주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부의 전체 무게 보다 무거운 추 및 이 추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고리로 구성된 지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저면의 지질 상태에 따라 지주부 선단의 나사산이 산형 베이스의 장공 임의의 위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다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 및 그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된 고정부와, 끼움공에 삽입 고정되는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와 이 지주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부의 전체 무게 보다 무거운 추 및 이 추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 고리로 구성된 지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저면의 지질 상태에 따라 지주부 선단의 나사산이 산형 베이스의 임의의 위치의 끼움공에 삽입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에 구성되는 2개의 암의 양측면에는 각각 날개판을 형성하여 해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분리 가능한 고정부(10)와 지주부(20)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장공(11a)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11)와, 상기 산형 베이스(11)의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13) 및, 단면계수값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13)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날개판(15)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암(15)의 밑면(바닥면)은 편평부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말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의 연결부 중심은 편평부로 형성된다.
상기 지주부(20)는 선단에 나사산(21)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23)와, 상기 지주(23)의 말단부에 상기 지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추(25) 및, 상기 추(25)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 고리(27)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추(25)는 상기 고정부(10) 전체의 무게 보다 큰 무게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3)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산(21)은 상기 고정부(10)의 산형 베이스(11)에 형성된 장공(11a)에 삽입되어 상기 산형 베이스(11)의 외부로 관통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나사산(21)이 형성된 부위와 형성되지 않은 부위 사이에는 단턱(22)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22)의 직경은 상기 산형 베이스(11)의 장공 (11a)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주(23)의 나사산(21)이 형성된 선단만 상기 장공(11a)을 관통하게 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단턱(22)에 의하여 상기 장공(11a)을 관통하지 못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의 결합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주(23)의 나사산(21)이 형성된 선단을 고정부(10)의 산형 베이스(11)에 형성된 장공(11a)에 삽입시켜 관통시키고, 이어서 상기 고정부의 산형 베이스(11) 후면에서 장공(11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지주의 선단부 나사산(21)에는 너트(17)를 체결시키되, 상기 지주(23)의 선단은 장공(11a)의 어느 임의의 위치(도 2b에서는 최상부)에 위치시킨 후 너트(17)를 확실히 조여 상기 장공(11a) 내에서의 지주(23)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5a는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닻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5b는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닻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5c는 뻘로 이루어진 해저면 상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닻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에 감긴 로프 또는 와이어(W)를 지주부의 추(25) 말단에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 연결용 고리(27)에 연결한 후,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수중에 투입하면, 상기 도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의 암(13)이 해저면에 닿게 되며, 지주부의 추(25) 또한 해저면에 닿게 된다.
이때, 상기 해저면의 지질이 돌이나 자갈 등 비교적 단단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의 암(13) 말단과 지주부의 지주(23) 중심이 이루는 각도(a)를 적게(이하에서 설명하는 뻘이나 모래 등의 해저면 상에서의 각도 보다 적게) 한다.
즉, 도 2a를 참고로 하면 지주(23) 선단의 나사산(21) 부분을 산형 베이스(11)의 장공(11a) 최하단에 위치시킨 후 너트(17)를 조여 유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a)는, 돌이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면에 상에 본 고안의 닻이 그 고정력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고안의 닻은 추(25)의 무게가 고정부(10)(도 2a에 도시) 전체의 무게보다 무겁기 때문에 상기 추(25)가 해저면 상에 놓이게 되면, 상기 추(25)의 무게에 의하여 고정부(10)는 조금 들리게 된다. 따라서 도 5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암(13) 말단(뾰족한 부분)이 해저면 상에 조금 박히게 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암(13)을 의지하여 조금 기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되면 고정부의 암(13) 사이에 돌이나 자갈 등이 걸리게 되므로 고정부의 정착력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저면의 지질이 모래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3) 선단의 나사산 부분을 산형 베이스(11)의 장공(11a)(도 2a에 도시) 중앙에 위치시켜, 고정부의 암(13) 말단과 지주부의 지주(23) 중심이 이루는 각도 (b)를 상기 돌이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의 각도(a)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한다.
즉, 모래 바닥은 자갈 바닥 보다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각도(b)를 각도(a)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되면 추(25) 가 어느정도 모래 바닥에 끌리게 되며, 이때 암(13)은 모래를 파고 들어 정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13)의 양측면에 형성된 날개판(15)들은 모래와 접촉하여 그 접촉면적을 넓혀 주게 되므로 모래에 의한 홀딩파워(Holding Power)가 증대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해저면의 지질이 뻘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3) 선단의 나사산 부분을 산형 베이스(11)의 장공(11a)(도 2a에 도시) 최상단에 위치시켜, 고정부의 암(13) 말단과 지주부의 지주(23) 중심이 이루는 각도(c)를 상기 모래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의 각도(b)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즉, 뻘로 이루어진 바닥은 상기 모래 바닥 보다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각도 (c)를 각도(b) 보다 더 크게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되면 추(25)가 어느정도 뻘로 이루어진 바닥에 끌리게 되며, 이때 암(13)은 뻘을 파고 들어 정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13)의 양측면에 형성된 날개판 (15)들은 뻘과 접촉하여 그 접촉면적을 넓혀 주게 되므로 뻘에 의한 홀딩파워 (Holding Power)가 증대되어 결과적으로 뻘에서의 암(13) 정착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도 4는 지주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부(20)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추(25)에는 납(25b)을 녹여 충진하는 공간인 포켓(25a)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25a)의 내부에는 녹여진 납을 충진하며, 상기 추(25)의 말단에는 일체로 와이어 연결용 고리(2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상기 제1 실시예의 닻의 구성과 동일하나, 단지 다른 것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의 산형 베이스(11)에 장공(11a)(도 2a 및 도 2b에 도시)이 형성되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의 산형 베이스(11)에 다수의 개별 끼움공(11b)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분리 가능한 고정부(10)와 지주부(20)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다수의 끼움공(11b)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11)와, 상기 산형 베이스 (11)의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13) 및, 단면계수값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13)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날개판(15)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암(15)의 밑면(바닥면)은 편평부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말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의 연결부 중심은 편평부로 형성된다.
상기 지주부(20)는 선단에 나사산(21)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23)와, 상기 지주(23)의 말단부에 상기 지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추(25) 및, 상기 추(25)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 고리(27)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추(25)는 상기 고정부(10) 전체의 무게 보다 큰 무게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23)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산(21)은 상기 고정부(10)의 산형 베이스(11)에 형성된 끼움공(11b)에 삽입되어 상기 산형 베이스(11)의 외부로 관통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나사산(21)이 형성된 부위와 형성되지 않은 부위 사이에는 단턱(22)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22)의 직경은 상기 산형 베이스(11)의 끼움공 (11b)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주(23)의 나사산(21)이 형성된 선단만 상기 끼움공(11b)을 관통하게 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단턱(22)에 의하여 상기 끼움공(11b)을 관통하지 못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의 결합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주(23)의 나사산(21)이 형성된 선단을 고정부(10)의 산형 베이스(11)에 형성된 끼움공(11b)에 삽입시켜 관통시키고, 이어서 상기 고정부의 산형 베이스(11) 후면에서 끼움공(11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지주의 선단부 나사산(21)에는 너트(17)를 체결시키되, 상기 지주(23)의 선단은 상기 끼움공(11b)의 어느 임의의 위치(도 3b에서는 최상부)에 위치시킨 후 너트(17)를 확실히 조여 상기 끼움공(11b) 내에서의 지주(23)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작용 또한 제1 실시예에서의 작용과 동일하되, 다른 것은 구성에서의 지주부와 고정부가 장공이 아니라 끼움공을 통해 결합된다는 점만 다르며, 이 같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해저면의 지질 상태 즉,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것처럼, 해저면의 지질이 돌이나 자갈 등 비교적 단단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고정부의 암(13) 말단과 지주부의 지주(23) 중심이 이루는 각도(a)를 적게(이하에서 설명하는 뻘이나 모래 등의 해저면 상에서의 각도 보다 적게)하기 위하여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지주(23) 선단의 나사산(21) 부분을 산형 베이스(11)의 최하단 끼움공 (11b)에 위치시킨 후 너트(17)를 조여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해저면의 지질이 모래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3) 선단의 나사산 부분을 산형 베이스(11)의 중앙 끼움공(11b)(도 3a에 도시)에 위치시켜, 고정부의 암(13) 말단과 지주부의 지주(23) 중심이 이루는 각도(b)를 상기 돌이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의 각도(a)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해저면의 지질이 뻘로 이루어져 있을 때에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3) 선단의 나사산 부분을 산형 베이스(11)의 최상단 끼움공(11b)(도 3a에 도시)에 위치시켜, 고정부의 암(13) 말단과 지주부의 지주 (23) 중심이 이루는 각도(c)를 상기 모래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의 각도(b)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즉, 뻘로 이루어진 바닥은 상기 모래 바닥 보다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각도 (c)를 각도(b) 보다 더 크게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되면 추(25)가 어느정도 뻘로 이루어진 바닥에 끌리게 되며, 이때 암(13)은 뻘을 파고 들어 정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13)의 양측면에 형성된 날개판 (15)들은 뻘과 접촉하여 그 접촉면적을 넓혀 주게 되므로 뻘에 의한 홀딩파워 (Holding Power)가 증대되어 결과적으로 뻘에서의 암(13) 정착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그 고정각도를 해저면의 지질에 따라 용이하게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해저면의 지질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은 고정부와 지주부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취급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장공(11a)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11) 및 그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13)으로 구성된 고정부(10)와,
    상기 장공(11a)의 요구되는 각도 위치로 삽입 고정되는 선단에 나사산(21)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23)와 상기 지주(23)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10)의 전체 무게 보다 무거운 추(25) 및 상기 추(25)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 고리(27)로 구성된 지주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2. 다수의 끼움공(11b)이 형성된 산형 베이스(11) 및 그 하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2개의 암(13)으로 구성된 고정부(10)와,
    상기 끼움공(11b) 중의 하나에 삽입 고정되는 선단에 나사산(21)이 형성된 봉 형태의 지주(23)와 상기 지주(23)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10)의 전체 무게 보다 무거운 추(25) 및 상기 추(25)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용 고리(27)로 구성된 지주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암(13)의 양측면에는 각각 날개판 (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KR2020020001506U 2002-01-17 2002-01-17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KR200271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06U KR200271267Y1 (ko) 2002-01-17 2002-01-17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06U KR200271267Y1 (ko) 2002-01-17 2002-01-17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267Y1 true KR200271267Y1 (ko) 2002-04-09

Family

ID=7311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506U KR200271267Y1 (ko) 2002-01-17 2002-01-17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2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4545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および浮体式風力発電装置の係留方法
US5902163A (en) Debris shedding buoy
US20050241561A1 (en) Multi purpose marine anchor
US20170166286A1 (en) System for mooring offshore structure group and method for mooring offshore structure group
CN114207218A (zh) 浮动式防波堤结构
KR200271267Y1 (ko) 고정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 정박용 닻
US20050247253A1 (en) Anchor with smaller second fluke
US3485199A (en) Nonfouling folding boat anchor
CN113232772B (zh) 一种仿八爪鱼锚泊定位装置
US5529023A (en) Grapnel boat anchor
US20070212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et-down of a tension leg platform
KR20140074394A (ko) 개량된 연안 해양 앵커
US62100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osion protecting a coast
US3732841A (en) Explosively embedded anchor
WO1999010228A1 (en) Anchoring system for vessels
WO1995022482A1 (en)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KR200479276Y1 (ko) 선박 및 해상부유구조물 정박용 닻
US20190092431A1 (en) Swivel Subsea Anchor System
JP4361558B2 (ja) 根がかり解除機構を備えた小型船舶用アンカー
US5133277A (en) Anchors
JPS5925751Y2 (ja) 浮標
US11685477B2 (en) Anchoring device
CN209080103U (zh) 强锚着力船锚
KR200261779Y1 (ko) 선박 정박용 앵커
CN210258748U (zh) 船舶固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